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조덕호
대구대학교 명예교수는 영남대 학사, 서울대 석사,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의 Urban and Regional Planning, Ph.D.를 취득하였다. 저자는 한국 사회의 복지 및 지역 발전 분야에서 독보적인 정책 해법을 제시해 온 학자이다. 400여편이 넘는 방대한 논문과 대한지방자치학회, 한국정부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 등 주요 학회장을 역임했다. 문경세계군인올림픽, 주택연금 및 농지연금 제안 등 저자의 연구는 국민 실생활에 크나큰 영향력을 미쳤다.
들어가며
제1편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1장. AI의 개념과 본질
1. 도구의 역사와 AI의 특수성
2. AI의 본질과 학습 능력
3. AI의 사회적 활용과 파급효과
4. AI의 위험성과 윤리적 과제
5. 인류와 AI의 공존을 위한 길
2장. 검색엔진과 AI는 무엇이 다른가?
1. 질문의 시작
2. 검색엔진과 AI의 근본적인 차이
3. 작동 원리의 차이
4. 2가지 기능의 융합
3장. AI 서비스 비교 (ChatGPT, Gemini, Perplexity, Liner)
1. AI 시대의 선택 과제
2. ChatGPT
3. Gemini
4. Perplexity
5. Liner
6. 요약
4장. 우리는 왜 AI를 알아야 하는가?
1. ‘새로운 불’의 발견: 인류 문명의 분기점
2. 일자리와 생존 전략
3. AI 문해력과 인간성 시험대
4. 인간과 AI의 동반자 관계
5. 요약
5장. AI 시대로의 대전환
1. 쇄국정책: 변화의 거부가 불러온 비극
2. AI 시대: 또 다른 문명적 변곡점
3. 쇄국의 교훈과 오늘의 선택
4. AI 시대로의 변화 거부가 불러올 결과
5. 미래를 위한 결단: 개방과 융합
6장. AI로 변화되는 새로운 삶의 지평
1. 집안 깊숙이 스며드는 AI
2. 노동의 성격을 바꾸는 AI
3. 병원과 돌봄 속 AI
4. 교육과 학습 속 AI
5. 사회와 문화 속 AI
6. 요약
7장. AI의 비약적 발전 요인
1. 컴퓨팅 파워의 폭발적 증가와 인프라 혁신
2. 고품질 빅데이터의 확보
3. 알고리즘 혁신과 모델 아키텍처의 진화
4. 연구자원 개방, 투자환경 및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8장. AI와 사람
1. 공통점
2. 차이점
3. 요약
제2편 AI의 먹이와 인프라
9장. 데이터 공장의 건립
1. 굶주리는 AI와 AI의 먹이
2. 좌표 없는 통계: 보이지 않는 그림
3. 좌표 기반 데이터 융합
4. 대한민국의 미래: 데이터 공장에서 시작
10장. 빅데이터(위성영상·지리정보시스템·통계)의 융합과 QGIS
1. 위·지·통 빅데이터
2. 융합 빅데이터: 좌표가 열쇠
3. 좌표 기반 융합의 힘
4. 융합 빅데이터가 여는 미래
5. 빅데이터와 개인정보
6. 빅데이터의 역할과 데이터 경제
11장. 국가빅데이터청의 설립
1. 데이터의 분절화와 통합의 필요성
2. 국가빅데이터청 설립
3. QGIS 기반의 실시간 가상현실 구현
4. 국가 대개조의 비전
12장. 데이터 시대의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역구독경제
1. 시장경제에서 새로운 경제로
2. 공유경제
3. 구독경제: 이용을 예약하는 경제
4. 역구독경제: 데이터를 제공하고 보상을 받는 경제
5. 역구독경제의 실제와 사례
6. 역구독경제와 안심사회
7. 전망과 과제
8. 요약
13장. 고속도로 구조 대개편과 지역균형발전
1.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의 심각성
2. 고속도로: 연결 아닌 단절의 구조
3. 휴게소 중심 소비 구조의 문제점
4. 해외 사례에서 얻는 교훈
5. 한국형 전환 전략
6. 요약
14장. 통장주택과 대한민국 주택시장 혁신
- 서울 주택문제 해결의 새로운 패러다임
1. 부동산이라는 이름의 굴레: 고착된 자산 구조의 사회경제학
2. 토지가격이라는 명목가치의 함정과 유동화의 가능성
3. 통장주택의 개념과 제도 설계
4. 해외 사례와의 비교: 유동화 자산의 사회적 활용
5. 수도권 집중의 구조적 문제와 통장주택의 경제효과
6. 1가구 1주택 원칙과 사회적 형평성
7. 단계적 실행 방안과 제도 정착 전략
8. 통장에서 사회로: 새로운 경제철학의 제안
15장. AI를 통한 세계 선도국으로서의 비전
1. 목활자, 금속활자의 정신과 대한민국의 선도 잠재력
2. AI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국가전략
3. AI와 정신혁명의 융합
4. 지구촌 문제 해결을 주도하는 대한민국
5.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 AI 강국에서 인류의 정신적 지도국으로
제3편 AI 시대와 정신혁명
16장. AI 시대 일자리 위기와 대책
1. AI가 바꾸는 노동의 지형도
2. 취업 사회에서 창업 사회로
3. 직업 구조의 변화: 피라미드에서 모래시계로
4.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청년연금
5. 사회적 안전망과 노동 정책의 대전환
6. 요약
17장. 디지털 사회의 부작용
1. 끊임없는 연결은 피로로 이어진다
2. 정보의 홍수와 사고의 마비
3. 고립과 왜곡된 인간관계
4. 인간의 주체성 상실
5. 요약
18장. AI 시대 왜 정신혁명을 말하는가?
1. AI의 발전과 그 한계
2. 인간의 책임과 사회적 대응
3. 물질문명의 압도와 정신적 결핍
4. 정신을 가다듬는 길과 AI의 미래
19장. AI 시대 정신혁명,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1. 기술의 발전과 인간 능력의 간극
2. 국민 AI 교육과 심육(心育)의 병행
3. 정신혁명의 필요성과 출발점
4. 정신혁명의 지향점
20장. AI 시대의 공부, 무엇이 달라져야 하는가?
1. 지식 축적의 시대에서 질문의 시대로
2.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능력
3. AI를 넘어서는 공부
4. 공부의 목표: 지식에서 지혜로
5. 공부의 재정립: 평생의 여정
21장. AI 시대, 정신은 어디로 가고 가는가?
1. 눈부신 AI의 발전
2. 사라지는 정신 공동체
3. 인간 정신의 길을 묻다
4. 새로운 정신혁명으로
5. AI 시대의 길
22장. 스마트폰과 원효의 무애사상(無碍思想)
1. 기술이 열어준 무애
2. 정신이 이끄는 무애
3. 기술과 정신 융합의 길
23장. 한류 열풍과 홍익인간
1. 한류 열풍
2. 홍익인간
3. 문화콘텐츠 속에 담긴 인류애의 메시지
4. 한류와 홍익인간
5. 요약
24장. 유불선 회통과 정신혁명
1. AI의 발전과 인류의 위기
2. 인간의 본래 자성과 윤리적 인간의 필요성
3. 유불선 회통과 정신혁명의 길
4. 유토피아를 향한 인류의 미래 비전
25장. 심육(心育)·체육(體育)·지육(知育)의 균형으로 이루는 중도세계
1. 지육의 찬란한 성장과 그림자
2. 체육과 심육 부재가 만드는 현실의 균열
3. 삼육[心育·體育·知育]의 회복
4. 중도세계를 그리며
26장. 명상과 정신혁명
1. 명상열풍과 인류의 새로운 전환점
2. 심육(心育)과 체육의 필요성
3. AI 시대의 위기와 정신혁명의 과제
4. 명상과 정신혁명의 구체적 실천 방향
5. 미래를 여는 길
27장. 개벽사상(開闢思想)과 정신혁명
1. 한국 근대의 정신적 전환과 개벽사상의 탄생
2. 개벽과 정신혁명: 내면으로부터의 혁명
3. AI 시대의 도전과 정신의 위기
4. AI 시대의 정신혁명: 인간의 재탄생
5. 한국 사회의 과제
6. 요약
제4편 AI 시대 정신혁명의 선도국, 대한민국
28장. 한류의 바탕, 한글의 세계화
1. 한류를 꽃피운 문화콘텐츠: 그 언어적 기반
2. 한글: 디지털 시대의 과학 문자로 거듭나다
3. 한글: 세계화를 위한 전략과 과제
4. 요약
29장. 공익풍수와 ESG: 전통과 현대의 융합
1. 풍수의 본래 의미와 변용
2. 서구 근대철학과 자연 정복의 패러다임
3. 공익풍수: 환경과 공동체를 고려하는 새로운 해석
4. ESG와 공익풍수의 접점
5. 미래 사회를 위한 제언
30장. AI 시대의 교육 대전환: 질문과 표현의 혁명
1. 교육의 본질
2. 한국 교육의 문제
3. AI 시대의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
4. 대한민국 교육의 대전환 전략
5. 요약
31장. 홍익인간과 지혜민주주의(知慧民主主義)
1. 홍익인간: 이타(利他)의 정신으로 태동한 민족 철학
2. 동학정신과 3.1 운동
3. 5.18 민주화운동
4. 빛의 혁명과 집단지성
5. 지혜민주주의
32장. 정신혁명과 정신 경제학(Spirit Economy)
1. 경제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의 교차
2. 정신혁명의 시급성
3. 정신경제학의 이론적 토대
4. AI 시대와 정신경제학의 실천적 가능성
5. 정신경제학과 미래 사회
33장. 한류열풍과 지구촌 문화강국
1. 한류는 어떻게 지구를 뒤흔들었는가?
2. 한류의 근원과 철학적 배경
3. K-Culture: 지구촌 젊은이와 함께하기
4. K-민주주의의 문화적 힘
5. 지구촌 한류 문화로의 정착 전략
6. 요약
34장. 선도국 대한민국과 정신혁명
1. 절대빈곤의 어둠에서 경제 선진국으로
2. 홍익인간의 정신: 뿌리 깊은 철학의 귀환
3. AI 시대: 인간 정신의 닻을 내리다
4. 무애사상: 경계 없는 공존의 다리를 놓다
5. 대한민국의 길: 인류 구원의 등불이 되다
35장. 세계정신올림픽: AI 시대의 정신혁명을 향한 새로운 문명 전환
1. AI 혁명과 인간 정신의 균열
2. 세계정신올림픽의 비전과 의미
3. 대한민국 경북 청도의 선도적 시도
4. 세계정신올림픽을 향한 과제와 미래
36장. 인류 평화와 보편적 세계관
1. 철학적 기반: 홍익인간과 무애사상이 품은 보편적 인간관
2. 구조적 비전: AI와 함께 나아가는 공동체 설계
3. 세계정신올림픽과 인류 평화
4. 통합적 미래 전망: 철학·기술·연대의 융합
37장. 인간성 회복과 어린이가 굶지 않는 세상(NHCW)
1. 기술문명 발전과 인간성의 위기
2. 마음수련과 도덕성의 회복
3. 집단지성: 지혜민주주의로의 전환
4. 어린이가 굶지 않는 세상(NHCW: No Hungry Children in the World)
5. 오늘, 그리고 미래를 향해
나오며
참고문헌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