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이원종
세상에 널리 이로운 일을 할 때 비로소 행복해진다고 믿는 18년 차 엔지니어. 25년간 학계와 업계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그래픽스와 GPU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았다. 한국에서 쌓은 경력만으로 실리콘밸리 테크 대기업으로 이직한 도메인 전문가다. 삼성종합기술원에서 11년간 재구성 가능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 GPU 과제에 참여했고, 광선 추적(ray tracing)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R&D 팀을 이끌었다. 미국 산타클라라 소재 인텔 본사로 이직 후 5년간 리서치 사이언티스트로 재직하며, 그래픽스 프로그래밍 모델, AI 기반 그래픽스, 렌더링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했다. 이후 AMD로 이직하여, 현재까지 프린시펄 아키텍트로서 AMD의 차세대 GPU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예나빠'라는 필명으로 브런치에 미국 생활, 실리콘밸리 일상, 엔지니어 커리어에 대한 글을 연재하고 있고 Q&A 채널을 통해 한국의 공학도와 현직자들을 돕고 있다. https://brunch.co.kr/@airtight현) AMD GPU 담당 프린시펄 아키텍트(principal GPU architect)전) 인텔 리서치 사이언티스트 삼성종합기술원 전문 연구원
서문
1부 실리콘밸리와 엔지니어
1장 왜 실리콘밸리인가?
한국과 미국의 IT 산업 변천사, 그리고 나
실리콘밸리는 어떻게 세계 IT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나
그들이 알아서 열심히 하는 이유
글로벌 스탠더드의 내밀한(?) 탄생
2장 엔지니어의 경력 경로
한국 엔지니어의 경력 경로
미국 엔지니어의 경력 경로
2부 글로벌 엔지니어 성장 로드맵
3장 학부 LEVEL: 기초의 중요성
전공은 내 경력의 시작
대학에 와서 국어, 영어, 수학을 다시 공부해야 하는 이유
한 줄의 스펙 NO, 실무 능력과 경험 YES
4장 대학원 LEVEL: 미래를 선점하고 전문성을 확보하라
대학원, 왜 가십니까?
대학원에서 세부 전공을 정하는 방법
석사 과정: 연구는 못해도 얻어갈 건 있다
박사 과정: 첫째는 논문, 그러나 논문이 전부는 아니다
5장 직장인 LEVEL: 시간과 경력 관리 싸움
갈 거라면 빨리 가야 하는 이유
실리콘밸리가 원하는 인재의 제1조건
도메인 전문성 VS 스킬셋 전문성
핵심은 경력 관리
6장 이제 실리콘밸리로!
실리콘밸리로 향하는 경로 정리
미국 테크 회사 채용 과정
체류 신분: 비자와 영주권 A-Z
영어는 어느 정도로 준비해야 할까?
미국 이주 경로와 시기 총정리
데이터로 보는 실리콘밸리 진출 경로
실리콘밸리 취업 시장 동향 및 전망
3부 세상이 엔지니어에게 원하는 것
7장 엔지니어는 읽고 쓰고 생각하는 사람
책 읽는 엔지니어가 결국 살아남는다
글쓰기 3원칙
작지만 큰 차이를 만드는 보고서 작성 팁
논문은 서론이 99%
전문성의 또 다른 증명: 특허
8장 커리어가 상승하는 소프트 스킬
당신은 '함께 일하기 좋은 사람'입니까?
급조된 추천인은 무용지물
세련된 자기 홍보 기술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기술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기획자 마인드
9장 성장하거나 후회하거나, 엔지니어의 이직
그들이 이직하는 이유
이직이 후회될 때
해외 이직 시 지켜야 할 것
4부 실리콘밸리에 대한 현실적인 이야기
10장 실리콘밸리 빅테크 엔지니어의 삶
Fit이라는 말이 내포하는 것
재택근무가 가진 의미
벗을 기다리며
'일보다는 가족'이 내게 어려웠던 이유
때론 남이 낫다
나이스한 매니저와의 추억
이방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실리콘밸리에 살려면 연봉은 얼마를 받아야 해요?
정리해고가 상식인 세상에 대처하는 법
11장 마치며, 엔지니어의 미래 그리고 업의 본질에 관하여
AI 시대의 엔지니어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엔지니어
후주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