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서술되어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재치 있는 그림과 생생한 사진은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간단한 문제 풀이를 통해 학교에서 배우는 한국사의 핵심 내용을 확인해 주는 ‘생각 다짐이’ 코너와 용어, 사건, 인물, 유적 등 흥미로운 정보를 통해 역사적 지식을 보충해 주는 ‘생각 자람이’ 코너가 있어 ‘재미’와 ‘지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역사책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용 이해를 바탕으로 그 위에 약간의 암기가 더해진 만큼 한국사 공부의 첫걸음을 제대로 뗄 수 있다.
출판사 리뷰
한국사 하면 수많은 사건, 끝없는 암기가 떠오르나요?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 술술 읽히는 재미난 이야기로 한국사와 자연스럽게 가까워질 테니까요!
역사 공부의 시작, 『공부가 쉬워지는 한국사 첫걸음』으로! 한국사 열풍이 식을 줄을 모릅니다. 한국사를 소재로 한 영화, 드라마, 책 등 문화콘텐츠가 풍부해진 것은 물론이고 초등학교 5학년 교육과정에 한국사가 들어가면서 저학년부터 역사 공부에 대한 관심이 꽤 커졌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역사의식이 부족하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2017년부터 수능에 한국사가 문이과 공통 필수 과목으로 지정된 것,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대학별 입시와 취업 전형에 반영된다는 것도 한몫했겠지요. 너무 어릴 때부터 입시 준비를 하듯 역사 공부를 하는 건 오히려 역사를 싫어하게 만든다는 우려도 없지 않지만, 역사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됩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신채호 선생의 말씀을 되새겨 보면 우리에게는 균형 있는 시각으로 시대를 읽고 소통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이처럼 중요하게 여기는 한국사 공부, 과연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 보았을 문제일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역사를 가르칠 수 있을까 생각하지요. 『공부가 쉬워지는 한국사 첫걸음』은 이러한 점을 깊이 고민하여 만들었습니다.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서술되어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재치 있는 그림과 생생한 사진은 맥락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더불어 간단한 문제 풀이를 통해 학교에서 배우는 한국사의 핵심 내용을 확인해 주는 ‘생각 다짐이’ 코너와 용어, 사건, 인물, 유적 등 흥미로운 정보를 통해 역사적 지식을 보충해 주는 ‘생각 자람이’ 코너가 있어 ‘재미’와 ‘지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역사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용 이해를 바탕으로 그 위에 약간의 암기가 더해진 만큼 한국사 공부의 첫걸음을 제대로 뗄 수 있습니다.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이야기! 고구려를 잇는 나라였던 고려는 북쪽에서 세력을 키운 거란과 여진을 견제하며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려고 했어요.
여러 차례 전쟁도 치렀지요.
이자겸이나 묘청의 난 등 고려에서 일어난 반란도 크게 보면 이러한 북방 정책과 연관이 있어요.
이름도 고구려와 비슷한 고려의 이야기를 시작해 봅니다.

고려와 무역을 하는 송나라 상인들이 유난히 좋아하는 물건이 있었어. 푸르스름한 빛깔을 띤 도자기, 바로 청자였지. 고려청자는 송나라에서 아주 비싼 값에 팔렸단다.
청자를 만드는 기술은 원래 중국 송나라에서 전해졌어. 그 기술을 고려 사람들이 더욱 발전시켜서 고려만의 청자를 만들어 냈지.
고려청자는 푸르면서도 맑은 빛깔을 띠었어. 그 빛깔을 비색이라고 부르지. 고려청자의 비색이 어찌나 아름다웠던지 송나라의 한 학자는 자기네 청자를 제쳐 놓고 이렇게 말했단다.
"고려청자의 비색은 천하제일이로다!"
비색을 띠는 청자는 고려에서도 귀한 물건이라 왕이나 귀족처럼 신분이 높은 사람들만 쓸 수 있었어. 청자 중에서 아무런 무늬가 없는 청자를 '순청자'라고 한단다.
나중에는 청자에 '상감'이라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해서 색다른 느낌의 청자를 만들어 냈어. 상감 기법은 청자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거기에 다른 색깔의 흙을 채워 넣는 기술이야. 이렇게 만든 청자를 '상감 청자'라고 해.
작가 소개
저자 : 한화주
글을 쓴 한화주 선생님은 대학에서 문예창작과 국어국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하다가 지금은 어린이 책을 쓰고 있습니다. 친구랑 노는 것처럼 재미있고, 생각이 자라는 데 도움을 주는 글을 쓰고 싶다고 합니다. 작품집으로는 《다 함께 으랏차차!》 《신통방통 거북선》 《미래를 살리는 착한 소비 이야기》 등이 있습니다.
목차
고려가 통일을 이루기까지
신라가 흔들리기 시작했어요 16
후삼국 시대가 열렸어요 18
후백제를 세운 견훤은 어떤 인물일까요? 20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는 어떤 인물일까요? 22
궁예 때문에 두려움에 떨었어요 24
왕건이 고려를 세웠어요 26
견훤과 왕건의 힘겨루기가 계속되었어요 28
견훤이 절에 갇혔어요 30
천 년을 이어져 온 신라가 사라졌어요 32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했어요 33
생각다짐이 35
생각자람이 _ 신라의 마지막 모습 36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왕건은 스물아홉 명의 부인을 두었어요 40
새로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어요 42
열 가지 가르침을 남겼어요 44
혜종과 정종은 힘없는 왕이었어요 46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풀어 주었어요 48
과거 시험으로 관리를 뽑았어요 50
광종이 왕의 힘을 키웠어요 52
성종이 나라의 기반을 다졌어요 54
생각다짐이 57
생각자람이 _ 마음대로 복수할 수 있는 법 48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다
거란이 쳐들어왔어요 62
말로 거란군을 물리쳤어요 64
거란이 또 쳐들어왔어요 66
강감찬이 귀주에서 크게 이겼어요 70
천리장성을 쌓았어요 74
생각다짐이 75
생각자람이 _ 옛이야기 속의 강감찬 76
고려, 발전해 가다
나라가 안정되었어요 80
벽란도에는 아라비아 상인도 왔어요 82
청자는 고려의 자랑이에요 84
별무반을 만들었어요 86
여진을 물리치고 성을 쌓았어요 88
왕보다 더 센 사람이 나타났어요 90
이자겸이 난을 일으켰어요 92
도읍을 옮기려고 했어요 94
풍수지리설은 무엇일까요? 96
묘청이 난을 일으켰어요 98
우리 손으로 역사책을 펴냈어요 100
생각다짐이 101
생각자람이 _ 대각국사 의천 이야기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