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프랑스 갈리마르에서 2011년에 출간한 『자백의 대가Le Maitre Des Aveux』는 우리에게 1975년에서 1979년까지 4년 동안 캄보디아를 통치했던 크메르 루즈가 자행한 끔찍한 대학살의 실체를 더욱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S-21 교도소와 일명 ‘킬링필드’로 불리는 ‘쯔엉 엑’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생존자들의 처절한 증언은 독자들 또한 어느새 재판을 참관하는 한 사람이 되어 전범재판 과정을 지켜보게 만든다. 이 책의 제목 ‘자백의 대가’란 중의적인 의미에서 사용되었다. 첫째는 두크라는 인물이 자백을 받아내는 데 천부적인 소질을 갖추고 있는 인물이라는 점이다. 물론 자백은 거짓자백이며 그것을 이끌어낸 것은 극도로 잔인한 고문과 협박이었다. 그의 소질은 바로 모든 인간적인 감정을 버리고 교도소 수감자들을 죽음의 뻘로 밀어낼 수 있었던 사이코패스적 기질인 셈이다. 둘째로 ‘자백의 대가’라는 의미는 다른 한편으로 이 두크라는 인물이 법정에서 보여줘 사람들을 놀라게 한 뛰어난 재능을 의미한다. 그는 비상한 기억력으로 30년도 더 지난 일들을 기억해냈으며, 자신이 저지른 일들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법적 그물망을 교묘히 빠져나가는 정치적 고백으로 일관했다. 제목 ‘자백의 대가’에는 바로 이러한 악마적 마에스트로라는 이미지가 심겨져 있는 셈이다.지난날을 돌이켜보면 온몸에 소름이 돋는군요“제 본명은 깡 켁 이우Kaing Guek Eav이지만 혁명군에 들어가면서부터 두크Duch란 이름을 썼습니다. 저를 포함해 부모님과 식구들, 제 조국의 국민을 자유롭게 한다는 명분으로 혁명군에 가담했지요. 하지만 궁극적으로 제 조국은 참담한 비극을 겪어야 했고 170만 명이 넘는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한 인간으로서, 정의를 믿는 한 사람으로서 제가 몸담았던 캄푸치아 공산당이 이 모든 불행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그 사실을 인정하는 것조차 불가능했어요. 도망쳐 나올 수도 없었고 무조건 상급 기관의 명령에 복종해야 했으니까요. 저는 감옥에서 사람들을 심문하는 일을 주로 했어요. 결코 내 손으로 누군가를 죽인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직접 죽이진 않았어도 분명 저 대신 다른 사람이 할 수밖에 없는 일이었죠. 단지 제 손에는 펜이 들려 있었고 제 손놀림이 한 사람의 생사를 결정했어요. 제가 심문한 죄수에 대한 평가를 상부에 보고했으니까요. 저는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평가서를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는 죄수들의 자백을 근거로 새로운 범죄자를 체포하는 일에 혈안이 되어 있었죠. 저는 혁명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했고 제가 하는 일에 최선을 다했어요. 솔직히 말하면 그 당시엔 혁명 세력이 세운 정권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던 것 같아요. 하지만 세월이 한참 흐른 지금, 지난날을 돌이켜보면 온몸에 소름이 돋는군요. 제가 1만2000명이 넘는 사람을 죽이는 데 함께했다는 사실이 무척이나 부끄럽습니다.”
가짜로 즐거워한 연기가 들통나기도물론 두크도 정도를 벗어난 행동을 한 적이 있다. 자신이 보기에 약하고 우둔한 상대 앞에 서자 지나치게 우월감을 느낀 나머지 법정에서 피고인으로서 해서는 안 될 두 가지 행동, 즉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과 상대를 조롱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말았다. 또 가뭄에 콩 나듯 한 번씩 서투르게 굴 때가 있다. 그가 일한 교도소에서 살아남은 생존자 세 명 가운데 한 사람에게 억지로 동포애를 표현하려고 했는데 생각만큼 잘 되지 않아 가짜로 즐거워하는 연기가 들통난 적이 있었다. 현장에 있던 사람들은 두크의 신경질적인 웃음에 당혹스러워했다. 어느 순간 상황 파악을 한 두크가 얼른 손으로 입을 막더니 흥분을 가라앉혔다.
자백할 때까지 계속 전기고문심문관은 그에게 다짜고짜 “너는 반역자”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밀 회의를 몇 번이나 열었는지 물었다. 남자가 완 낫에게 말했다. “넌 횟수를 반드시 기억해내야만 한다. 앙카르가 실수를 할 리 없으니 너는 반역자가 틀림없어.” 심문관은 자백을 받기 위해 전깃줄을 꺼냈다. 완 낫의 눈에 벽에 걸린 비닐봉지가 들어왔다. 봉지에 핏자국이 선명하게 있었다. “자, 말해! 몇 번이나 모임을 열었냐고?” 대답을 못하자 첫 번째 전기 방전이 시작되었다. 결국 완 낫은 그 자리에서 기절했다. 심문관이 그의 얼굴에 물을 붓자 완 낫이 정신을 차렸다. 그 후 두 번째 전기 고문이 이어졌고 그는 또 기절하고 말았다. 그렇게 여러 번의 전기 고문이 계속되었다. 완 낫은 자신이 고문을 한 자들에게 뭐라고 대답했는지조차 기억이 나지 않았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티에리 크루벨리에
프랑스의 저널리스트로 전범들에 대한 국제재판을 전문적으로 취재해왔다. 펴낸 책으로 『실패한 자들의 재판: 르완다를 위한 뉘른베르크 재판인가』(2006) 등이 있다. 지은이는 예리한 관찰력과 필력을 바탕으로 현장에서보고 들은 것을 긴박감 넘치는 묘사와 예리한 질문으로 바꿔내는 데 천부적인 재능이 있다. 그가 찾아다녔던 법정에서 일어난 것은 늘 한 편의 드라마였으며 지은이는 민감한 연극적 감각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우리에게 당시에 일어난 일이 어떤 종류의 것이었는지를 들려준다. 그것은 법정 안에서의 일들을 넘어서서, 피고인의 개인적 삶에 대한 치밀한 조사, 온갖 증인이 쏟아놓는 다양한 사건과 장소에 대한 답사, 그리고 온갖 허구로부터 이 사실들을 보호하며 진실을 끌어낼 줄 알기 때문에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