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정情은 한국인의 마음을 움직이는 가장 깊은 힘이며,
심리적 안정과 성공적인 인간관계의 근본이다!
수십 년간 연구 끝에 밝혀낸
한국인의 정과 행복의 비밀
이 책은 어머니의 따뜻한 모정에서 시작된 ‘정’의 원형을 바탕으로, 우정, 애정, 인정으로 확장되는 인간관계의 흐름을 섬세하게 풀어낸다.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만드는 눈에 보이지 않는 힘, 이해타산 너머의 신뢰와 의리, 체면과 덕목의 균형, 이 모든 것을 아우르며 한국적 리더십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하는지 면밀하게 짚는다.
21세기 한국에는 개인주의적 사고가 만연해 있고, 타인과의 관계는 점점 얇고 가벼워진다. 그 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묻는다. 우리를 사람답게 하고, 사회를 따뜻하게 이어 주는 힘은 무엇인가. 저자는 그 질문에 ‘정(情)’이라는 한국인의 고유한 심리와 문화로 답하고 있다. 정은 단지 감정이 아니다. 반복과 진심에서 비롯된 행동이며,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기 위한 심리적 기반이다. 정을 주고받고 관리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왜 지금 시대에 우리가 필히 ‘정’에 대해 심도 깊은 이야기를 해야 하는지 이 책은 끈질기게 문답하고 있다.
정 없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외로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고, 정이 많은 리더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 한국인의 정서를 들여다보며 더 나은 인간관계와 정감을 모색하고 싶은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은 통찰력 있는 길잡이가 되어 주리라 기대해 본다.
자식을 위해 따뜻하게 아껴 주는 어머니의 마음이 정의 원형이고, 어머니처럼 자기희생을 하더라도 유의미한 타인, 즉 혈연, 지연 그리고 학연으로 이루어진 인간관계를 원만히 하는 정이 많은 사람이 훌륭한 리더가 되고, 인간관계가 좋을 수밖에 없다는 것은 매우 상식적입니다.
정을 잘 주고 가끔 정을 받는 인간관계가 가장 좋은 한국인의 인간관계인데, 평판 좋고 잘사는 조선의 부호들은 결코 인색하지 않고 정을 잘 주고 가끔 정을 받는 것을 즐겼다는 공통분모에서 시작된 책인 『토정비결』로 보입니다.
여러분은 한국인의 정(情)이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흔히 주변에서 듣는 얘기로, “누구 덕에 여러분은 잘살고 출세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만, 이 덕이 정을 뜻한다는 것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것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진승범
중앙대학교 사회심리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으며, 한국인 심리학 연구소장으로서 활약 중에 있다. 한국인의 의식 구조와 사회적 행동 양식을 주제로 다수의 연구와 집필 활동을 해 왔으며, 전통과 현대를 잇는 한국 리더십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목차
제1장 정이란 무엇인가
정의 본질과 한국 사회
정의 원형, 어머니의 마음
정을 베푸는 것의 어려움
제2장 정의 확장
모정에서 시작된 정의 발전
가족, 친구, 연인, 이웃과의 정
제3장 정과 의리
의리의 진정한 의미
예부터 정을 주고받을 수 있는 특별한 힘
인간관계나 리더십에서 한국인의 체면과 정과의 관계
제4장 현대 사회의 정
한국의 전통적 집단주의와 최근의 개인주의 성향
정 있는 행동의 특징, 반복과 진심
한국인의 인간관계 핵심
제5장 정, 체면 그리고 리더의 덕목
체면과 정의 상호 작용
리더의 덕목, 정과 덕치
사회적 지위와 정의 관리
제6장 삶 속의 정
풍수와 명당과 심리학
‘정든 곳에서 뜻을 이루라’는 지혜
평판 좋은 집안의 비결, 정
제7장 정과 한국인의 감정
‘우리’ 의식의 심리적 기반
문학과 예술에 스며든 정과 한
정을 저버린 자의 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