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김산 따라 아리랑 로드로  이미지

김산 따라 아리랑 로드로
혁명과 반혁명의 광둥 3년을 찾아서
민족문제연구소 | 부모님 | 2025.11.10
  • 판매가
  • 18,000원
  • S포인트
  • 9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3 | 0.351Kg | 251p
  • ISBN
  • 978899374147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 김산의 만 3년간 ‘광둥 시절’을 실제 사건의 맥락에 최대한 가깝게 복원한 기록으로, 『아리랑 노래』의 주인공이 남긴 혁명과 패배, 희망의 시간을 따라간다. 의열단·조선의용대 연구에 독보적 성과를 쌓아온 김영범 교수는 국공합작과 광저우 봉기의 격동 속에서 김산의 행적을 새로 정리하며 그의 삶을 다시 읽을 관점을 제시한다.

황포군관학교와 광저우기 기념관에서 시작해 화현, 룽먼현, 하이루펑, 산터우까지 이어진 ‘아리랑 로드’를 직접 걸으며 100년 전 혁명가들의 고난과 신념을 추적한다. 패배처럼 보였던 시간이 독립의 ‘승리’를 가능하게 했음을 밝히며, 아름답지만 슬픈 ‘아리랑’이 김산에게 희망의 숨구멍이 되었던 이유를 되짚는 여정이다.

  출판사 리뷰

아름답지만 슬픈, 그러나 희망을 놓지 않은 독립운동가의 발자취
『김산 따라 아리랑 로드로』 출간

□ 평화의 인사를 전합니다.

□ 민족문제연구소는 11월 10일 『김산 따라 아리랑로드로-혁명과 반혁명의 광둥 3년을 찾아서』를 출간했다. 이 책은 『아리랑 노래』를 통해 널리 알려진 독립운동가 김산(金山, 장지락)의 햇수로 4년, 기간으로 만 3년간의 ‘광둥 시절’을 사건사적 배경과 전체 맥락을 실제와 최대한 가깝게 재구성하면서 순차대로 복원시켜 보려는 소박한 시도다.

□ 이 책의 저자 김영범 대구대학교 명예교수는 의열단, 조선의용대 등 의열투쟁을 비롯한 독립운동사 연구에 독보적인 업적을 쌓아온 사회학자이다. 그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20년부터 진행한 ‘아리랑 답사’ 심화작업의 하나로 진행된 ‘아리랑 로드’ 사전 답사에 참여하면서 이 책을 집필하기로 결심을 굳혔다고 한다.

□ 이 책의 1부. ‘김산과 광저우 봉기’는 김산의 ‘광둥 시절’의 배경이 되는 중국 국민혁명의 소용돌이 속 국공합작과 분열의 시기, 광저우 봉기와 의열단의 기의 가담에 대한 사건사적 배경과 『아리랑 로드』의 이야기를 엮어 김산의 행적을 자세히 다룬다. 2부. ‘100년 후의 옛길과 격정의 흔적들’에서 광저우 시내의 황포군관학교 유지와 광저우기의 기념관부터 시작해, 김산이 퇴각했던 화현(花縣), 룽먼현(龍門縣)을 거쳐 하이루펑의 펑파이 생가 그리고 최종 탈출지였던 산터우(汕頭)까지 이어지는 고난의 로드를 직접 추적한다.

□ 저자는 답사를 마무리하며 ‘역사란 하나가 아니고 여러 겹의 것이며 언제나 그럴 수밖에 없음도 다시금 실감했다’고 소회를 남긴다. 이는 김산의 흔적을 쫓으며 현장에서 느낀 감회와 수많은 역사적 평가들이 겹쳐진 결과일 것이다. 김산의 ‘광둥 시절’은 표면적으로 ‘패배’로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김산을 비롯한 수많은 독립 운동가들의 혁명적 낭만주의와 ‘패배’가 있었기에 조국 독립이라는 ‘승리’도 가능했다. 최근 들어 독립운동가 중 사회주의 계열 활동으로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이들에 대한 평가가 재조명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 김산에게 아리랑은 ‘비극의 상징이고 죽음의 노래이며, 아름답지만 슬픈 노래’였다. 전투에서 패하고 먹을 것을 찾아 헤맬 때 동지들과 부르던 것은 ‘패배의 노래’였지만, 절망의 심연에 빠져들 때 이 노래는 ‘희망의 숨구멍 같은 노래’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김산을 따라 걸은 ‘아리랑 로드’는 아름답지만 슬픈 패배에서 비롯한 희망의 역사를 돌아보는 길이라 할 수 있다.

□ 김산과 의열단을 비롯한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젊음을 바쳐 걸어온 ‘아리랑 로드’를 이 책을 통해 함께 걸어보았으면 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김영범
>> 경력1974~1980 서울대 사회학과 (학사)1981~1993 서울대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박사)1987~199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1995~2020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전임강사~정교수 (현 명예교수)2003~2004 《한국사회학》(한국사회학회) 편집위원장 2005~2006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지원단·사회과학단 책임전문위원 2005~2007 (국무총리 소속)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 2005~2007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2009~2010 제주4.3평화재단 이사 2014~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독립기념관) 편집위원장 2019~2021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공적검증위원(장)2022~현재 〈김원봉과 함께〉(약산 김원봉 기념사업회) 학술위원장 2023~2025 (사)제주4.3연구소 이사장 2023~2025 제주4.3사건 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위원 >> 저서『한국 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1997『사회사 연구의 이론과 실제』(공저), 1998『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공저), 2004『의열투쟁 Ⅰ―1920년대』, 2009『혁명과 의열―한국독립운동의 내면』, 2010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민중의 귀환, 기억의 호출―민중사 심화와 기억사회학』, 2010『의열단·민족혁명당·조선의용대의 영혼 윤세주』, 2013『3.1운동 100년, 5: 사상과 문화』(공저), 2019『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편저), 2022『독립운동의 역사사회학―의열투쟁, 신채호 사상, 조선의용대 심화연구』, 2025『독립운동으로 보는 근대인의 초상―지사와 혁명가와 여성들』, 2025『김산 따라 아리랑 로드로―혁명과 반혁명의 광둥 3년을 찾아서』, 2025>> 수상2012년 제8회 독립기념관 학술상 수상2025년 제19회 임종국상 수상

  목차

책 머리에·3
일러두기·11
여는 이야기
1. 어이해 광둥으로? 12
2. 김산은 누구인가 17
3. 『아리랑』은 어떤 책인가 20
4. 「아리랑」은 어떤 노래인가 24
5. 광둥과 광저우 개관 27
6. 몇 가지 첨언 30

1부 김산과 광저우봉기
Ⅰ. 1925년의 광저우, 의열단과 김산이 매혹되다
1. 점화된 국민혁명운동 36
2. 한인 청년들의 중국혁명 참가 열망 40
3. 의열단의 광저우행과 김산의 호응 후행 42

Ⅱ. 1926년의 새 희망과 빛나는 날들
1. 연초부터의 분주한 움직임 48
2. 중산대학의 김산과 왕성한 활동 51
3. 호치민과의 연대와 교류 54
4. 쾌조의 북벌 전개 56

Ⅲ. 1927년, 급변침의 정세와 국공분열의 나락
1. 장제스와 국민당 우파의 배신 62
2. 스탈린·코민테른의 선택과 두 좌파의 대응 65
3. 홍군의 난창봉기와 광둥행 남하 70
4. 펑파이와 하이루펑 소비에트 73
5. 두 세력과 세 정파의 긴박한 움직임 78

Ⅳ. 광저우봉기 발발과 실패의 전말
1. 봉기 결행과 임무 분담 86
2. 봉기 제1일의 총공격 상황 88
3. 봉기 2일차의 밀리는 형세 94
4. 3일 만의 퇴각과 봉기의 결말 96
5. 김원봉의 선택과 행로 100
6. 되짚어지는 몇 가지 실책과 한계들 103

2부 100년 후의 옛길과 격정의 흔적들
Ⅰ. ‘아리랑 로드’로 출발
1. 설렘과 긴장 112
2. 광저우 초입에서 진로를 바꾸다 114

Ⅱ. 김산과 홍군의 길 되짚어 동강지구로
1. 홍4사 성립지를 우선 들르다 120
2. 지파진의 혁명열사 추모비와 구옥들 127
3. 룽먼현 거쳐 백망갱으로 129
4. 만록호에 혹하고 남구진 거쳐 용와로 134
5. 고담진의 밤과 아침 140
6. 중동촌의 위엄과 홍2사의 목소리 145

Ⅲ. 하이펑에서의 김산과 홍4사
1. 공평진의 저우펑 생가를 찾아서 152
2. 연화산 선인동에서 154
3. 하이펑의 홍궁·홍장 구지를 돌아보며 157
4. 홍4사 주둔지와 유격근거지를 찾아보다 162
5. 하이펑에서의 김산과 동강당교 구지 164
6. 하이펑의 다른 유적과 인걸들의 면모 167

Ⅳ. 위기의 현장과 사투의 종적들
1. 하이루펑 공방전과 홍4사의 이동 궤적 176
2. 거듭되는 후퇴와 고난의 자취들 179
3. 사로잡혀 살해된 예용 184
4. 대남산의 동강특위 구지와 영웅동굴 185
5. 출로 찾아 산터우에서 홍콩으로 192
6. 후일담 몇 가지 195

Ⅴ. 광저우봉기 현장의 기억과 역사 유적들
1. 광둥 혁명사의 산모이자 관문인 황포군관학교 유지 202
2. 동정열사 묘원의 적요함 207
3. 중산대학 구지와 루쉰기념관의 아취 211
4. 광저우기의 기념관의 다변과 호기로움 219
5. 광저우기의 열사능원이 웅변해주는 것들 222
6. 황화강 72열사 능원의 자부심과 여유 231

맺는 이야기
1. 긴 여정을 끝내고 귀국길 234
2. 격정과 비애, 혹은 운명과 형식 235

참고문헌 241
찾아보기 245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