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엄마의 방식이 아닌, 나만의 방식으로 살아가기 위한 거리두기. 그 거리는 냉정함이 아니라 나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경계다. 착한 딸이라는 이름 아래 눌러온 욕망, 말하지 못한 서운함, 사랑이라는 말로 감춘 통제의 기억들. 그 마음을 직면하면서 비로소 엄마와의 건강한 거리를 찾아가려는 딸들의 여정이 시작된다. 엄마와 딸은 여전히 서로를 바라보지만, 그 사랑이 더는 억압이 되지 않기 위해 관계의 방식을 새롭게 찾아야 한다.
출판사 리뷰
가까이 다가갈수록 멀어지고
멀어질수록 가까이 다가가고 싶은어느새 엄마의 말투와 감정 표현 방식을 닮았다. 내면의 목소리를 외면한 시간은 나를 내게서 멀어지게 한다. 이 책은 그런 딸들의 내면을 따라간다. ‘착한 딸’이라는 이름 아래 눌러온 욕망, 말하지 못한 서운함, 사랑이라는 말로 감춘 통제의 기억들. 그 마음을 직면하면서 비로소 엄마와의 건강한 거리를 찾아가려는 딸들의 여정이 시작된다.
딸들은 오랫동안 타인의 언어로 자기 마음을 설명해왔다. 엄마의 방식으로 감정을 해석하고, 그 틀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말에 익숙하다. 그렇게 길들면 ’본래의 나’를 잃는다. 엄마에게서 배운 방식만으로는 내 마음을 온전히 설명할 수 없음을 깨달아야 비로소 ‘내면의 나’가 살아난다. 그 목소리는 처음에는 낯설고 불완전하다. 그럼에도 그 목소리를 따라가야 한다.
엄마의 방식이 아닌, 나만의 방식으로 살아가기 위한 거리두기. 그 거리는 냉정함이 아니라 나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경계다.
엄마와의 경계선에서 나만의 존재로
그때 비로소 엄마는 나를 믿는다 “엄마와 사이가 나쁘진 않아요.”
습관처럼 그렇게 말하면서도 설명하기 어려운 내면의 무력감과 답답함을 느끼는 이들이 있다. 다정하고 책임감 있는 딸로 살아왔지만 정작 자신의 감정 앞에서는 점점 더 낯설어지는 여성들.
엄마는 늘 ‘너를 위한 길’이라고 말해왔다. 실수하지 않도록, 마음이 다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살도록. 그렇게 엄마는 딸의 삶을 이끌어 왔다. 그녀들은 엄마의 기대에 맞추느라 오랫동안 자신을 조절했고, 그 과정에서 조금씩 자신의 색채를 잃어갔다. 그래서일까? 어린 시절부터 ‘엄마를 실망시키지 않는 법’을 먼저 배운 딸이 많다. 엄마가 안심하도록 행동하고, 기분이 상하지 않게 하며,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자신을 조심한다. 그러다 보니 자기감정과 자신의 욕구는 점점 뒷전으로 밀려난다.
이런 경향은 딸에게 모든 정성을 쏟아부으며 살아온 기성세대의 방식에서 비롯되었다. 사랑조차 통제의 언어로 표현되던 관계 안에서 딸들은 자신의 감정을 숨긴 채 엄마의 마음을 먼저 읽는 법부터 익혀야 했다.
세상의 모든 엄마와 딸을 위한 관계 회복 수업
《엄마는 아직도 내가 백숙을 좋아하는 줄 안다》이제는 자신을 먼저 돌볼 차례다. 그동안 눌러왔던 마음, 잊힌 감정의 이름을 찾아갈 시간이다. 내 안에는 낯설고 어두운 또 다른 내가 있으며, 그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된다. 그 그림자를 마주할 때 비로소 ‘진짜 나’와의 대화가 시작된다. 엄마와 딸은 여전히 서로를 바라보지만, 그 사랑이 더는 억압이 되지 않기 위해 관계의 방식을 새롭게 찾아봐야 한다. 이 책은 그 변화의 길 위에 서 있는 당신을 위한 심리적 나침반이 되고자 한다.
엄마를 밀어내려는 것이 아니라 나를 중심에 세워야 한다. 엄마의 기대에서 한 걸음 물러나자. 그 선택은 ‘엄마의 딸’로서가 아니라 ‘진짜 나’로 살아가기 위한 길이며, 빌려온 언어가 아니라 자기만의 언어로 세계를 다시 그려보겠다는 조용한 다짐이다. 함께 그 여정을 떠나보자. 세상에 유일한 ‘나’로서, 조금은 서툴더라도.

엄마는 평소에 딸의 일상 대부분을 알고 싶었다. 무엇을 먹었는지, 어떤 택배가 왔는지, 누구를 만나고 있는지도. 늦게 귀가할 때는 출발 전, 환승할 때, 도착 즈음까지 몇 번이고 연락해야 마음이 놓인다고 했다. 엄마의 잔소리는 딸이 밤길에 사고라도 당할까 걱정하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그 시간 동안 엄마는 수없이 휴대전화를 들여다보며 밤잠을 설쳤을지 모른다. 그렇게 생각하면 그 말의 결도 조금은 다르게 들린다.
지금의 나를 단단하게 하는 것은 누군가보다 나은 내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힘이다. 고슴도치는 가시를 세우지 않아도 이미 그 자체로 충분한 존재다. 누군가를 질투하고, 오래도록 원망했던 마음 역시 자신을 지키기 위한 방식이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제라도 그 마음을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는 일이다. 최소한 나만은 나를 오해하지 않기로.
작가 소개
지은이 : 곽소현
‘사람의 감정은 말보다 먼저 움직이고, 관계는 그 감정의 울림 속에서 빚어진다.’ 그 보이지 않는 결을 오래 들여다보며, 익숙하면서도 그 때문에 상처받는 마음을 탐색해왔다. 상담심리학을 공부했고, 성균관대학교에서 가족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경기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한편 감정톡톡심리상담소 소장으로 마음챙김이라는 이름의 상담을 이어가고 있다. 청소년과 부모, 부부, 세대 간의 마음을 연결하는 상담을 하면서도 한 사람의 고유한 서사에 늘 귀 기울여 왔다. 젠탱글 명상과 문학을 접목한 보라문학명상교실을 통해 마음을 그림으로, 또는 말로 정리해보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으며, 이는 강의와 프로그램으로 확장하고 있다. 관계 회복에 초점을 두고 상담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세상에서 가장 가깝지만 가장 멀게 느껴지는 엄마와 딸의 심리적 관계다. 엄마를 사랑하지만 엄마 때문에 힘든 딸과 내 마음을 몰라주는 딸 때문에 힘든 엄마의 심리와 관계 회복을 《엄마는 아직도 내가 백숙을 좋아하는 줄 안다》로 정리했다. 그간 지은 책으로는 《까칠한 아이 욱하는 엄마》 《예민해서 힘들다면 심리학을 권합니다》 《네 우울의 이름을 알려줄게》 《마음을 다독이는 감정수업》 《사랑의 기원》 외에 여러 권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__우리는 오해한 채 살아왔다
사랑이거나 통제이거나
나는 돼도 너는 안 돼
편애의 슬픔
상실감은 누가 채워줄까
어릴 적 결핍을 손주에게로
할수록 민감한 돈 문제
엄마의 재테크
누구를 위한 제사인가
나 혼자 살고 싶어
결혼 준비 중에 생긴 일
장서갈등의 고리
2장__난 엄마처럼 살지 않을 거야
엄마에게 길들고, 그에게 매이고
결혼에 도피하지 마라
어른 같은 딸, 아이 같은 엄마
엄마처럼 살지 않으려다 지친다
너무 열심히 했기 때문에
자기 돌봄을 위한 시작
직장은 가정이 아니다
임종을 지키지 못한 마음
숨은 노동의 소중함
저장강박이 생겼다면
눈물 작전이 통하지 않을 때
너만 잘되면 된다는 함정
이기적인 딸을 걱정하는 엄마
3장__친밀해진다는 것
엄마는 친구가 아니겠지만
닿지 않는 말이라도 놓지 마라
사랑의 온도는 어디까지일까
완벽한 엄마 앞에 잘난 딸 없다
딸은 엄마의 명함이 아니다
바빠서 갱년기 온 줄도 몰랐지
함부로 사랑을 재지 말 것
괴물 같은 엄마라도
둘만을 위한 저녁
함께 찍은 오래된 사진
엄마도 한때는 여자였다
닮지 않을수록 더 닮아가는
엄마와 함께 걷는 삶
4장__놓아주고 응원할 때
엄마는 봄을 마중하는 중
함께 식탁보를 펴는 날
입맛이 변한 게 아니다
우리는 식탁에서 울고 웃는다
안쓰러운 마음에서 벗어나라
시간은 그 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엄마, 그때 왜 그랬어요
우리 딸, 너무 많이 기다렸구나
함께해야 풀리는 실타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