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전경수
학력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 졸업(1971년)동대학원 인류학석사(1977년)미국 미네소타대학 인류학박사(1982년)주요경력미네소타대학 인류학과 강사(1981년-1982년)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교수(1982년-2014년)국립민족학박물관 객원교수동경대학 시간강사 및 객원연구원구주대학 객원교수야마구치대학 객원교수(이상 일본)운남대학 객좌교수귀주대학 특빙교수(이상 중국)예일대학 객원교수(미국)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근대서지학회 회장제주학회 회장진도학회 회장유구 · 충승학회 회장 역임주요저서<한국문화론>(전4권, 일지사)<한국인류학 백년>(일지사)<문화의 이해>(일지사)<브라질의 한국이민>(서울대학교출판부)<인류학과의 만남>(서울대학교출판부)<경성학파의 인류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똥이 자원이다>(통나무)<베트남 일기>(통나무)<손진태의 문화인류학>(민속원)<백살의 문화인류학>(민속원)<탐라 · 제주의 문화인류학>(민속원)<환경친화의 인류학>(일조각) 등 40여 권
수정증보판의 변 / 4
머리말 / 6
서론
1. 군국주의의 뿌리 / 24
2. 조선학으로서 민속학 / 34
1) 송석하의 생애와 조선학 / 34
2) 이론적 배경과 가설적 구도 / 47
본론
3. 민속학 입문 시기 / 56
4. 조선민속학회 창립: 발등의 불 / 80
5. 예술과 사상 사이의 조선 민속 : 향토무용민요대회 / 106
6. 자료 발굴과 연구 심화: 교류와 계몽 / 126
1) 논문 작성 및 학회 창립 / 126
2) 민속학의 공론화 및 체계화 / 135
3) 민속무용 연구 / 147
4) 농촌 오락 분류 및 분석 / 167
5) 해외 학자들과의 교류 / 169
6) 민속학의 공론화 및 체계화 / 175
7. 민속의 진작과 조사연구: 구제(救濟)를 위한 타협 / 186
1) 민속극 / 186
2) 솟대 / 191
3) 어촌 민속 / 197
4) 산간 민속 / 199
5) 도시 민속 / 200
6) 봉산탈춤 / 205
7) 민속학의 포폄 / 218
8. 전시 동원과 향토 오락: 대회와 경연 / 222
1) 식민지 조선의 병참화 / 222
2) 향토문화 조사 / 235
3) 총동원 체제와 오락: ‘건전’-‘위안’-‘결전’ / 250
4) 황기 2600년과 대동아전쟁 / 278
9. 해방과 미군 점령지 시기 / 302
1) 광복과 사회참여: 권위의 소재 / 302
2) 유산(遺産)으로서의 송석하 / 329
3) 제3의 조선학 / 339
4) 기존 비평에 대한 비판 / 342
결론
10. 자문화인류학을 향하여 / 350
참고문헌 / 360
인명색인 / 376
사항색인 / 381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