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옷이 인간의 필요와 욕망, 시대의 상징이라는 관점을 중심에 두고 성경의 선악과 이야기부터 유목민족의 바지, 헨리 8세의 코드피스, 루이 14세의 스타킹, 프리다 칼로와 앙드레 김까지 이어지는 26가지 트렌드를 인문학적으로 풀어낸다. 서민의 생존 도구이자 권력자의 지위 표식이었던 옷이 어떻게 문화적 상징이 되었는지, ‘호모 인두투스’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과 옷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한다.
세계인이 열광하는 조선의 갓을 포함해 수천 년의 역사를 가로지르는 복식 변화를 따라가다 보면 현대 K-컬처의 기반이 우연이 아님을 읽게 된다. 작가가 직접 그린 크로키가 이해와 재미를 더하며, 한 권으로 인류사의 주요 장면을 훑고 싶은 독자와 부담 없이 읽는 인문 교양서를 찾는 이들에게 적합하다.
출판사 리뷰
인간은 왜 입고 무엇을 표현하는가?
유목민족이 발명한 바지, 십자군 병사의 파우치, 헨리 8세의 코드피스,
스칼렛과 코르셋, 앙드레 김의 흰옷, 21세기를 사로잡은 조선의 갓까지
26가지 트렌드로 읽는 인문학 이야기가 펼쳐진다!
인류는 왜 옷을 입기 시작했을까. 저자는 이 질문으로 책의 시작을 연다. 성경 창세기의 선악과 이야기를 통해 맨몸에 대한 부끄러움 그리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를, 인류가 옷을 입게 된 원인으로 정리한다. 그렇게 탄생한 옷은 필요를 넘어서 인간의 욕망을 대변하는 존재로 발전해 나간다. 옷은 서민들에게는 생존을 위한 도구였지만, 부와 권력을 차지한 이들에게는 사회적 지위와 권위의 상징이었다. 시간 그리고 트렌드에 따라 옷의 형태가 각양각색으로 변화해도 본질은 단순하다. 옷은 인간의 필요와 욕망의 집약체이자, 개인과 시대를 대변하는 문화적 상징이라는 것. 작가는 이런 의미를 담고자 입는 인간, 즉 ‘호모 인두투스(Homo Indutus)’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그래서 이 책은 단순히 옷 이야기가 아니라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 책에는 성경 창세기의 선악과 이야기부터 유목민족의 바지, 이집트의 로인클로스, 십자군 병사의 파우치, 헨리 8세의 코드피스, 루이 14세의 스타킹, 외제니와 시씨의 황후 드레스, 프리다 칼로의 테우아나 스타일, 앙드레 김의 흰옷, 세계인이 열광하는 조선의 갓까지, 유구한 역사 속에서 ‘인류가 입고 표현한 26가지 트렌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작가가 직접 그린 크로키 그림 덕분에 보는 재미를 더했다.
수백, 수천 년 전의 역사를 가로지르며 인류가 입고 표현했던 것들을 탐구하고 그에 대한 통찰을 따라가다 보면, 오늘날 전 세계를 사로잡은 K-컬처가 절대 우연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한 권으로 인류사의 주요 사건을 알고 싶은 분들,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인문 교양서에 목마른 분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자신의 말을 따르지 않은 인간들에 대한 배신감과 괘씸함에 치를 떨기보다 옷을 지어 입힌 것이다. 그것도 직접. 하긴, 가죽옷은 무화과 나뭇잎으로 만든 치마에 비할 수 없을 만큼 튼튼하다. 따라서 인류 최초의 디자이너는 바로 신이다.
모피는 인류가 자연과 싸우며 얻은 가장 실용적이고 의미 있는 결과물이었다. 사냥에 성공하여 동물을 얻었다는 것은, 곧 식량과 의복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의미이다. 동물사냥으로 인해 먹고, 그 가죽을 취해 몸을 보호하면서 인류는 비로소 번성할 수 있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다소미
옷을 짓고, 누군가 그 옷을 입는다는 사실이 가장 행복하다. 패션 디자이너이자 사업가이고,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신입 디자이너 시절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근무하면서, K-패션이 한류를 타고 전 세계로 뻗어 나가는 현장에 함께했다. 그 후 패션 브랜드 d.ASOMI(디애소미)를 만들어 한국과 중국, 일본의 수많은 고객들에게 사랑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 경영학과에서 국제반 책임교수로 재직하며 한류에 매료된 외국인 대학원생들에게 문화산업과 창업, 한류 컨텐츠를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다수의 기업에서 패션 역사와 ‘일상 속 입는 즐거움’에 대한 특강을 진행하고 있으며, 패션 매거진 등에 칼럼을 기고하기도 했다. 언제나 옷 이야기를 하면 가슴이 뛰는, 천상 옷 짓는 사람이다.
목차
프롤로그
01 인류 최초의 디자이너
02 스키타이 여왕의 고깔모, 로마 장군의 붉은 깃털 투구
03 유목민족, 바지를 발명하다
04 최대한의 실용&최소한의 보호, 이집트 노동자의 로인클로스
05 그리스에서 시작된 명품의 미학, 드레이핑
06 동서양 문명 교류의 증인, 북제 서현수
07 모피(1) : 생존을 넘어 사회적 지위의 상징으로
08 모피(2) : 권력과 부 그리고 현대의 욕망
09 실크로드와 모피로드
10 십자군 병사들은 파우치에 무엇을 담았을까
11 레오나르도와 보티첼리, 두 거장이 남긴 것
12 과장된 패션을 즐긴 절대 권력자 헨리 8세
13 메리와 엘리자베스, 성격만큼 상반된 패션 스타일
14 루이 14세의 스타킹과 절대 왕정의 상관관계
15 마리 앙투아네트가 잘린 머리를 들고 올림픽에 등장한 이유
16 외제니와 시씨, 낭만의 황후 드레스
17 스칼렛은 왜 허리를 조였을까
18 말 안장으로 시작된 명품계의 전설, 에르메스
19 제1차 세계대전 때 영국군을 지켜준 트렌치코트
20 혁명은 붉은 프리다를 입는다
21 샤넬과 스키아파렐리, 세기의 패션 대결
22 화학섬유 혁명의 그늘, 프라다 열풍에 앞서 기억해야 할 것
23 미니스커트의 그녀들, 메리 퀀트와 윤복희
24 한민족의 백의 그리고 앙드레 김
25 악동 고티에의 별, 마돈나의 원추형 브라
26 조선의 갓, 21세기를 사로잡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