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양영수 작가가 작지만 의미 있는, 그것도 흔하지 않은 음악극 극본집을 냈다. 《제주역사 음악극 극본》. 극본집에 ‘제주역사’를 넣었다. 제주역사를 다룬 음악극의 극본을 표제로 단 이 두 편의 음악극의 테마는 제주역사를 소재로 했다. 그 역사적 사건이란 고려 말 제주섬을 피로 물들인 ‘목호의 난’과 ‘홍윤애 고문치사 사건’을 말한다.
출판사 리뷰
양영수 작가가 작지만 의미 있는, 그것도 흔하지 않은 음악극 극본집을 냈다. 《제주역사 음악극 극본》. 극본집에 ‘제주역사’를 넣었다. 제주역사를 다룬 음악극의 극본을 표제로 단 이 두 편의 음악극의 테마는 제주역사를 소재로 했다.
그 역사적 사건이란 고려 말 제주섬을 피로 물들인 ‘목호의 난’과 ‘홍윤애 고문치사 사건’을 말한다.
<범섬은 알고 있다>는 제주에서 벌어진 피비린 역사적 사건 중 4.3이전 최대의 비극적인 사건인 ‘목호의 난’은 1374년 고려 공민왕 때 제주도의 목호(牧胡)들이 일으킨 반란이다. 목호란 말을 키우는 몽골인들을 뜻하는 말로, 몽골 제국에서 제주도에 설치한 목마장에서 일하던 몽골인들을 가리킨다. 몽골 제국이 무너진 후 새롭게 중원의 주인이 된 명은 고려 정부에 제주도에 군마를 바칠 것을 요구한다. 이에 고려 정부는 제주의 말을 징발하기 위해 여러 차례 관리와 군사를 파견하나 100년 가까이 제주에 뿌리내린 목호들은 원 제국의 황제가 기른 말들을 적에게 내어줄 수는 없다며 강력하게 반발하여 징발 왔던 관리들을 척살해버린다. 이에 고려 정부는 최영을 총사령관으로, 2만 5000여 명의 군사를 파견하여 이를 진압한 사건이다.
작가는 이 사건을 총 4막으로 이루어진 음악극으로 엮어낸다. 기록된 역사는 뼈대만을 기록할 뿐, 이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이르기 위해서는 상상력이라는 살이 필요하다. 이 음악극은 실제 있었던 역사적 사건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채운 살의 이야기다.
지나간 역사를 오늘날의 관점에서 해석할 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는 것이 ‘역사의 아이러니’ 개념이다. 당대의 관점에서 민족역사에 이득이 되는 사건이 나중에는 손실이 되고, 당장에는 민족발전에 손실이 될 것 같은 사건이 결국에는 이득이 되는 득실반전(得失反轉)의 아이러니가 왕왕 발생하는데, 고려 말기에 일어났던 ‘목호의 난’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원나라 통치 100년간 제ㅎ주도의 주민들 대다수는 지역 발전을 가능케 한 목호의 지배에 동조했으며, 그들은 목호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이를 진압하러 온 고려군보다는 목호군에게 가세했다. 고려군은 2만 5천의 압도적인 병력을 가지고도 불과 기천 명인 목호군에게 간신히 신승(辛勝) 했음이 이를 말해준다. 만약에 그 당시 제주도 주민들이 끝까지 목호군에게 가세했다면 제주섬은 영원히 낯선 이민족의 지배를 받는 어이없는 운명이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전쟁 초기 목호군에 대한 협력은 단기적인 안목에서의 근시안적인 선택이었고, 최후에 고려군에 대한 협력으로 돌아선 것은 장기적인 안목의 거시적인 판단이었다는 결론에 이른다.(<‘목호의 난’ 문학적인 재구성의 상징적인 의미>, 12쪽)
작가는 ‘목호의 난’ 전개 과정에서 탐라인들이 초기에는 목호군에 가세했으나, 결국 고려 정부군을 돕게 되면서 결국 고려 정부군의 승리를 가져오게 했다고 보며, 이는 결국 제주섬이 한반도의 일원으로, 한민족의 구성원으로 통합되는 거시적 안목의 결단으로 보고 있다.
한라산에 초목을 보라, 저 목장에 풀들을 보라,
주인이 누구인지 다투는 일 없었거늘.
탐라목장은 어이하여 전쟁터가 되었어라.
천혜의 보물섬이어서 탐욕 내는 나라들,
원나라와의 오랜 인연, 고려국과는 더 오랜 인연,
탐라의 운명은 어느 쪽을 따라야 하나.(15쪽)
<홍랑애화(洪娘哀話)>는 제주에서 27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조정철과 애틋한 사랑을 이루었던 제주 여인 홍윤애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조정철(趙貞喆, 1751~1831)은 조선 후기 형조판서, 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젊은 날 대부분을 제주에서의 유배생활로 채워졌다. 조선 후기 당쟁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노론. 그의 집안은 바로 노론의 대표적인 집안으로 그 세도가 만만치 않았으나, 당쟁에 휘말려 그의 조부, 부친 모두 제주에 유배되는 화를 당하게 된다. 더욱이 그의 처가 역시 노론의 세도가로서 정조 즉위 이후, 그의 장인이 <정조 시해 모의 사건>의 주모자로 드러나면서 홍씨 일가는 풍비박산이 나고 만다. 이런 탓에 그는 무려 27년이라는 기간을 제주의 유배객으로 살게 된다. 제주 도착 당시 27세의 젊은이였지만 유배에서 풀려났을 때는 55세의 중늙은이가 되어 있었다.
유배지 제주에 도착하자마자 아내가 자결하는 절망적인 상황을 맞이한 조정철은 제주 여인 홍윤애와의 만남을 통해 위안을 얻게 된다. 홍윤애는 조정철의 의복과 식사 수발을 도왔던 여인이다. 홍윤애는 대역죄인으로 유배 온 그였지만, 기꺼이 사랑을 바쳤고, 그와 정식으로 혼인을 맺지는 않았지만 딸을 낳기도 했다.
1781년 노론의 조정철 집안과 조부 때부터 철천지원수 지간이었던 소론의 김시구가 제주 목사로 부임하면서 이들의 사랑은 비극으로 치달았다. 김시구는 조정철을 모함하기 위해 홍윤애를 잡아들여 거짓 자백을 받아내기 위한 모진 고문을 한다.
나, 죽으민 죽었주, 어신 죄를 이섯젠 릅니까.
고문 고통이 수와그네 우리 낭군 죄인 맨듭니까.
우리 제주도 여자덜 경 지 않수다아.
음에 어신 말 멍 사느니 떳떳게 죽으쿠다아.
봄마다 한라산 철쭉 피 묻힌 꽃 피거들랑
홍윤애 죽어간 넋이 돋아난 걸로 알아줍서.(78쪽)
그러나 사랑하는 조정철을 홍윤애는 ‘공의 목숨은 나의 죽음에 있다’며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려고 형틀에 매달리는 고문을 당한 끝에 순절하고 만다.
1805년(순조 5년) 사면 복권된 조정철은 유배에서 풀려났고, 1811년에는 제주목사로 자청해 부임했다. 스물일곱의 나이에 당도했던 유배지에 환갑의 나이로 그 땅을 다스리는 관리가 돼 돌아오게 된 것이다.
제주를 떠난 지 8년 만이고, 해배된 지는 4년 만의 일이었다. 그는 1812년 동래 부사로 부임할 때까지 1년간 제주도에 머물면서 홍윤애의 혼을 달랬다. 그는 부임 즉시 사랑했던 여자 홍윤애의 혼을 달래고자 무덤을 찾아 ‘홍의녀묘’라고 비를 세우고, 애도시를 적어 넣었다.
옥같이 그윽한 향기 묻힌 지 몇 해인가
누가 그대의 원한을 하늘에 호소할 수 있었으리
황천길은 멀고 먼데 누굴 의지하여 돌아갔을까
진한 피 고이 간직하니 죽더라도 인연으로 남으리
천고에 높은 이름 열문에 빛나고
일문에 높은 절기 모두 어진 형제였네
아름다운 한 떨기 꽃 글론 짓기 어려운데
푸른 풀만 무덤에 우거져 있구나.(원문 한시,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홍윤애묘비 후면)
작가는 조정철과 홍윤애의 애틋한 사랑의 이야기를 음악극으로 만들었다. 장기수 유배인과 섬 여인과의 생사를 오가는 중세의 슬픈 러브스토리를 오늘을 사는 제주인들, 더 나아가 세상 사람들에게 음악극이라는 형식으로 알리고자 하는 열망이 깃들어 있다.
이 극적인 사랑 이야기는 최근 제주지역 문화예술인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기려지고 있다. 추모문화제나 문학제 등으로 조명 받고 있으나, 아직 문학작품이나 예술로 형상화되기에는 초기 단계이다. 2020년 제주연극협회에서 <홍윤애의 비가>라는 제목으로 무대에 올려진 것이 유일한 듯한데, 이번 이 극본으로 오페라나 뮤지컬 등으로 장르를 확장하면서 더욱 알려지기를 바라본다.
극본은 극으로 올려졌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 《제주역사 음악극 극본》이라는 제목처럼, 이 극본이 피비리고 애틋한 비극적 제주역사의 한 단면을 드러내는 제주문화의 콘텐츠로 널리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양영수
1946년 제주도 출생제주도에서 초중고 수학서울대 문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문학박사제주대 사범대 영어교육과 교수 역임소설집 《마당 넓은 기와집》(2006)《사랑은 꽃입니다》(2020)를 냈고,4·3역사를 테마로 하는 네 편의 장편소설《불 타는 섬》(2014 4·3평화문학상 수상)《복면의 세월》(2019)《돌아온 고향》(2022)《40년 만의 악수》(2024)를 발표함.이외에 양영수 숲 에세이 《한라생태숲 탐방기》(2024)가 있음.
목차
범섬은 알고 있다 ·7
홍랑애화(洪娘哀話)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