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해양문학 전문지 『해양과문학』 제31호는 시·수필·소설·동시의 다채로운 작품과 더불어 ‘해양 문해력(Ocean Literacy)’ 특집을 통해 바다 읽기의 의미를 성찰한다. 미국·일본·중국의 정책 사례와 2020년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활성화 법」 등 국제 흐름 속에서 해양소양의 중요성을 짚으며, 바다와 공존하는 미래 역량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계기로 해양 교육과 문화가 실질적으로 확장되길 바라며, 해양 문학가협회가 추구해 온 해양 가치 탐구의 지향을 담았다. 이번 호는 바다의 매력과 중요성을 다시 발견하게 하고, 독자의 인식을 넓히며 작은 변화를 이끄는 계기를 선사한다.
출판사 리뷰
인사말
존경하는 독자 여러분, 그리고 해양을 사랑하는 모든 분께,
아름다운 계절, 깊은 바다의 숨결을 담은 『해양과문학』 제31호로 여러분을 찾아뵙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이 뜻깊은 순간을 맞아, 진심으로 감사와 환영의 말씀을 전합니다.
『해양과문학』은 사단법인 한국해양문학가협회가 2003년부터 꾸준히 발간해 온 국내 유일의 순수 해양문학 전문지입니다. 이번 31호에서는 그동안 저희가 추구해 온 시, 수필, 소설, 동시 등 다채로운 문학적 향연과 더불어, 특별히 ‘해양 문해력(Ocean Literacy)’을 주제로 한 특집을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인류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인 바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즉 ‘바다 읽기’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습니다. 이는 비단 우리만의 과제가 아닙니다. 멀리 2002년 미국이 해양 문해력 법을 제정하여 자국민의 해양 이해도를 높이려 노력했고, 2007년 일본이 ‘해양입국’을, 2013년 중국이 ‘해양굴기’를 외치며 해양 강국의 비전을 법제화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우리나라도 2020년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활성화 법」을 입법화하여 국민의 ‘해양소양’ 증진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특집은 이처럼 국제사회의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해양소양을 속히 갖추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담았습니다. 바다를 읽는 능력은 단순한 지식을 넘어, 바다와 더불어 살아갈 미래 시대를 위한 우리의 자세이자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해양수산부가 곧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을 계기로, 이 법이 종이 위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우리 삶 속에서 살아 숨 쉬며 해양 교육과 문화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기를 기대합니다. 이는 해양 문학을 통해 해양 가치를 탐구하는 저희 협회의 바람과도 깊이 맞닿아 있습니다.
제31호 『해양과문학』을 통해 바다의 무한한 매력과 중요성을 다시 한번 발견하고, 해양 문학의 깊은 세계를 경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책이 해양에 대한 여러분의 인식을 넓히고, 미래를 위한 작은 변화를 이끄는 씨앗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과 사랑에 깊이 감사드리며, 바다처럼 넓고 깊은 마음으로 늘 함께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회장 서영상 올림
목차
회장 인사말
006 서영상
기획Ⅰ바다 읽기(오션 리터러시;Ocean Literacy)
010 김미진 기후 위기 시대, 바다를 쓴다는 것
032 김삼문 대양 그리고 어업 공존을 위한 인문학 탐구
039 서영상 해양 문해력, 바다읽기(Ocean Literacy)와 해양과학
050 이종무 해양 리터러시와 해양법
해양시․시조
069 김광자 항해 한낮 외 1편
073 김희정 절뚝이며 걷는 바다
075 심호섭 바다에서 외 2편
084 이종무 태즈만해에서 3 외 1편
088 정물결 숭배와 혐오 외 1편
092 김경옥 동해 외 1편
096 신익교 변화 둘레길
해양동시
100 선 용 멸치 외 1편
해양수필
106 알고자 하거든, 욕지欲知
111 김희선 그녀는 해녀가 될 수 있을까
해양소설
118 남순백 바다의 향기
갈매기 레터
176 김규훈 별빛 아래서 아이들의 항로를 그리다
180 김영혜 바닷속 5억년 장수왕, 앵무조개!
184 정푸른 2등 항해사의 하루
신인문학상
신인문학상(시) 당선작
190 이채은 헤어짐 외 2편
193 신인문학상(시) 심사평․당선소감
신인문학상(동화) 당선작
196 김 희 우주가 기억하는 바다
207 신인문학상(동화) 심사평․당선소감
신인문학상(수필) 당선작
210 현상민 희휘랑요曦暉朗曜 호미곶
215 신인문학상(수필) 심사평․당선소감
신인문학상(소설) 당선작
218 노영관 인어를 잡을 때 주의할 사항
215 신인문학상(소설) 심사평․당선소감
해양과문학 아카이브
248 이용득 이용득의 항구 이야기(제2화) - 마산항
해양의 지평을 열다
272 김성준 우리의 근원, 바다
277 김수만 해양강국, 대한민국 미래를 비추는 희망의 이름
283 이소민 해양낭만주의 : 김성식 시인의 역동적인 시 세계 – 『출항2』를 읽고
287 장영랑 엄마의 봄, 남해
292 (사)한국애양문학가협회 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