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연세대학교에서 새로운 기독교의 이해 교재가 신과대학과 교목실, 학부대학에서 가르치는 교수들이 한 마음이 되어 2년여에 걸친 준비 끝에 출판되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독교의 이해 교재는 30년 전에 출판되었다. 당시 각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집필진으로 참여한 책으로서 여전히 사용가치가 있으나, 변화하는 시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새로운 교재 출판의 필요성에 공감한 이들이 “기독교, 묻고 답하다”의 새로운 집필진으로 참여하였다.
<기독교, 묻고 답하다> 초판은 2019년 우리 대학 교책 과목인 기독교의 이해 영역의 교재로 출판되었다. 그간 꾸준한 지지를 받아오다가 전공자율선택제를 위한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세 편의 새 글과 기존 글에 부분적인 수정이 있다. 개정판은 연세 정신과 역사로서의 기독교 정신의 증진은 물론이고, 기독교를 통해 여러 학문적 영역을 접하면서 비판적-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능력, 윤리적 논증, 과학적 추론 능력 등을 함양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출판사 리뷰
“기독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정신에 따라 사회에 이바지할 지도자를 기르는 배움터”인 연세대학교에서 새로운 기독교의 이해 교재가 신과대학과 교목실, 학부대학에서 가르치는 교수들이 한 마음이 되어 2년여에 걸친 준비 끝에 출판되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독교의 이해 교재는 30년 전에 출판되었다. 당시 각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집필진으로 참여한 책으로서 여전히 사용가치가 있으 나, 변화하는 시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새로운 교재 출판의 필요성에 공감한 이들이“기독교, 묻고 답하다”의 새로운 집필진으로 참여하였다. 이 책의 개발과 집필 과정을 총괄한 김현숙 교수(신과대학 부 학장)은 이 책이“기독교의 이해 과목을 위한 교재의 역할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을 위한 기독교 입문 서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책 출판의 의미를 밝혔다. 실제로“기독교, 묻고 답하다”는 역사, 문 화, 인권, 생태, 과학, 심리, 여성 등의 주제를 맡은 14명의 저자들이 전체 12장, 12개 주제에 걸쳐 기독 교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포괄적 기독교 입문서이자 해설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기독교, 묻고 답하다> 초판은 2019년 우리 대학 교책 과목인 기독교의 이해 영역의 교재 로 출판되었다. 그간 꾸준한 지지를 받아오다가 전공자율선택제를 위한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 로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세 편의 새 글과 기존 글에 부분적인 수정이 있다. 개정판은 연세 정신과 역사로서의 기독교 정신의 증진은 물론이고, 기독교를 통해 여러 학문적 영역을 접하면서 비판적-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능력, 윤리적 논증, 과학적 추론 능력 등을 함양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 저자소개 >
권수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김선정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김학철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김현숙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민경식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방연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정대경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교목실)
이삼열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임성욱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정용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교목실) 조재국 (前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교목실) 홍국평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양인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교목실) 곽호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교목실)
작가 소개
지은이 : 기독교의 이해 편찬위원회
목차
권두언
머리말
감사의 글
1장 종교와 인간 호모 렐리기오수스의 기독교 탐험
2장 성서와 기독교 고전으로서의 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3장 성서와 제국 트라우마에서 희망으로
4장 세계 교회사 역사와 함께한 교회의 숨결
5장 한국의 근현대사와 기독교 한국 근현대사 속 기독교의 두 얼굴
6장 다문화 사회와 기독교 우리 안의 그들 다름과 함께 살아가기
7장 종교와 과학 인류 진화 역사 안에서의 종교의 기원
8장 경제·생태문제와 기독교 지구공동체에서 더불어 살아가기
9장 인권과 기독교 평등을 향한 여정
10장 여성과 기독교 기독교는 여성의 동지인가 적인가? 성서 전통에 나타난 여성 이해
11장 종교 심리와 기독교 신(神)은 불안한 인간들의 심리적 투사, 실화인가?
12장 연세와 기독교 개척자들의 신앙과 교육
참고문헌
부록 : 연세의 인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