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메이로쿠잡지(明六雜誌)』는 1873년 7월에 미국에서 귀국한 주미대리공사 모리 아리노리가 일본의 교육개혁을 목표로 동지들과 함께 설립한 학술결사 메이로쿠샤(明六社)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국가 건설을 위해 국민의 지적 수준 향상과 교육개선의 필요를 통감한 모리는 해외 학회에서 교류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 지식인들의 고립성과 폐쇄성을 타파하고, 지식인 간의 학문적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학술결사를 설립했다. 『메이로쿠잡지』는 메이로쿠샤 지식인들이 ‘교육의 진보’를 위해 지식을 보급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이른바 ‘문명개화’를 촉진하는 수단으로 삼고자 했던 것인데, 그 ‘문명개화’의 내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견이 제시될 수밖에 없었고, 이런 논의의 다양성과 논쟁이 이 잡지의 특징이 되었다. 또 이 잡지에는 당대 일본뿐 아니라 서양에서 유행하던 지식이나 사상들이 다채롭게 소개되고 있어서, 우리에게 현재 ‘상식’이나 ‘교양’으로 정착해 있는 지식의 기원과 전파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흥미로운 단서들을 제공해 준다.우리 나라에서 학술, 문예 모임을 결성하는 것은 오늘을 그 시작으로 한다. 그리고 모임을 함께하는 현자 여러분들은 모두 천하의 명사들이다. 모두 탁월하고 훌륭한 논의, 오랫동안 회자될 만한 이야기가 반드시 이 모임에서 나올 것이라고들 말한다. 부디 여러 선생의 탁식과 고견으로 몽매함의 잠을 깨우고 천하의 모범을 세워서 식자의 바람이 헛되지 않게 되기를 기원한다.
그런데 지금 우리 나라의 상황은 어떠한가. 인민 가운데 스스로 무언가 하려는 기개가 있는 자는 매우 부족하고, 아니 부족할 뿐만 아니라 거의 전무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심히 우려할 만하다. 이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전제군주(無限君主)의 전통으로 인해 정부의 명령이면 설령 무리한 것이라 해도 따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 그러므로 있는 힘껏 인민 자유 자주의 설을 주장하여, 가령 정부의 명령일지라도 무리한 것이라면 거부할 권리가 있음을 알게 하고, 우리 인민으로 하여금 자주 자유의 기상을 기르게 하는 것은 우리가 실로 바라는 바이다.
야만의 정치는 사람을 속박하고, 문명의 인민은 속박을 벗어난다. 문명과 야만의 구별은 오직 인민의 언행이 자유로울 수 있는지 없는지에서 찾을 수 있을 뿐이다. 무릇 사람의 정신이란 원래 자유로운 것이다. 군자는 세상일을 벗어나 한가로이 살아가며 하늘을 공경하고 올바름을 생각한다. 대악마왕이라도 절대 그 자유를 방해할 수 없다. 다만 그 언행에서 벗어나게 되면 권위를 행사하여 금지하거나, 혹은 법례를 정해서 억제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