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여세실의 두 번째 시집 『화살기도』가 민음의 시 334번으로 출간되었다. 2023년 출간된 『휴일에 하는 용서』 이후 2년 만에 펴내는 신작 시집이다. 2021년 《현대문학》 신인 추천으로 등단한 여세실은, “오랜 훈련을 거친 사람의 내공”이 느껴진다는 평가를 증명하듯 등단 직후부터 ‘젊은 시’의 흐름을 형성하며 폭발적인 시작 활동을 펼쳐 왔다. 첫 시집에서 “그치지 않고 솟아나는 슬픔”을 바라던 젊은 시인은, 이제 ‘몸을 이곳에 있게 하는’ 삶의 기반으로 슬픔을 다루는 슬픔의 숙련공이 되어 있다. 『화살기도』에서 여세실의 언어는 잠을 자고, 밥을 먹고, 트림을 하고, 뛰고, 울고 웃는 몸을 통해 발산된다. 살아 있는 동안은 몸 바깥으로 나갈 수 없듯, “슬픔 밖의 끝장”에도 여전히 슬픔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시인은 이제 슬픔에 집을 짓고 산다. 계란말이를 정갈히 자르고 너비아니를 구워 꼭꼭 씹어 먹는 생의 감각은, 슬픔으로 이주한 후에도 계속해서 이어지는 일상의 단면을 포착한다.슬픔이라면 기어코 연장하겠습니다 외로움에 불필요한 요소라면 찬성입니다어디까지나피를 혈이라 부르고 얼굴을 면이라 쓰고 나면 내가 서 있는 부엌이 굴속이 되고내가 깨뜨린 게 사람으로 둔갑한 거품이라고거품으로 변장한 옥상이라고난간으로 둔갑한 너의 기도 끝에 선다얼마든지―「화살기도」에서
울먹거리는 나를 보고 지나가는 노인이한마디를 거들었다드디어 혼자가 되었구나간절히 바라던 일이 모두이루어지고 난 뒤에텅 비어 버린 겨울나무손바닥에 손금을 짚어 보며더 이상 아무것도 바랄 것이 없다는 게그럼에도 이렇게 기다랗게생명선이 이어져 있다는 게―「을의 기쁨」에서
여섯 살에 여섯 살을 살지 못하면 언젠가 꼭 다시 그 나이를 살게 된다그 누구의 목소리도 듣고 싶지 않아서 모두의 얼굴을 밝게 켜둔 채 잠에 드는 애(……) 나를 닮은 것들은 눈이 너무 많고 손바닥이 축축합니다 누구도 시로 쓸 수 없는 착한 사람이 되려다가 거의 모든 시에 쓰인 유령이 되었습니다 과연 내가 좋은 사람일까요? ―「주머니가 많은 옷」에서
작가 소개
지은이 : 여세실
1997년 경기 안양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21년 《현대문학》 신인 추천으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휴일에 하는 용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