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역사
나의 여성사 읽기 이미지

나의 여성사 읽기
새미 | 부모님 | 2025.05.19
  • 정가
  • 24,000원
  • 판매가
  • 22,800원 (5% 할인)
  • S포인트
  • 720P (3%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0.484Kg | 372p
  • ISBN
  • 9791167972347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저자는 그동안 논문들을 모아 책으로 여러 차례 간행했다. 이번에는 논문 이외의 글들을 정리하여 책자로 발간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나름대로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뜻깊은 작업을 은퇴 후 인생의 제2막을 시작하며 하고자 했으나 퇴임과 동시에 일생에 처음 겪는 팬데믹 시기를 겪음으로써 이제야 실천에 옮기게 되었다.

제1부는 논문 이외의 글로 신문, 잡지, 회보 등에 실린 저자의 글 가운데 여성사 관련 글로서 왕실여성, 열녀,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부인들에 관한 글들을 선택하여 수록한 것이다. 제2부에서는 저자의 여성사 연구 이야기로 조선시대 여성사를 다룬 저서에 대한 소개와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한 여성사 논문, 서평 그리고 학회활동으로서 한국여성사학회와 조선사연구회에서의 활동 등을 서술하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주
경북 청도 출생 풍문여자중?고등학교 졸업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졸업(문학석사, 문학박사)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객원교수미국 UCLA 대학교 객원교수제16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제6대 한국여성사학회 회장제8대 조선사연구회 회장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위원대구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장, 안중근연구소장을 역임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사)역사·여성·미래 공동대표 (사)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주요 저서『조선시대의 정표정책』, 일조각, 1990『조선시대의 효와 여성』, 국학자료원, 2000『조선시대의 여성과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08『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16『조선 왕실여성들의 삶』, 국학자료원, 2018『63인의 역사학자가 쓴 한국사인물열전』Ⅰ,Ⅱ,Ⅲ, 돌베개, 2003(공저)『경북여성사』,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4(공저) 『여성, 천주교와 만나다』, 한국가톨릭여성연구원, 2008(공저) 『문화유산으로 본 한국 여성 인물사』, 역사? 여성? 미래, 2021(공저)『수촌 박영석의 삶과 학문』, 선인, 2024(편공저)『여성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 2024(공저) 등

  목차

제1부 조선과 군대 역사 속 그너들의 발자취

제1장 조선시대 왕실 여성들 15
소현세자빈 강씨 - 바운의 세자빈으로 경제적 리더십 발휘 17
화순옹주 - 남편따라 목숨 끊은 조신왕실 유일한 열녀 19
화평옹주 - 영조가 가장 사랑했던 딸로 동생 사도세자의 처지를 동정 21
화협옹주 - 화협옹주묘 출토유물로 화협옹주의 얼굴단장 추측 23
화완옹주 - 친오빠 사도세자 죽음에 관여안 정조의 고모 25
정순왕후 김씨 - 46년간 국모 지위 누리며 정지적 영향력 행사 27
순원왕후 - 조신에서 유일하게 두번 수렴청정 30
덕온공주 - 순원왕후의 막내·조선의 마지막 공주 32
덕혜옹주 - 비운의 삶 보낸 조선의 마지막 옹주 34

제2장 조선시대 열녀 37
수절과 열녀, 그 뒤에 숨은 이야기 39
열녀, 조선 사회를 바라보는 하나의 창 44
우열녀(禹烈女)-절개와 용기를 겸비한 하층민 열녀 50
향랑(香娘)- 가부장제 사회의 비극적 열녀 57
솔례 현풍곽씨(玄風郭氏)와 12정려 59
함평지역의 팔열부 정열각 66

경북편
대구지역의 인물과열녀 70
청도 『오산지』의 편찬과 열녀 77
경주지역의 열녀 85
상주지역의 열녀 90
선산지역의 열녀 93
안동지역의 열녀 100
성주지역의 열녀 105
경산, 하양지역의 열녀 109
칠곡지역의 열녀 112
의성지역의 열녀 115
영전지역의 열녀 117

경남편
함안지역의 열녀 119
단성지역의 열녀 124
함양지역의 열녀 127
밀양지역의 열녀 129
진주지역의 열녀 133
동래지역의 열녀 138
합천지역의 열녀 140
고령지역의 열녀 142
창녕지역의 열녀 145
김해지역의 열녀 148
거창지역의 열녀 151

제3장 근대 여성들의 국채보상운동 참여 155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부인 157
국채보상운동 의연·미담 이야기 180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여성위원회 회고와 전망 185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국채보상운동 의연·미담 이야기 191
가난한 사람, 하층민들의 국채보상운동 의연·미담 이야기 198
종교인들의 국채보상운동 의연·미담 이야기 205

제4장 한국사 속의 세계 여성을 찾아서 213
영원한 한국의 여성상 신사임당 214
송 마리아 -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조선 왕족 부인 218
강완숙(姜完淑) - 한국 천주교회 첫 여성 회장·순교자 220

제2부 나의 여성사 연구 이야기

제 1장 나의 조선시대 여성사 연구 225

대표 저서들
『조선시대의 정표정책』(일조각, 1990) 229
『조선시대의 효와 여성』(국학자료원, 2000) 230
『조선시대의 여성과 유교문화』(국학자료원, 2008) 232
『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국학자료원, 2016) 233
『조선 왕실여성들의 삶』(국학자료원, 2018) 235

국제학술회의 논문 발표
조선 후기 순조대의 왕실여성과 천주교 240
Catholicism and Women in the Royal Court of King Sunjo Period in the late Chosun Dynasty 264
병자호란 때의 열녀와 속환녀 279
The virtuous women and the Bought-Back women during and after the invasion of the Qing Dynasty 290

서평
강명관 저, 『열녀의 탄생- 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잔혹한 역사』 박주 서평 294
박 주 저, 『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 한희숙 서평 305
박 주 저, 『조선 왕실여성들의 삶』 이순구 서평 314

제2장 주요 학회활동 327
조선사연구회 회장 시절(2006. 8 ~ 2008. 7) 328
한국여성사학회 회장 시절(2014. 10 ~ 2016. 9) 332
미국 동부 여성사 박물관 탐방기(2016. 7. 13 ~ 7. 24) 345

부록
주요활동 연보 360
감사의 글 366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