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서술되어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재치 있는 그림과 생생한 사진은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간단한 문제 풀이를 통해 학교에서 배우는 한국사의 핵심 내용을 확인해 주는 '생각 다짐이' 코너와 용어, 사건, 인물, 유적 등 흥미로운 정보를 통해 역사적 지식을 보충해 주는 '생각 자람이' 코너가 있어 '재미'와 '지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역사책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용 이해를 바탕으로 그 위에 약간의 암기가 더해진 만큼 한국사 공부의 첫걸음을 제대로 뗄 수 있다.
출판사 리뷰
한국사 하면 수많은 사건, 끝없는 암기가 떠오르나요?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 술술 읽히는 재미난 이야기로 한국사와 자연스럽게 가까워질 테니까요!
역사 공부의 시작, 『공부가 쉬워지는 한국사 첫걸음』으로! 한국사 열풍이 식을 줄을 모릅니다. 한국사를 소재로 한 영화, 드라마, 책 등 문화콘텐츠가 풍부해진 것은 물론이고 초등학교 5학년 교육과정에 한국사가 들어가면서 저학년부터 역사 공부에 대한 관심이 꽤 커졌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역사의식이 부족하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2017년부터 수능에 한국사가 문이과 공통 필수 과목으로 지정된 것,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대학별 입시와 취업 전형에 반영된다는 것도 한몫했겠지요. 너무 어릴 때부터 입시 준비를 하듯 역사 공부를 하는 건 오히려 역사를 싫어하게 만든다는 우려도 없지 않지만, 역사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됩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신채호 선생의 말씀을 되새겨 보면 우리에게는 균형 있는 시각으로 시대를 읽고 소통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이처럼 중요하게 여기는 한국사 공부, 과연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 보았을 문제일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역사를 가르칠 수 있을까 생각하지요. 『공부가 쉬워지는 한국사 첫걸음』은 이러한 점을 깊이 고민하여 만들었습니다.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서술되어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재치 있는 그림과 생생한 사진은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더불어 간단한 문제 풀이를 통해 학교에서 배우는 한국사의 핵심 내용을 확인해 주는 ‘생각 다짐이’ 코너와 용어, 사건, 인물, 유적 등 흥미로운 정보를 통해 역사적 지식을 보충해 주는 ‘생각 자람이’ 코너가 있어 ‘재미’와 ‘지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역사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용 이해를 바탕으로 그 위에 약간의 암기가 더해진 만큼 한국사 공부의 첫걸음을 제대로 뗄 수 있습니다.
새로운 나라가 세워지고 민족 문화가 활짝 꽃피는 사대부의 나라 조선 이야기!고려 말에 세력을 키운 신진 사대부들은 이성계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서 새 나라 조선을 세웠습니다.
태조 이성계와 태종을 거쳐 왕권이 점전 강해졌고,
뒤를 이은 세종이 우리나라의 고유한 문자, 한글을 만들면서 민족 문화가 꽃을 피웠지요!
조선이 세워진 뒤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왜구가 조선의 남부와 중부 해안에 나타나 조선을 괴롭혔다면, 북쪽에도 조선을 괴롭힌 무리들이 있었어. 바로 여진이야. 여진은 만주 지역에 살던 민족이야. 고려 시대에도 걸핏하면 우리 땅을 침입했지. 그러더니 조선이 들어선 뒤에도 자주 쳐들어왔어.
그러던 1432년, 여진이 압록강 상류 지역을 침략해 왔어. 세종은 최윤덕에게 군사 1만 5천 명을 내주며 이렇게 말했어.
"압록강 근처를 침략한 여진을 토벌하시오. 그 지역을 확실하게 우리 영토로 삼아야겠소."
최윤덕은 태종 때도 함경도 지역에서 여진을 물리친 적이 있었어. 또 이종무와 함께 대마도 정벌에도 나서서 공을 세운 뛰어난 장수였지. 최윤덕은 세종의 명에 따라 압록강 일대를 어슬렁거리는 여진을 물리쳤어. 그리고 그 지역 네 곳에 국방상의 요새인 4군을 설치했어. 요새가 뭐냐고? 군사적으로 중요한 방어 시설이야.
내친 김에 세종은 김종서에게도 명령을 했어.
"두만강 부근에도 여진이 나타나 우리 백성들을 괴롭힐지 모르니 이에 대비해 주시오."
김종서는 두만강 일대를 두리번거리는 여진을 몰아내고, 그 지역 여섯 곳에 국방상 요새인 6진을 설치했어.
그 뒤로 세종은 4군과 6진에 백성들을 이사해 살게 했어. 그리고 그 지방 사람을 관리로 임명해 이 지역을 다스리게 했지. 새로 개척한 땅에 사람이 살아야 온전히 우리 땅이 될 수 있으니 말이야.
세종 때 4군 6진을 설치함으로써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오늘날과 같은 국경선이 확정되었단다.
작가 소개
저자 : 지호진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하고, 우리나라 전통문화 관련 잡지에서 기자 생활을 했습니다. 지금은 어린이 책 전문 기획 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지은 책으로는 《내 꿈은 야구왕》, 《공부가 쉬워지는 한국사 첫걸음》, 《우리 역사와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초등 지리 생생 교과서》, 《한 권으로 보는 그림 한국사 백과》 등이 있습니다.
목차
조선 왕조가 열리다
나라 이름을 조선으로 정했어요 16
조선이 새 도읍지를 정했어요 18
궁궐의 이름에 유교 사상을 담았어요 20
신분에 따라 사는 모습이 달랐어요 25
생각다짐이 27
생각자람이 _ 조선의 건국 이념 28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방원이 불만을 품었어요 32
왕자의 난이 일어났어요 36
왕 중심의 정치를 펼쳤어요 40
6조에게 직접 명령을 내렸어요 42
생각다짐이 45
생각자람이 _ 함흥차사 이야기 46
민족 문화가 활짝 꽃피다
셋째 왕자가 왕이 되었어요 50
대마도를 정벌했어요 52
북쪽에 4군과 6진을 설치했어요 54
집현전에 인재를 불러들였어요 56
백성들을 위한 책도 펴냈어요 58
장영실이 자동 물시계를 발명했어요 60
과학 발명품으로 농업을 발전시켰어요 62
우리글을 만들었어요 64
계유년에 난이 일어났어요 68
여섯 신하들이 죽음으로 충절을 지켰어요 72
최고 법전을 만들었어요 74
생각다짐이 77
생각자람이 _ 뛰어난 화가, 신사임당 78
훈구파와 사림파가 경쟁하다
연산군 때문에 신하들이 벌벌 떨었어요 82
사화가 일어났어요! 86
훈구파와 사림파는 무엇일까요? 88
중종이 연산군을 쫓아내고 왕위에 올랐어요 90
중종이 조광조에게 벼슬을 내렸어요 92
세 번째 사화가 일어났어요 94
왕의 어머니가 권력을 휘둘렀어요 96
사림파가 동인과 서인으로 나누어졌어요 98
생각다짐이 101
생각자람이 _ 이황과 이이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