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편지는 일기만큼 내밀한 글이다. 체면과 명분 빼면 시체라 할 수 있는 그 옛날 조선시대 양반 역시 편지를 쓰며 민낯을 드러냈다. 이 책 『양반의 초상』은 19세기 조선 후기의 유학자 조병덕이 가족에게 남긴 편지 모음집으로, 『양반의 사생활』(푸른역사, 2008)의 개정판이다. 그동안 복간을 바라는 여러 기다림이 있었고, 16년 만에 궁리에서 도판, 원문 탈초, 해석 등 본문 체제를 대폭 달리하여 새롭게 독자를 찾아왔다.시문집 『숙재집』으로 잘 알려진 조병덕은 본래 권세를 누리던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조부 대부터 쭉 과거에 급제하지 못해 몰락한 처지였다. 그의 편지는 지금까지 발견된 조선시대 개인의 서간문으로는 최대 분량으로, 1,700여 통에 달한다. 주요 수신자는 사고를 치고 다니는 둘째 아들 조장희로, 양을 계산했을 때 6일에 한 번꼴로 보냈다.내가 늘 체증과 함께 설사로 고생하는 것은, 오직 걱정과 고민 속에 좋은 상황은 하나도 없는 데서 비롯되었다. 단지 죽음이 오기만을 기다릴 뿐이다.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느냐?
주경야독이라지만, 농사를 아무나 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서울의 대갓집에서 태어나 문약하기 짝이 없는 사람이 하루아침에 농사일을 할 수 있었겠는가? 게다가 예의와 체면에 젖어 있는 사람이 궁핍한 농촌생활을 견딜 수 있었겠는가? 불가능한 일이었다. 농촌에 적응하지 못한 조병덕은 재산을 까먹을 수밖에 없었다. 그의 주경야독은 이상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그는 수령으로 있는 자제들의 선물과 증여로 메울 수밖에 없었다.
조선시대 양반의 삶은 공과 사로 구분되어 있었다. 학문, 벼슬살이, 사회생활은 공에 속했고, 가정생활은 사에 속했다. (중략) 그들은 감정까지도 공과 사로 구분하고 있었다. 혹 사적인 감정이 드러날 경우, 반드시 ‘사적인’이라는 수식어를 앞에 붙였다. 가령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사적으로’ 슬펐고, 아들이 과거에 합격하면 ‘사적으로’ 기뻤다. 조병덕 편지의 내용은 사적인 영역에서도 가장 내밀한 부분에 속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하영휘
고문서를 통하여 조선시대를 연구하는 인문학자. 서강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3년간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을 연수하고, 1989년부터 2006년까지 고서, 고문서, 근현대서적을 소장한 현담문고(구 아단문고)에서 연구실장을 지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가회고문서연구소를 열고 동학들과 고문서를 연구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부교수로 재직했다.동학들과 『옛편지 낱말사전』을 편찬하고, 『조성당일기』 『윤이후의 지암일기』 등을 옮겼다. 경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데라우치 문고(일제의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수집한 조선시대 전적)의 서첩 자료를 석문, 번역, 해제한 『한마고전총서』(2~24집)를 완간했고,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소장 『근묵』 등 공공기관에 소장된 조선시대의 편지와 문서들을 많이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