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제1부 _ 풍수사상의 기원과 이론적 기반
제1장 풍수사상의 기원과 전개
제1절 풍수사상의 기원과 전개
1. 풍수사상의 발생적 배경
2. 한반도 문화의 고고학적 증거와 풍수적 함의
3. 석재 사용의 문화적 함의와 사회적 맥락
4. 문헌에 나타난 한국 풍수사상의 흔적
5. 중국 풍수사상의 역사적 연원
제2절 풍수학의 정의와 전개
1. 풍수학의 기원과 명칭적 다양성
2. 풍수학의 학문적 전개와 주요 인물
3. 풍수학과 관련 학문 분야
4. 한국 풍수의 시원사상(始原思想)
제2장 한국 전통사상과 풍수의 수용
제1절 한국 고대 문화와 풍수적 전통
1. 고대 한국의 매장문화와 지리인식
2. 문헌에 나타난 초기 풍수 인식
제2절 한국 풍수사상의 형성과 발전
1. 통일신라시대 풍수의 도입과 전개
2. 불교·도교와 풍수의 융합
3. 유교적 예제와 풍수의 결합
제3절 한국 풍수의 독자적 특징
1. 비보(裨補) 사상의 발전
2. 민간 풍수의 전개
3. 도참사상과 풍수
제3장 풍수사상의 성립 및 관련 제반사상
제1절 풍수사상의 이론적 기반
1. 기(氣) 사상의 형성과 전개
2. 동기감응사상(同氣感應思想)의 발전과 풍수와의 연관성
3.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과 풍수이론
제2절 풍수와 관련된 제반사상(諸般思想)
1. 삼재사상과 천인감응사상의 철학적 기원과 발전
2. 인걸지령사상(人傑地靈思想)의 이론적 체계
3. 조종사상(祖宗思想)의 철학적 기반과 풍수학적 의의
제3절 풍수지리학의 형식이론
1. 용세론(龍勢論)
2. 혈장론(穴場論)
3. 사격론(砂格論)
4. 득파론(得破論)
5. 패철론(佩鐵論)과 택일론(擇日論)
6. 풍수 형식이론의 통합적 의의
제2부 _ 한국 풍수사상의 역사적 전개
제4장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의 풍수사상
제1절 삼국시대 이전의 풍수사상 기원
1. 한민족의 기원과 풍수사상의 연원
2. 고인돌 문화와 초기 풍수사상의 관계성
3. 단군신화의 풍수적 해석 논쟁
4. 한반도 고대 풍수사상의 학술적 의의
제2절 고구려의 풍수사상
1. 고구려 풍수사상의 문화적 배경과 문헌적 증거
2. 고구려 왕도와 능묘에 반영된 풍수사상
제3절 백제의 풍수사상
1. 백제 풍수사상의 문헌적 근거와 연구적 제약
2. 백제 왕도의 강변 입지 원칙과 풍수적 특성
3. 백제의 왕도와 능묘에 나타난 풍수사상의 특징
제4절 가야의 풍수사상
1. 가야의 능묘와 사찰에 나타난 풍수사상의 특징
2. 가야의 장태 습속과 풍수사상의 문화적 의의
제5절 통일신라의 풍수사상
1. 신라의 문헌에 나타난 풍수사상
2. 신라의 왕궁과 능묘에 나타난 풍수사상의 특징과 의의
3. 신라시대 사찰의 풍수지리학적 입지
4. 통일신라의 도선과 풍수사상
제5장 고려시대의 풍수사상의 전개와 실천
제1절 고려의 건국과 풍수사상
1. 고려 건국의 풍수사상적 기반
2. 왕건의 <훈요십조>에 나타난 풍수사상
3. 개경 정도와 풍수사상
제2절 고려 왕실의 풍수사상 실천
1. 고려시대 왕실의 태실 조성과 풍수사상
2. 고려 왕실의 무덤 조성과 풍수사상
3. 고려 왕실의 풍수연기사상
제3절 고려시대 풍수의 제도화와 민간 확산
1. 고려시대의 풍수제도
2. 풍수 서적과 인물
3. 민간의 풍수사상
제6장 조선의 풍수
제1절 조선 초기 풍수사상의 특징
1. 조선왕조의 성립과 풍수사상
2. 풍수사상에 따른 한양 정도(定都)
3. 풍수사상에 의한 한양 도성과 궁궐 조성
4. 종묘사직과 한양 성곽의 축조
5. 태실 조성과 풍수
6. 왕릉 조성과 풍수
제2절 조선 중기 이후 풍수사상의 변화
1. 조선시대의 풍수 관련제도 및 도서
2. 조선시대의 풍수가
3. 조선시대의 풍수 서적
4. 인문지리서와 지도
제3절 조선시대 풍수사상의 함의
1. 삼재사상(三才思想)과 삼신오제사상(三神五帝思想)
2. 삼신오제사상의 신앙적 측면
3. 지령인걸사상(地靈人傑思想)과 망기사상(望氣思想)
4. 조종사상과 형국사상
5. 도참사상과 복지사상
6. 비보풍수사상
제4절 조선시대 풍수 운용의 실제
1. 조선시대 묘지풍수신앙과 산송(山訟)에 관한 법적 고찰
2. 조선시대 묘지풍수신앙에 대한 법적 규제
3. 분묘의 공간적 제한과 법제적 보호
4. 발총훼묘(發塚毁墓)[사굴노관(私掘露棺)]에 대한 규제
5. 조선시대 묘지풍수신앙과 산송의 역사적·법제적 고찰
6. 조선시대 분묘범죄와 산송의 유형
제3부 _ 실학과 풍수의 만남
제7장 실학의 성립 배경과 학문적 특성
제1절 실학(實學)의 사상적 근원과 계보에 관한 고찰
1. 양명학(陽明學)의 발생과 전개
2. 양명학(陽明學)의 본질
3. 양명학의 수용과 실학의 출현
제2절 실학(實學)의 개념과 계보
1. 실학의 개념과 특성
2. 근기실학(近畿實學)의 계보와 특성
3. 실학적 풍수론의 시대적 배경: 조선 후기 사회변동과 지식 패러다임의 전환
4. 조선시대 산송(山訟)의 심화와 실학적 풍수론의 성립
제3절 실학자들의 풍수이론
1. 조선후기 풍수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변화
2. 실학자들의 풍수 비판과 재해석
3. 주요 실학자의 풍수이론 사례에 관한 학술적 고찰
4. 실학자들의 ‘反풍수론’ 재검토
5. 성리학과 풍수학의 융합
6. 정원과 건축에 나타난 풍수미학: 조선시대 공간문화의 철학적 탐구와 현대적 계승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