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1.2.3학년을 위한 과학도서관 시리즈 1권. ‘어떻게’라는 단어를 열쇳말로 하여 인류의 진화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저학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재미있게 쓰였고, 아이들이 궁금해 하는 ‘우린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을까?’라는 물음에 충실하고도 흥미로운 대답을 들려준다.
설명 하나하나에 진화의 순서와 흐름을 담는다. 정답만 보여 주고 암기하도록 강요하는 게 아니라 진화의 과정을 차근차근 알기 쉽게 설명한다. 아이들이 어려워하지 않고 쉽게 이해할 만한 깊이에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도, 현대 진화학의 변화와 발전을 담아낸 책이다.
출판사 리뷰
인간의 진화는 ‘발’에서 시작되었다!
인류의 비밀을 밝히는 흥미진진 진화 이야기 ‘초등 1.2.3학년을 위한 과학도서관’ 시리즈의 첫 번째 책 《HOW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진화의 비밀》이 출간되었다. 과학사의 위대한 발견들은 모두 ‘왜 그럴까? 어떻게 그럴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남들이 당연하게 여겨 스쳐 지나가는 것을 다시 한번 자세히 들여다보고, 그 안에 숨은 원리를 발견하려고 부지런히 일하다 보면 세상을 움직이는 커다란 발견을 해낼 수도 있다. ‘어떻게’라는 질문은 특히 중요하다. ‘누가, 언제, 무엇을’이라는 질문처럼 정해진 사실과 결과를 묻는 게 아니라, ‘어떻게 이렇게 되었을까? 어째서 그럴까?’라는 다양한 가능성과 방법을 묻는 질문이기 때문이다. 정답을 그저 외우기보다 과정과 풀이를 궁금해 할 때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이 책 《HOW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진화의 비밀》은 ‘어떻게’라는 단어를 열쇳말로 하여 인류의 진화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저학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재미있게 쓰였고, 아이들이 궁금해 하는 ‘우린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을까?’라는 물음에 충실하고도 흥미로운 대답을 들려준다. 고학년 수업 과정에서 만나게 될 진화 이야기를 어렵지 않고 친숙하게 소개하는 책이다.
‘우린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을까?’에 대한 멋진 대답 공룡이 아직도 살아 있다면 우리는 아예 태어나지도 않았을 것이다. 공룡이 멸종한 뒤 포유동물이 진화했다. 처음엔 나무 위에 살며 민첩한 몸놀림으로 과일을 따 먹었던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두 발로 걷게 된 걸까? 어떻게 의사소통을 하고, 도구와 예술 작품을 만들고, 불을 다루었을까? 어떻게 논과 밭에 정착해 먹을 걸 기르게 됐을까? 이 책은 우리 모두의 역사라도 할 수 있는 인류의 진화 과정을 들려준다.
특히 인간의 진화가 발을 움직이는 것을 통해 시작됐다는 사실은 놀라움을 전한다. 인간이 뇌가 커져서도 아니고, 손이 발달해서도 아니라 두 발로 걷게 되면서 처음으로 진화를 시작했다는 것이다. 기후 변화로 숲이 초원으로 변하고 나무가 줄어들자, 나무 위에서 살아가던 원시인들이 먹을 것을 구하러 땅에 내려왔다. 그리고 원시인들이 땅에서의 생활에 적응해 두 발로 걷게 되면서 진정한 의미의 진화가 시작되었다. 두 발로 걸으며 손과 팔이 자유로워진 그들은 사냥을 하는 데 필요한 돌 도구를 만들었고, 사냥에서 위험을 알리거나 할 일을 나누려고 언어를 발전시켰다. 호모 에렉투스에 이르자 인간은 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엔 구리나 청동 등을 자연에서 발견해 도구를 만드는 데 이용했다.
이처럼 《HOW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진화의 비밀》은 직립 보행에 대한 설명 하나에도 진화의 순서와 흐름을 담는다. 정답만 보여 주고 암기하도록 강요하는 게 아니라 진화의 과정을 차근차근 알기 쉽게 설명한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며 네안데르탈인 같은 인간 종의 이름을 달달 외우더라도 “인류의 진화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라는 질문에 오목조목 대답하기란 쉽지 않다. 이 책은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어 온 인류의 변화를 마음속으로 떠올리고 직접 그려 볼 수 있도록 돕는다.
인간과 진화를 향한 흥미를 키워 나가는 데 좋은 디딤돌이 될 책이 책은 아이와 마주앉아 이야기하듯 생기 넘치는 어조로 쓰여, 일반 학습 책보다 읽기 쉽고 유쾌하다. 특히 아이들이 가지는 사람에 대한 궁금증을 진화라는 과학 지식과 연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이 책의 매력이다. 원시인이라고 하면 지금의 우리와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만 느껴지지만, 이 책은 오래전 인류의 조상과 지금 우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일깨운다. 인류의 뿌리를 향해 가는 여정에 진화론이 훌륭한 안내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책이다.
대부분 페이지에 큼지막하게 들어간 삽화는 과학 지식에 비추어 보아도 틀림이 없고 세밀하다. 삽화를 통해 우리는 인간이 걷기 시작하고 도구를 사용하고 불을 사용하게 된 과정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변화하는 진화학의 최신 정보들을 담고 있다. 화석 발굴가에 대해선 유명한 진화학자의 이름 대신 진짜 현장에서 화석을 발견해 낸 인부나 돌 깨는 기술자의 이름을 실었다. 1991년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된 미라 ‘외찌’나 2003년 인도네시아에서 발굴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처럼 고인류학자들의 최근 업적도 담고 있다. 아이들이 어려워하지 않고 쉽게 이해할 만한 깊이에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도, 현대 진화학의 변화와 발전도 담아낸 진화 책이다.
《HOW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진화의 비밀》은 사람과 자연에 대한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쉽고 명료한 설명으로 진화론에 대한 첫 접근을 돕는다. 초등 저학년 아이들이 인간과 진화를 향한 흥미를 키워 나가는 데 좋은 디딤돌이 될 책이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는 맹수의 사냥감이 되는 경우가 많았어. 유인원처럼 날카로운 이빨로 저항하지도 못하고, 빨리 달리지도 못하고, 손이 둔해서 아직 무기를 만들 능력도 없었거든. 그래서 원시인들이 시간이 흐르며 함께 모여 살게 된 거야. 같이 있으면 힘이 세지고, 가시 돋친 나뭇가지 같은 걸 이용해 맹수의 공격을 피할 수 있었으니까.
과학자들은 원시인의 주거지뿐 아니라 날카로운 돌 조각이 잔뜩 쌓여 있는 장소도 발굴해 냈어. 과학자들은 그게 호모 하빌리스가 돌을 한 곳으로 옮겨 작업했던 자리라고 결론지었어. 그곳은 바로 인류사에 최초로 등장한 공장인 거야.
작가 소개
저자 : 베르벨 오프트링
1962년, 독일에서 태어났고 마인츠와 튀빙겐 대학에서 생물을 전공했다. 지금은 자유 기고가와 책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그동안 자연과학 책을 많이 발표했는데, 특히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와 같은 척추동물의 진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목차
옮긴이의 말 6
유인원에 속한 동물들 10
1. 인류 최초의 조상은 누구일까 12
·아프리카 인류의 요람 14
2. 루시는 누구일까? 19
·어떻게 걷기 시작했을까? - 직립보행 22
3. 원시인은 어떻게 살았을까? 오스트랄로피테쿠스 25
·어떻게 생각을 하기 시작했을까? - 두뇌 28
4. 돌로 무엇을 만들었을까? 호모 하빌리스 32
·맨 처음 지어진 공장은 무엇일까? - 돌 도구 공장 35
·어떻게 말을 배웠을까? - 인간의 언어 38
5. 인류는 어떻게 세계 곳곳에 퍼졌을까? 호모 에렉투스 42
·어떻게 불을 다루게 되었을까? - 불의 발견 46
6. 슬기로운 인간이라 불린 건 누구일까? 호모 사피엔스 51
7. 석기 시대의 삶은 어땠을까? 네안데르탈인 53
·어떻게 동물을 사냥했을까? 56
8. 현생인류는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59
·최초의 예술가는 누구였을까? 62
·어떻게 농사를 짓기 시작했을까? 66
9. 석기 시대는 왜 끝이 났을까? 69
10. 인간은 동물과 어떻게 다를까 72
11. 오늘날 우리는 어떤 모습일까? 75
12. 고인류학자는 무슨 일을 할까? 78
13. 화석으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 81
박물관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