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7세기에 이르러 이슬람이라는 종교의 등에 올라 지중해와 인도양 끝까지 진출한 아랍인들은 이전까지 어떤 인류도 섭렵하지 못했던 광대한 영역을 직접 발로 밟고 눈으로 보고 귀로 들으면서 세상 구석구석에 분포한 자연과 사람들에 관한 가장 방대하고 정밀한 세계지리 정보를 종합했다. 놀랍게도 이 방대한 지리백과의 마지막 쪽을, 짧지만 강한 인상으로 채운 항목은 바로 한반도 내의 고대 왕국들을 통일했던 나라, 신라였다.
무척 이례적으로 이 중세 무슬림들은 앞서 고대와 중세를 통틀어 동아시아 바깥 세계의 어느 작가도 주목하지 않던 신라에 관해 다양하고 풍부한 기록을 남겼다. 이 책은 이슬람 세계의 필사본과 고문헌 속에 기록된 신라의 흔적을 추적하며, 무슬림들이 신라를 어떻게 바라보고 평가했는지를 고찰한다.
출판사 리뷰
무슬림들이 기록한 신라의 흔적을 추적하다
이슬람 세계 속 동쪽 끝의 문명, 신라
7세기에 이르러 이슬람이라는 종교의 등에 올라 지중해와 인도양 끝까지 진출한 아랍인들은 이전까지 어떤 인류도 섭렵하지 못했던 광대한 영역을 직접 발로 밟고 눈으로 보고 귀로 들으면서 세상 구석구석에 분포한 자연과 사람들에 관한 가장 방대하고 정밀한 세계지리 정보를 종합했다. 놀랍게도 이 방대한 지리백과의 마지막 쪽을, 짧지만 강한 인상으로 채운 항목은 바로 한반도 내의 고대 왕국들을 통일했던 나라, 신라였다.
무척 이례적으로 이 중세 무슬림들은 앞서 고대와 중세를 통틀어 동아시아 바깥 세계의 어느 작가도 주목하지 않던 신라에 관해 다양하고 풍부한 기록을 남겼다. 이 책은 이슬람 세계의 필사본과 고문헌 속에 기록된 신라의 흔적을 추적하며, 무슬림들이 신라를 어떻게 바라보고 평가했는지를 고찰한다.
신라는 무슬림들에게 중국 다음으로 중요한 동아시아 국가로 인식되었다. 9세기 당나라 말기의 국제 무역 중심지였던 신라는, 무슬림들이 동아시아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주목받았으며,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도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다. 또한 신라로 이주한 무슬림들이 그 땅의 풍요와 안락함에 매료되어 돌아가지 않았다고 믿었으며, 이는 신라 멸망 이후에도 오랫동안 전해졌다.
신라에 대한 무슬림들의 인식은 단지 하나의 나라에 대한 이해에 그치지 않고, 이슬람 세계의 우주관과 세계관, 나아가 유럽과 동아시아의 세계 인식에도 영향을 끼쳤다. 신라는 무슬림들이 이상향처럼 여긴 ‘황금의 섬’으로서 동남아시아에 대한 인식과도 연결되었고, 이는 훗날 유럽인들이 ‘지팡구’라 불렀던 전설의 섬을 찾아 떠나는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들이 형성되는 동안 신라나 고려는 능동적으로 개입하지 않았으며, 무슬림들이 신라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조차도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라가 중세 이슬람 세계와 이후 유럽 지리학에까지 큰 영향을 미친 ‘조용한 영향력’의 주인공이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 책은 과거 무슬림들이 동방의 한 나라에 대해 가졌던 특별한 관심을 돌아보며, 우리가 미처 몰랐던 신라의 새로운 면모를 무슬림의 시각으로 전하고 있다.
루스터
루스터 총서는 인간 문명의 좁고 깊은 단면을 쪼아내는 국내 학자들의 글을 발굴해 다듬은 도서출판 씨아이알의 시리즈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정진한
역사 속 문명들끼리의 교류를 연구하면서 오늘을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에서 HK교수로 ‘동서문헌교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한국문명교류연구소에서 연구위원으로 ‘문명교류학’을 연구 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아랍어 학사를, 국립요르단대학교에서 한-이슬람 중세 교류사 석사를, 영국 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대학(SOAS)에서 이슬람 세계의 새로운 지리관 탄생에 한국이 미친 영향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아랍, 중동, 이슬람 세계의 역사, 언어, 문화 및 한국과의 관계를 가르쳤고 교수신문에 <글로컬 오디세이>를 기고 중이다. 단국대학교 GCC국가연구소에서 한국의 걸프 지역 진출 및 협력 전략을 연구했다. 『신라와 실크로드』 (공저), 「Creating the Medieval Islamic Geography by Using Korea」, 「이슬람 세계관 속 신라의 역사: 알 마스우디(c.896-956)의 창세기부터 각 민족의 기원 을 중심으로」, 「중세 이슬람 지리 속 신라의 남하와 이것이 무슬림들의 동남아시아 지리 인식에 미친 영향」, 「민간 박물관을 활용한 아랍에미리트의 친이스라엘 공공외교: 문명들의 교차로 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등의 연구물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제1장 무슬림이 처음 만난 한국, 풍요롭고 매력적인 섬 신라
동아시아에 온 항해자들, 신라의 물산과 외교에 주목하다
이슬람 제국의 정보 수장, 신라에 온 무슬림들을 주목하다
무슬림들은 신라와 어떤 물품을 주고 받았을까?
반복되는 레퍼토리에 즐거운 상상을 추가하다
제2장 무슬림들이 만들어 준 신라의 역사, 모세부터 신라의 왕까지
성경과 꾸란을 바탕으로 보는 이슬람의 역사관과 세계관
한국과 중국에 관한 이슬람 성서학적 인식
세상의 동쪽 끝에 자리한 낙원으로서의 입지 강화
제3장 무슬림들이 붙여준 신라의 위도와 경도,그 속의 지중해부터 인도까지의 세계
무슬림들에게 위도와 경도를 가르쳐준 외국인 스승들
모험을 통해 상상의 나라를 실제 세계로 대체하기
왜 신라를 적도 근처에 있다고 보았을까?
제4장 세계의 양쪽 끄트머리, 카나리제도와 신라
대서양의 카나리제도, 신라의 파트너로 등장
너희는 쌍둥이가 되어야만 해! 신라와 카나리제도
굴러온 돌 신라, 동경 180도를 차지하다
나가며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