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이야기\'의 열한 번째 시리즈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있는 우주 과학 이야기 및 교과서가 들려주지 못한 신비로운 우주의 세계를 담았다. 우주 과학의 역사, 우주를 사랑한 천문학자들, 우주의 탄생과 죽음, 별을 잡아먹는 블랙홀, 우주 개척의 역사 등 신기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1장은 달력, 시계, 전기밥솥, 일기예보 등 우리 일상생활이 우주 과학과 어떻게 연결되었는가를 알려준다. 2장은 세계와 우리나라의 천체 관측의 역사를, 3장은 태양의 구조, 지구와 달의 관계, 행성 발견의 역사, 화성 생명체 발견, 소행성과 혜썽 등 태양계의 천체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한편 본문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그림과 알아두면 재미있는 상식 코너인 \'알고 있나요?\'와 \'요건 몰랐지?\' 코너도 함께 들어 있다.
작가 소개
저자 : 신광복
연세대학교에서 지질학을 공부하고 천문학을 부전공했으며,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번역 모임 \'새싹 마음\'에 참여하여 <땅, 바다, 공기>, <오싹오싹 과학체험>시리즈, <숫자팀의 모험>시리즈 등 아동 과학책을 번역했다. 2005년 현재 동아사이언스 출판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그림 : 서석근
성균관대학교에서 기계와 설계 분야를 공부했다. 졸업 후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2001년 신인만화가 공모전에 입상했으며, 2002년 만화 단행본 <사회정의실천위원회>로 데뷔했다. 만화 잡지에 \'대장군 이순신\'을, 그밖에 어린이 동아일보와 매일경제에 작품을 연재하기도 했다. 그린 책으로는 <초등학생에 딱! 과학상식 100배> 시리즈, <교과서 만화 수학 5학년>, <어린이 만화 괴물> 등이 있다.
감수 : 김유제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미시간 대학에서 행성대기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목차
<제1장> 우주 과학은 공상이 아니라 생활이에요!
1. 사람이 먹고사는 데 제일 필요한 것이 우주 과학이라고요?
2. 달력이 우주 과학의 결정체라고요?
3. 시계, 만만하게 볼 게 아니네?
4. 우주 과학이 맛있는 밥을 만들어 준다고요?
5. 우주에도 일기 예보가 있다고요?
<제2장> 우주를 사랑한 사람들
1. 우주에 대해 최초로 이야기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2. 지동설, 코페르니쿠스가 최초가 아니라고요?
3. 태양 중심설은 다 똑같지 않나요?
4. 우리나라 사람들은 언제부터 우주를 관측했나요?
5.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아시나요?
<제3장> 태양계 가족들, 다 모여라!
1. 태양계의 천체는 몇 개나 되고, 태양계의 끝은 어디일까요?
2. 태양, 평범하고도 특별한 별
3. 달은 지구와 어떤 관계예요?
4. 행성들은 어떻게 발견되었나요?
5. 명왕성은 왜 행성이 아니라고 하지요?
6. 화성과 지구 바다 속이 관계가 있다고요?
7. 태양계의 꼬마 식구들, 소행성과 유성
8. 혜성이 나타나면 왜 떠들썩하지요?
<제4장> 우주도 나이를 먹어요
1. 우주 공간, 알고 보면 무시무시한 곳이에요.
2. 우주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3. 별들도 가지가지예요.
4. 별도 태어나고 죽어요
5. 블랙홀, 정체를 밝혀라!
6. 우주도 태어나고 죽나요?
<제5장> 우주 개척 시대
1. 이젠 우주 탐사도 전쟁이에요!
2. 비행기는 왜 우주로 가지 못하나요?
3. 사람보다 먼저 우주여행을 한 동물이 있다고요?
4. 달나라 여행은 너무 어려워요.
5. 인공위성을 맨눈으로 볼 수 있나요?
6. 왜 망원경을 우주 공간에 설치하나요?
7. 우주 탐사선, 어디까지 갔나요?
8. 우주 정거장은 왜 필요한가요?
9. 우주 비행사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0. 우주 공간에도 쓰레기가 있다고요?
<제6장> 우주를 느끼고 싶나요?
1. 우주를 보는 여러 가지 방법
2. 우리가 직접 관측할 수 있는 천체는 어디까지인가요?
3. 맨눈으로 즐기는 우주 쇼, 월식과 일식
4. 유성우, 진짜 비처럼 내리나요?
5. 영화 속 우주 묘사, 옥에 티를 찾아라.
6. 천문대로 여행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