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때로는 긴 설명보다 짧은 문장 하나가 마음을 움직인다. 흔들리는 삶의 갈피에서, 고전의 문장들은 조용한 대답이 되어준다.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는 고전을 사랑해온 저자가 그 문장 속에서 발견한 위로와 통찰, 그리고 내면의 변화를 차곡차곡 담아낸 기록이다. 이 책은 ‘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당위에서 출발하지 않는다. 오히려 오래된 문장을 천천히 곱씹으며 자신을 되돌아보고, 삶의 방향을 다듬어가는 한 사람의 여정을 따라간다. 《데미안》 《월든》 《이반 일리치의 죽음》 《토지》 《모비 딕》… 저자는 이 고전들 속에서 자신의 상처와 마주하고, 삶의 무게를 견디는 단서를 찾아냈다.저자는 말한다. “고전은 지나간 시대의 기록”이 아니라고. 오히려 시간의 풍파를 견뎌낸 문장들이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지고,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 이들의 마음을 두드릴 수 있다는 사실을 조용하지만 단단한 목소리로 들려준다. 삶의 어느 지점에서 멈춰야 했던 이들에게, 한 줄의 문장이 등을 토닥이고, 한 권의 책이 길을 비춰주는 경험. 그것이야말로 지금 우리가 고전에 다시 눈을 돌려야 하는 이유다. 《나는 왜 고전이 좋았을까》는 그렇게 오래된 문장 속 온기를 따라 걷는, 깊이 있는 독서의 동행이자 사유의 기록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신은하
책 모임을 사랑하는 독서 활동가입니다. 좋은 책일수록, 두꺼운 고전일수록 혼자 읽는 것보다 함께 읽을 때 더 깊이, 더 끝까지 읽을 수 있다고 믿는 ‘함께 읽기’ 마니아이기도 합니다. 사람은 쉽게 바뀌지 않지만, 책 모임을 통해서는 충분히 변할 수 있다고 믿기에 그 효과를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불과(문학 석사)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학 석사)를 졸업하고, 27년간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자와 기획자로 활동해 왔습니다. 아이들의 사춘기를 계기로 ‘엄마의 자아 찾기’를 시작했고, 2011년부터는 인문학 학습 모임에 꾸준히 참여해 오고 있습니다. 현재는 숭례문학당, 시립도서관, 고등학교 등에서 독서와 글쓰기 관련 강의를 하고 있으며, 어린이부터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하는 책 모임을 통해 ‘어제보다 오늘, 조금 더 성장하는 삶’을 실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