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조선과 명나라의 사행 외교사 1  이미지

조선과 명나라의 사행 외교사 1
전환, 운영, 노정, 접경
푸른역사 | 부모님 | 2025.11.19
  • 정가
  • 33,000원
  • 판매가
  • 29,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6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4 | 0.603Kg | 464p
  • ISBN
  • 9791156123095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작가 소개

지은이 : 조영헌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의 방문 학자와 하버드-옌칭연구소의 방문 연구원을 거쳐, 2006년에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홍익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를 지냈고(2007-2011), 2011년 이후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중국 대운하에서 활동했던 상인의 흥망성쇠 및 해양사가 주된 연구 주제이고, 2021년 '대운하 시대(1415-1784)'라는 시대 담론을 학계에 제기했다.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동양과 서양의 역사를 균형적으로 재해석하는 글쓰기에 힘쓰고 있다.저서로 《대운하 시대 1415-1784,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2021, 민음사, 2022 세종우수학술도서), 《대운하와 중국 상인―회·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2011, 민음사, 2012 학술원우수도서), 《옐로우 퍼시픽―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공저, 2020), 《포항 운하, 바닷길과 땅길을 잇다》(2024) 등이 있고, 역서로 《하버드 중국사 원·명―곤경에 빠진 제국》과 《바다에서 본 역사―개방, 경합, 공생-동아시아 700년의 문명 교류사》(공역) 등이 있다.DBR, 휴넷CEO, '서울경제', '벌거벗은 세계사' 등 다양한 매체와 미디어에서 중국 상인과 상업사에 대한 칼럼과 대중 강연도 병행 중이다.

  목차

● 책머리에 ………… 005

01. 명사의 조선 사행
명의조선사행인원: ‘제국의중개인’_조영헌 ………… 018
《사조선록》에 나타난 명 사신의 조선 인상_이성형 ………… 044

02. 상호 인식과 이해
조선 전기 명 사신과의 만남과 조선시의 발견:
‘배우는 시[學詩]’에서 ‘조선의 시[東詩]’로_노경희 ………… 076
16세기 대명 사행 속 명 문인 교류와 중국 인식:
16세기 사행록을 중심으로_김지현 ………… 104

03. 사행 의례와 물적 교류
조선 사신의 명 사행과 의례 절차의 재구성_정은주 ………… 140
조선 전기 대명 무역의 유형, 절차, 공간_구도영 ………… 180

04. 조선과 명의 주변 지역
조선은 왜 여진인을 대접했을까_박정민 ………… 216
조선 시대의 대일 사행_김경태 ………… 260
1575년 명-여송 교섭과 ‘공순’의 의미:
모범 사례로서의 조명관계에 대한 검토_남민구 ………… 290

● 주 ………… 310
● 찾아보기 ………… 390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