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주헌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출판국기자, 『한겨레』 문화부 미술 담당 기자를 거쳐 학고재 갤러리와 서울미술관 관장을 지냈다. 미술 평론가이자 미술 이야기꾼으로 활동하면서 미술로 삶과 세상을 보고, 독자들이 그 과정에 좀 더 쉽고 폭넓게 접근하도록 돕기 위해 꾸준히 글을 쓰고 강연을 한다. 미술 작품에 국한되지 않고 그 너머의 세상을 보는 관점을 일깨운다는 점에서 오랜 시간 독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지은 책으로 『50일간의 유럽 미술관 체험 1.2』 『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 『현대 미술의 심장 뉴욕 미술』 『신화, 그림으로 읽기』 『내 마음속의 그림』 『미술로 보는 20세기』 『이주헌의 아트 카페』 『그리다, 너를』 『이주헌의 서양미술특강』 『역사의 미술관』 『지식의 미술관』 『느낌 있는 그림 이야기』 『노성두.이주헌의 명화 읽기』(공저) 『풍미 갤러리』(공저) 등이 있고, 『엄마와 함께 보는 세계의 미술』 시리즈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EBS에서 《이주헌의 미술 기행》 《청소년 미술 감상》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역사화는 어떤 그림일까요
1 천지창조에서 최후의 심판까지
[신의 이야기]
미켈란젤로 | 천지창조 중 '아담의 창조'
미켈란젤로 | 최후의 심판
티치아노 | 가시면류관을 쓴 그리스도
라파엘로 | 그리스도의 변용
[인간의 이야기]
페르낭 코르몽 | 카인
렘브란트 반 라인 | 눈먼 삼손
외젠 들라크루아 | 천사와 씨름하는 야곱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
반 데어 베이덴 | 동정녀를 그리는 성 누가
티에폴로 | 성 아가타의 순교
2 화폭 가득 펼쳐지는 신들의 드라마
[사랑]
안토니오 폴라이우올로 |아폴론과 다프네
주세페 마리아 크레스피 | 에로스와 프시케
티치아노 |에우로페의 납치
크리스토프 슈바르츠 | 페르세포네의 납치
에드워드 번존스 | 피그말리온과 조각상
[투쟁과 갈등]
틴토레토 | 아테나와 아라크네
허버트 드레이퍼 | 이카로스를 위한 탄식
피에로 디 코시모 | 라피타이 족과 켄타우로스의 싸움
핀투리키오 | 페넬로페와 구혼자들
귀스타브 모로 | 프로메테우스
귀스타브 모로 | 헤라클레스와 레르나의 히드라
3 역사를 담은 생생한 영상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역사]
자크 루이 다비드 | 사비니의 여인들
작자 미상 | 알렉산드로스 모자이크
카를 브률로프 | 폼페이 최후의 날
장제르맹 드루에 | 민투르나이의 마리우스
토마 쿠튀르 | 로마인의 타락
라파엘로 | 아테네 학당
[전쟁·재난·평화]
바이외 태피스트리
외젠 들라크루아 | 키오스 섬의 학살
프란시스코 데 고야 | 1808년 5월 3일
프랑수아즈 뒤부아 | 성 바르톨로메오의 대학살
장레옹 제롬 | 스핑크스 앞의 보나파르트
테오도르 제리코 | 메두사 호의 뗏목
케테 콜비츠 | 전쟁은 이제 그만
페테르 파울 루벤스 | 평화와 전쟁
[전설과 환상]
로렌스 앨머 테디머 | 사포와 알카이오스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 오시안의 꿈
일리야 레핀 | 사드코
페테르 파울 루벤스 | 로마의 자비
라울 뒤피 | 전기의 요정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