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AI 기술이 빠르게 우리 일상에 스며들면서 사회의 많은 부분을 바꾸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패러다임에도 거대한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그 중심에 바로 ‘컴퓨팅 사고력’이 있다. 컴퓨팅 사고력은 단순한 프로그래밍 기술이 아니다. 문제를 분해하고, 패턴을 인식하며, 추상화하여 핵심을 파악하고, 논리적인 순서로 해결책을 설계하는 사고 과정을 뜻한다. 이는 단순한 코딩 교육을 넘어, 모든 문제해결의 기본기로 자리 잡고 있다.
AI가 인간의 일을 대체하면서 필요해진 능력은 바로 ‘생각하는 법’이다. 봄마중 출판사의 ‘AI시대의 컴퓨팅 사고력’ 시리즈는 기계가 따라 할 수 없는 창의적인 사고, 문제의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미 영국, 미국, 핀란드 등 선진국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이 초등 필수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우리나라도 컴퓨터의 단순한 기술보다는 아이들이 생각하고 설계하고 창조할 수 있는 역량 중심 교육으로 빠르게 전환해야 할 시점이다.
출판사 리뷰
AI 시대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역량, 컴퓨팅 사고력AI 기술이 빠르게 우리 일상에 스며들면서 사회의 많은 부분을 바꾸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패러다임에도 거대한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그 중심에 바로 ‘컴퓨팅 사고력’이 있다. 컴퓨팅 사고력은 단순한 프로그래밍 기술이 아니다. 문제를 분해하고, 패턴을 인식하며, 추상화하여 핵심을 파악하고, 논리적인 순서로 해결책을 설계하는 사고 과정을 뜻한다. 이는 단순한 코딩 교육을 넘어, 모든 문제해결의 기본기로 자리 잡고 있다.
AI가 인간의 일을 대체하면서 필요해진 능력은 바로 ‘생각하는 법’이다. 봄마중 출판사의 ‘AI시대의 컴퓨팅 사고력’ 시리즈는 기계가 따라 할 수 없는 창의적인 사고, 문제의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미 영국, 미국, 핀란드 등 선진국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이 초등 필수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우리나라도 컴퓨터의 단순한 기술보다는 아이들이 생각하고 설계하고 창조할 수 있는 역량 중심 교육으로 빠르게 전환해야 할 시점이다.
문제를 차근차근 풀어가다 보면 어느새 알고리즘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어!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절차나 순서를 말한다.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할 때 반드시 따라야 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아침에 일어나 학교에 가기까지의 행동을 ‘일어나기 → 세수하기 → 옷 입기 → 밥 먹기 → 가방 챙기기 → 학교 가기’처럼 순서대로 나열하고 판단하는 것이 알고리즘의 기초다. 알고리즘은 컴퓨터 공부를 위해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의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교육 전문가들은 알고리즘 교육이 단순히 IT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알고리즘은 생각의 도구이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는 힘을 길러주기 때문이다. 최근 알고리즘 교육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의 핵심 요소로도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컴퓨터 활용을 넘어,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하는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 습관을 기르는 것이 알고리즘 교육의 주요 목표다.
아이들이 알고리즘 학습을 하게 되면 복잡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효율적인 해결 방법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수학, 과학, 언어 등 다양한 교과에서도 응용해,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쉽게 이해하는 알고리즘》은 25개의 문제를 풀면서 자연스럽게 알고리즘의 원리를 이해하는 책이다. 순서대로 물건을 옮기는 순차 구조 문제부터 배치 최적화에 이르기까지, 난이도별로 문제가 그림과 함께 친절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이들이 지치지 않고 끝까지 풀 수 있도록 돕는다.
물건을 어떤 순서로 옮기는 것이 효율적인지, 책꽂이의 책들을 어떻게 정렬할지, 마을의 우체통을 최소한으로 어느 위치에 설치할지 등을 다루는 문제를 풀다 보면 이진 탐색, 버블 정렬, 카이사르 암호, 다익스트라법 등 알고리즘의 기초를 익힐 수 있다. 중간중간 실려 있는 만화도 아이들에게 흥미와 몰입도를 높여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시마부쿠 마이코
오사카전기통신대학대학원 공학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오사카전기통신대학 특임 강사이다. 쓴 책으로 《연습 문제의 왕-즐거운 프로그래밍》 시리즈가 있다.
목차
시작하며
1장 순서대로 생각하기
‘알고리즘’이 무엇일까요? 40
우리 주변의 알고리즘 42
2장 알고리즘으로 다른 사람 돕기
알고리즘을 그림으로 표현해 봐요 70
우리 주변의 알고리즘 72
3장 알고리즘으로 더 많은 사람 돕기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108
우리 주변의 알고리즘 110
4장 알고리즘을 자유롭게 활용하기
감수자의 말 142
알고리즘 다시 보기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