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한국 풍수사상의 역사 : 상 이미지

한국 풍수사상의 역사 : 상
한국도시환경연구원 | 부모님 | 2025.11.15
  • 정가
  • 50,000원
  • 판매가
  • 45,000원 (10% 할인)
  • S포인트
  • 2,500P (5% 적립)
  • 상세정보
  • 19x26 | 1.699Kg | 894p
  • ISBN
  • 979119945477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왕조의 흥망과 사회 체제의 변화 속에서도 풍수사상이 지속된 이유를 탐구하며, 고대 거석문화부터 삼국·고려·조선, 실학자들의 비판적 수용까지 통시적으로 정리한 연구서다. 풍수가 미신이나 술수가 아닌 시대별 철학·문화 맥락 속에서 재해석된 사상체계임을 밝히며 왕릉·사찰·서원 입지와 국가 운영에서 수행한 역할을 구체적 사례로 추적한다. 저자는 자연과의 공존을 중시한 풍수의 지혜가 생태 위기가 대두된 오늘 새로운 의미를 지닌다고 말한다.

출판사 서평은 경복궁·종묘·조선왕릉·불국사·서원·전통마을 등 주요 문화유산이 풍수 원리에 따라 조성되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김덕기 교수가 20여 년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한국 풍수사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의의를 짚는다. 풍수를 시대별 사상·문화 맥락 속에서 이해한 점을 학술적 기여로 평가하고, 전통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관점을 오늘의 문화 이해에 중요한 지침으로 제시한다.

  출판사 리뷰

한 사상이 천 년을 넘어 지속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도 왕조의 흥망성쇠
와 사회 체제의 급격한 변화를 거치며, 때로는 미신으로 폄하되고 때로는 과학으로 재평
가되는 부침을 겪으면서도 여전히 우리 삶 속에 살아 숨 쉰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2025년 가을 북한강변에서 이 책의 마지막 교정을 보며 나는 다시 한번 풍수사
상의 생명력에 대해 생각한다. 강물이 산을 감싸 도는 이곳의 지형을 바라보며, 천 년
전 우리 선조들도 이와 같은 풍경 앞에서 땅의 이치를 읽고자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한국 풍수사상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고찰한 연구서이다. 고대 한반도의 거석
문화에서 시작하여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조선 후기 실학자
들의 비판적 수용에 이르기까지 풍수사상이 어떻게 전개되고 변화해왔는지를 체계적으
로 추적하였다. 특히 이 책에서 주목한 것은 풍수사상이 단순한 미신이나 술수가 아니라,
각 시대의 철학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재구성되어온 살아있는
사상체계라는 점이다. 고려시대에는 불교와 결합하여 호국의 이념이 되었고, 조선시대
에는 성리학과 융합하여 예제(禮制)의 일부가 되었으며, 실학의 시대에는 비판적 검토의
대상이 되면서도 그 합리적 요소는 계승되었다.

제1부에서는 풍수사상의 기원과 이론적 기반을 다루었다. 동아시아 사상사의 맥락에
서 풍수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한반도에 수용되면서 어떤 독특한 특징
을 갖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2부에서는 한국사의 각 시대별로 풍수사상이 어떻게 전개되고 실천되었는지를 구
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왕도의 선정, 왕릉과 태실의 조성, 사찰과
서원의 입지 선정 등에서 풍수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상세히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풍수를 어떻게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재해석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들의 노력은 전통 사상을 맹목적으로 계승하거나 전면 부정
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검토를 통해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 지적 작업의 모범
을 보여준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천 년 전의 사상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나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이 책 전체를 통해 제시하고자 했다. 생태 위기와 환경 파괴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오늘날,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했던 풍수사상의 지혜는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한국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한다면 풍수사상을 빼놓을 수 없다. 우리가 자랑스
럽게 여기는 문화유산들 - 경복궁과 창덕궁, 종묘와 조선왕릉, 불국사와 해인사, 도산서
원과 병산서원, 하회마을과 양동마을 - 이 모든 것들이 풍수사상의 원리에 따라 조성되었
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수사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피상적이고 단
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덕기 교수의 『한국 풍수사상의 역사』는 실로 반가운 학술적 성과
가 아닐 수 없다. 저자는 20여 년간의 연구를 집대성하여 한국 풍수사상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고대 거석문화에서 시작하여 삼국시대, 고
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비판적 수용에 이
르기까지 풍수사상의 역사적 궤적을 일목요연하게 추적하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학술적 기여는 풍수사상을 각 시대의 사상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 했다는 점이다. 저자는 풍수가 고정불변의 교조적 체계가 아니라,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변용되어온 살아있는 사상임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 책이 주는 시사점은 크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생태 위기와 환경 파괴가 심각한 오늘날,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했던 풍수사상
의 지혜는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또한 전통을 맹목적으로 계승하거나 전면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검토를 통해 창조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전통문
화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목차

제1부 _ 풍수사상의 기원과 이론적 기반

제1장 풍수사상의 기원과 전개

제1절 풍수사상의 기원과 전개

1. 풍수사상의 발생적 배경
2. 한반도 문화의 고고학적 증거와 풍수적 함의
3. 석재 사용의 문화적 함의와 사회적 맥락
4. 문헌에 나타난 한국 풍수사상의 흔적
5. 중국 풍수사상의 역사적 연원

제2절 풍수학의 정의와 전개

1. 풍수학의 기원과 명칭적 다양성
2. 풍수학의 학문적 전개와 주요 인물
3. 풍수학과 관련 학문 분야
4. 한국 풍수의 시원사상(始原思想)

제2장 한국 전통사상과 풍수의 수용

제1절 한국 고대 문화와 풍수적 전통

1. 고대 한국의 매장문화와 지리인식
2. 문헌에 나타난 초기 풍수 인식

제2절 한국 풍수사상의 형성과 발전

1. 통일신라시대 풍수의 도입과 전개
2. 불교·도교와 풍수의 융합
3. 유교적 예제와 풍수의 결합

제3절 한국 풍수의 독자적 특징

1. 비보(裨補) 사상의 발전
2. 민간 풍수의 전개
3. 도참사상과 풍수

제3장 풍수사상의 성립 및 관련 제반사상

제1절 풍수사상의 이론적 기반

1. 기(氣) 사상의 형성과 전개
2. 동기감응사상(同氣感應思想)의 발전과 풍수와의 연관성
3.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과 풍수이론

제2절 풍수와 관련된 제반사상(諸般思想)

1. 삼재사상과 천인감응사상의 철학적 기원과 발전
2. 인걸지령사상(人傑地靈思想)의 이론적 체계
3. 조종사상(祖宗思想)의 철학적 기반과 풍수학적 의의

제3절 풍수지리학의 형식이론

1. 용세론(龍勢論)
2. 혈장론(穴場論)
3. 사격론(砂格論)
4. 득파론(得破論)
5. 패철론(佩鐵論)과 택일론(擇日論)
6. 풍수 형식이론의 통합적 의의

제2부 _ 한국 풍수사상의 역사적 전개

제4장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의 풍수사상

제1절 삼국시대 이전의 풍수사상 기원

1. 한민족의 기원과 풍수사상의 연원
2. 고인돌 문화와 초기 풍수사상의 관계성
3. 단군신화의 풍수적 해석 논쟁
4. 한반도 고대 풍수사상의 학술적 의의

제2절 고구려의 풍수사상

1. 고구려 풍수사상의 문화적 배경과 문헌적 증거
2. 고구려 왕도와 능묘에 반영된 풍수사상

제3절 백제의 풍수사상

1. 백제 풍수사상의 문헌적 근거와 연구적 제약
2. 백제 왕도의 강변 입지 원칙과 풍수적 특성
3. 백제의 왕도와 능묘에 나타난 풍수사상의 특징

제4절 가야의 풍수사상

1. 가야의 능묘와 사찰에 나타난 풍수사상의 특징
2. 가야의 장태 습속과 풍수사상의 문화적 의의

제5절 통일신라의 풍수사상

1. 신라의 문헌에 나타난 풍수사상
2. 신라의 왕궁과 능묘에 나타난 풍수사상의 특징과 의의
3. 신라시대 사찰의 풍수지리학적 입지
4. 통일신라의 도선과 풍수사상

제5장 고려시대의 풍수사상의 전개와 실천

제1절 고려의 건국과 풍수사상

1. 고려 건국의 풍수사상적 기반
2. 왕건의 <훈요십조>에 나타난 풍수사상
3. 개경 정도와 풍수사상

제2절 고려 왕실의 풍수사상 실천

1. 고려시대 왕실의 태실 조성과 풍수사상
2. 고려 왕실의 무덤 조성과 풍수사상
3. 고려 왕실의 풍수연기사상

제3절 고려시대 풍수의 제도화와 민간 확산

1. 고려시대의 풍수제도
2. 풍수 서적과 인물
3. 민간의 풍수사상

제6장 조선의 풍수

제1절 조선 초기 풍수사상의 특징

1. 조선왕조의 성립과 풍수사상
2. 풍수사상에 따른 한양 정도(定都)
3. 풍수사상에 의한 한양 도성과 궁궐 조성
4. 종묘사직과 한양 성곽의 축조
5. 태실 조성과 풍수
6. 왕릉 조성과 풍수

제2절 조선 중기 이후 풍수사상의 변화

1. 조선시대의 풍수 관련제도 및 도서
2. 조선시대의 풍수가
3. 조선시대의 풍수 서적
4. 인문지리서와 지도

제3절 조선시대 풍수사상의 함의

1. 삼재사상(三才思想)과 삼신오제사상(三神五帝思想)
2. 삼신오제사상의 신앙적 측면
3. 지령인걸사상(地靈人傑思想)과 망기사상(望氣思想)
4. 조종사상과 형국사상
5. 도참사상과 복지사상
6. 비보풍수사상

제4절 조선시대 풍수 운용의 실제

1. 조선시대 묘지풍수신앙과 산송(山訟)에 관한 법적 고찰
2. 조선시대 묘지풍수신앙에 대한 법적 규제
3. 분묘의 공간적 제한과 법제적 보호
4. 발총훼묘(發塚毁墓)[사굴노관(私掘露棺)]에 대한 규제
5. 조선시대 묘지풍수신앙과 산송의 역사적·법제적 고찰
6. 조선시대 분묘범죄와 산송의 유형

제3부 _ 실학과 풍수의 만남

제7장 실학의 성립 배경과 학문적 특성

제1절 실학(實學)의 사상적 근원과 계보에 관한 고찰

1. 양명학(陽明學)의 발생과 전개
2. 양명학(陽明學)의 본질
3. 양명학의 수용과 실학의 출현

제2절 실학(實學)의 개념과 계보

1. 실학의 개념과 특성
2. 근기실학(近畿實學)의 계보와 특성
3. 실학적 풍수론의 시대적 배경: 조선 후기 사회변동과 지식 패러다임의 전환
4. 조선시대 산송(山訟)의 심화와 실학적 풍수론의 성립

제3절 실학자들의 풍수이론

1. 조선후기 풍수사상의 시대적 배경과 변화
2. 실학자들의 풍수 비판과 재해석
3. 주요 실학자의 풍수이론 사례에 관한 학술적 고찰
4. 실학자들의 ‘反풍수론’ 재검토
5. 성리학과 풍수학의 융합
6. 정원과 건축에 나타난 풍수미학: 조선시대 공간문화의 철학적 탐구와 현대적 계승

참고문헌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