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걷는사람 시인선의 27번째 작품으로 안상학 시인의 <남아 있는 날들은 모두가 내일>이 출간되었다. <그 사람은 돌아오고 나는 거기 없었네> 이후 6년 만에 출간되는 신작 시집이다. 안상학 시인 특유의 고독과 서정으로 구성된 이번 시집은, 환갑을 목전에 둔 시인이 지금껏 살아온 자신의 생을 뒤돌아보며 관조한 세상에 대한 발화이다.
최원식 문학평론가는 추천사를 통해 “작위의 틈입을 허락지 않는 야생의 천진 같은 사람이요 꼭 그 사람 같은 시를 쓴다”고 말한다. 작위가 틈입하지 않은 시란 시인의 내밀함으로 쓰인 시라는 말과 같다.
“지나온 길은 내가 너무도 잘 아는 길/오늘은 더듬더듬 그 길을 되돌아가 본다”고 말하며 이순의 언저리에서 생을 관망한 「생명선에 서서」, “갈 수만 있다면 단 몇 시간만이라도/그동안 써 왔던 시들을 하나하나 지워 가며/내 삶의 가장 먼 그 북녘 거처로 돌아가고 싶습니다만”이라 말하며 다시 돌아가고 싶은 과거의 어느 순간을 그리워하는 「북녘 거처」가 특히 그렇다.
표제작인 「고비의 시간」에서는 “지나온 날들을 모두 어제라 부르는 곳”에서 “모든 지나간 날들과 아직 오지 않은 나날들을 어제와 내일로 셈하며” 내밀한 과거에 대해 사유한다.
출판사 리뷰
걷는사람 시인선
안상학 - 『남아 있는 날들은 모두가 내일』 출간
담담한 서정으로 풀어낸 고독의 발자취
걷는사람 시인선의 27번째 작품으로 안상학 시인의 『남아 있는 날들은 모두가 내일』이 출간되었다. 『그 사람은 돌아오고 나는 거기 없었네』 이후 6년 만에 출간되는 신작 시집이다. 안상학 시인 특유의 고독과 서정으로 구성된 이번 시집은, 환갑을 목전에 둔 시인이 지금껏 살아온 자신의 생을 뒤돌아보며 관조한 세상에 대한 발화이다.
최원식 문학평론가는 추천사를 통해 “작위의 틈입을 허락지 않는 야생의 천진 같은 사람이요 꼭 그 사람 같은 시를 쓴다”고 말한다. 작위가 틈입하지 않은 시란 시인의 내밀함으로 쓰인 시라는 말과 같다. “지나온 길은 내가 너무도 잘 아는 길/오늘은 더듬더듬 그 길을 되돌아가 본다”고 말하며 이순의 언저리에서 생을 관망한 「생명선에 서서」, “갈 수만 있다면 단 몇 시간만이라도/그동안 써 왔던 시들을 하나하나 지워 가며/내 삶의 가장 먼 그 북녘 거처로 돌아가고 싶습니다만”이라 말하며 다시 돌아가고 싶은 과거의 어느 순간을 그리워하는 「북녘 거처」가 특히 그렇다. 표제작인 「고비의 시간」에서는 “지나온 날들을 모두 어제라 부르는 곳”에서 “모든 지나간 날들과 아직 오지 않은 나날들을 어제와 내일로 셈하며” 내밀한 과거에 대해 사유한다.
스스로에 대한 성찰은 곧 타인과 사회에 대한 시선으로 이어진다. 전우익 선생과의 일화를 유머러스하게 풀어내는 「간고등어」, “가장 낮은 언덕이 그에게는 하늘이었다”고 말하는 「빌뱅이 언덕 권정생」, “뇌출혈로 오른쪽을 잃은 친구라고 쓰고 왼쪽을 얻은 친구라고 알아서 읽는다”라 말하는 「좌수左手 박창섭朴昌燮」 등에서는 주변인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이 담겨 있다. 「화산도-4·3, 일흔 번째 봄날」, 「4월 16일」 같은 시편에서는 “세상 모든 슬픔의 출처는 사랑이다/사랑이 형체를 잃어 가는 꼭 그만큼 슬픔이 생겨난다”(「화산도-4·3, 일흔 번째 봄날」)고 말하며 제주 4·3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에 대한 추모와 연대의 마음을 잊지 않는다.
양안다 시인은 발문을 통해 “이것은 바닥에 관한 이야기”라고 단언한다. 특히 「생명선에 서서」를 언급하며 “과거를 더듬어 가며 자신이 남긴 슬픔의 발자취를 추적”하고 있다고 말하며, “과거를 더듬는 이 자세야말로 죽음에 가까워진 인간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성찰”이라 표현한다.
이쯤일까
생명선 어디 이순의 언저리에 나를 세워 본다
앞으로 남은 손금의 길 빤하지만 늘 그랬듯이
한 치 앞을 모르겠다
지나온 길은 내가 너무도 잘 아는 길
오늘은 더듬더듬 그 길을 되돌아가 본다 이쯤에서
딸내미가 환한 얼굴로 살아가고 있다 다행이다 지나간다
송장 같은 내가 독가獨家에 처박혀 있다 지나간다
다 죽어 가던 내가 점점 살아나고 나는 지나간다
온갖 말들의 화살을 맞고 피 흘리는 내가 있다 지나간다
딸내미에게 용서를 구하는 내가 있다 지나간다
나는 나로 살겠다고 다짐하던 몽골초원 자작나무 지나간다
권정생 선생이 살아나고 나는 서울이다 지나간다
우울한 여인이 나타나고 환해지고 사라진다 지나간다
새벽 거리에서 울고 있던 나를 지나가면 이쯤에서
울고 있는 어린 딸내미가 다시 서럽게 혼자서 울고 있다
지나간다 뺑소니가 지나가고 오토바이가 일어나고
아버지가 술 배달을 하고 있다 나는 모른 척 지나간다
시를 접고 공사판에서 오비끼를 나르는 나를 지나가고
없는 아내가 있다가 사라진다 지나간다
차마 말하기 힘든 청년을 만났다 지나가고
청년이 알던 처녀의 소녀가 있다 지나간다
시를 쓴다 쓰지 않는 우울한 소년을 지나간다 이쯤에서
새새어머니의 빗자루가 지나가고 새엄마가 칼을 맞고 있다
지나간다 엄마 같던 새엄마가 햇감자를 쪄 주던
1974년 생일날, 지나간다
무덤에서 나온 엄마가 병원에 누워 있다 지나간다
어느새 엄마는 훈련소 길목에서 가겟방을 하고 있다
홍역을 지나가고 라면을 먹던 군인들을 지나간다
닭을 잡아 시장에 내다 팔던 아버지를 지나간다
크림빵을 훔쳐 먹던 나를 노려보는 엄마를 지나간다
가물가물 연탄가스에 중독된 나를 지나가면 이쯤에서
강원도 탄광에서 야반도주 온 외삼촌네 가족이 있다
식구 많은 밥상이 여러 개 놓여 있다 지나간다
종이 제비를 접어 날려 주던 작은외삼촌을 지나간다
흙을 퍼먹던 네다섯 살 나를 지나간다
월남방망이 사탕에 까무러치던 누이를 지나간다
가물가물, 이쯤에서, 이쯤에서 길은 끝난다 손금의 길은 빤한데
더 이상 어려지지 않는 길 앞에서 길을 잃는다 이쯤에서
분명 지나왔을 과거도 미래처럼 한 치 앞이 보이지 않는다
망연하고 자실하여 돌아선다
되짚어 나갈 길이 아득하다
저 길을 다시 어떻게 걸어가나 두 번 다시 못 걸을 길
굽어보는 그 길 오른쪽으론
떠나가는 것들, 눈물 나는 것들, 사라지는 것들, 쓰러지는 것들, 절망하는 것들, 그리운 것들, 그늘 진 것들이 있고,
굽어보는 그 길 왼쪽으론
돌아오는 것들, 눈물 닦는 것들, 나타나는 것들, 일어서는 것들, 희망하는 것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는 것들, 햇살 바른 것들이 있다
아직도 그들은 서로 한 데 있지 못하고 따로 따로 서 있다
영원히 화해하지 못할 그 길을 지나가고 지나가고 지나가서
나는 나를 다시 이순의 언저리에 세워 본다
-「생명선에 서서」 전문
몸도 마음도 청춘이라고 생각했던 그때
나는 완전하게 죽었던 것이 분명하다
아무도 내가 부르는 소리를 듣지 못하고 지나가고
누구도 내가 흘리는 눈물을 눈치 채지 못했다
나만 이 세상에서 나를 눕힐 방 한 칸 없는 것만 같고
세상 모든 사람들은 누구나 집이 있는 것만 같았다
어느 골목에서 바라보던 집들의 불빛은 딴 세상만 같았다
마음을 잃어버린 몸처럼 세상에서 나는 서러웠다
그때 내가 죽지 않았다면 그럴 리가 없었을 것이다
세상 모든 사람들은 서로 눈을 맞추며 노래를 부르는 것만 같았고
내가 부르는 노래는 누구도 듣지 못하는 것만 같았다
나에겐 아무것도 없었고 남들은 뭐든 다 있는 것만 같았다
옷을 벗고 미친 듯이 뛰어다닌들 누구 하나 돌아볼 것 같지 않았다
몸을 잃어버린 사람처럼 세상에서 나는 외로웠다
몸도 마음도 완전한 청춘이라고 생각했던 그때
나는 무덤보다 더 깊은 바닥을 치고 있었다
봄이 오는 방식이 늘 그렇듯이 봄이 봄이 아닌 봄 속에서
나는 가슴속 남모르는 꽃 한 송이만 어루만지며
내겐 꽃 피고 질 춘삼월이 없을 것만 같은 날들을 살았다
몸도 마음도 잃어버린 사람처럼 세상에서 나는 살았다
-「입춘」 전문
지나온 날들을 모두 어제라 부르는 곳이 있다
염소처럼 족보도 지금 눈에 있는 어미나 새끼가 전부
지나간 시간들이 모두 무로 돌아간 공간을 보며 살아가는
황막한 고비에서는
그 이상의 말을 생각할 그 무엇도 까닭도 없으므로
남은 날들을 모두 내일이라 부르는 곳이 있다
펌프가 있는 어느 작은 마을
사람이라곤 물을 길어 가는 만삭의 아낙과
뒤따라가며 가끔 돌아보는 소녀뿐
시간이 오고 있는 것이 보이는 황황막막한 고비에서는
굳이 그 이상의 말을 만들 어떤 필요도 없으므로
시간과 거리를 물으면 금방이라는 말밖에 할 줄 모르는 운전기사와 길을 잃어도 쥬게르 쥬게르(괜찮아 괜찮아)만 연발하는 가이드를 보면서 나는 모든 지나간 날들을 아래라 부르던 내 할머니의 시간에도 새겨진 게 분명한 몽고반점과, 싸울 때면 쥐게라 쥐게라(죽여라 죽여라) 악다구니를 쓰던 할머니의 지워지고 없는 몽고반점을 떠올리며, 고비에다 주막을 차리겠다는 사내와 쏘다닌 열흘 동안을 나는 모든 지나간 날들과 아직 오지 않은 나날들을 어제와 내일로 셈하며 동업할 생각을 해 보았다
-「고비의 시간」 전문
작가 소개
지은이 : 안상학
1962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198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1987年 11月의 新川」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그대 무사한가』 『안동소주』 『오래된 엽서』 『아배 생각』 『그 사람은 돌아오고 나는 거기 없었네』 『안상학 시선』, 동시집 『지구를 운전하는 엄마』, 평전 『권종대-통일걷이를 꿈꾼 농투성이』, 시화집 『시의 꽃말을 읽다』를 펴냈다.
목차
1부
바닥행
생명선에 서서
대서
북녘 거처
간고등어
안동식혜
헛제삿밥
언총言塚
빌뱅이 언덕 권정생
좌수左手 박창섭朴昌燮
입춘
간헐한 사랑
2부
푸른 물방울
몽골에서 쓰는 편지
고비의 시간
몽골 소년의 눈물
마두금에는 고비가 산다
착시
고비
상수리나무
먼 곳
정선행
범부채가 길을 가는 법
법주사
3부
비대칭 닮은꼴
기와 까치구멍집
화산도
행방불명
나는 그저 한남댁이올시다
꽃소식
언어절言語絶
리미오
고강호
중산간 지역
애기동백
4월 16일
촛불
4부
어떤 장례
마음의 방향
당신 안의 길
사직 이후
한로
두메양귀비
청담晴曇
발에게 베개를
독거
흔적
봄밤
소등
봄소식
발문
바닥으로부터 온 편지
- 양안다(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