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한국 교회 장로들은 예배·사역·행정·돌봄까지 집중된 책임 속에서 당회 운영, 목회자와의 소통, 다음세대 사역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을 마주한다. 『교회를 섬기는 장로 리더십』은 장로 개인이 아닌 장로팀이 교회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지 성경적 기원과 팀 리더십 구조를 토대로 명확히 짚어 주며 리더십의 공백을 메운다.
저자는 신학적 명료성, 복음 중심 비전, 교회 조직과 일상의 감독이라는 핵심 과업을 제시하고 예배·말씀·선교·돌봄 등 중심 사역이 장로팀 아래 건강하게 작동하는 기준을 안내한다. 더불어 회의 운영과 소통 방식까지 실제적 지침을 제공해 장로팀이 교회의 명료성과 건강성을 세우도록 돕는 책으로, 건강한 당회를 세우려는 장로와 목회자에게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출판사 리뷰
교회를 새롭게 세우는 장로 리더십
혼자가 아닌 ‘함께’,
장로팀이 만들어 가는 건강한 교회의 길
장로들이 마주한 고민들
한국 교회의 장로들은 오래도록 교회를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 온 핵심 리더다. 예배와 사역에 누구보다 성실하게 헌신해 왔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말하기 어려운 고민을 품고 있다. 당회 운영과 의사 결정 구조, 목회자와의 소통과 파트너십, 부서 사역과 행정 실무의 부담, 성도의 돌봄과 다음세대 사역 등 다양한 책임이 장로에게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를 위해 최선을 다함에도 “이제 어떻게 섬겨야 하는가?”라는 질문 앞에서 종종 길을 잃는다. 더욱이 장로 개인의 성품과 자격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 왔지만, 장로들이 ‘한 팀’으로 어떻게 교회를 이끌어야 하는지를 배울 기회는 거의 없었다.
장로 리더십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책
머리 캐필의 『교회를 섬기는 장로 리더십』은 바로 이 간격을 메우기 위해 쓰인 책이다. 저자는 수많은 리더십 도서와 장로직 관련 책들 사이에 정작 ‘장로팀이 교회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를 다루는 책은 거의 없다고 지적하며, 이를 위해 성경적 기초부터 실제 사역까지 장로 리더십의 전 영역을 체계적으로 안내한다. 저자는 먼저 장로직의 성경적 기원을 살피고, 장로들이 개인이 아니라 팀으로 교회를 이끌도록 디자인된 리더십 구조를 제시한다. 이어서 장로들이 교회를 바르게 세우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세 가지 핵심 리더십 과업, 즉 ‘신학적 명료성, 복음 중심의 비전 수립, 교회 조직과 일상의 감독’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지역 및 세계 선교 · 말씀과 예배 · 돌봄과 제자 훈련’ 같은 교회의 중심 사역이 장로팀의 리더십 아래 어떻게 건강하게 작동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장로팀이 회의와 소통, 현장 사역에서 어떤 방식으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교회의 명료성과 건강성을 세우는 일이 장로의 독특한 사명임을 강조한다.
장로팀의 교회 섬김을 다룬 본격적 안내서
『교회를 섬기는 장로 리더십』은 장로 개인의 덕목을 넘어 장로팀 전체가 교회를 어떻게 섬길 것인가를 다룬 본격적 안내서다. 예배 · 선교 · 제자 훈련 등 핵심 사역에서부터 당회 운영의 실제까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며 장로들의 실질적 부담과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은 장로들이 성도들을 어떻게 돌보고, 교회의 미래를 어떻게 함께 책임질지 그 방향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정말 이렇게 섬기는 것이 맞을까?”, “어디서부터 다시 세워야 할까?”라는 장로와 목회자의 물음에 가장 성경적이고 현실적인 답을 제시하는 필독서가 될 것이다.
추천합니다
· 건강한 당회를 세우고 싶은 현직 장로
· 목회자와 같은 방향으로 사역하고 싶은 교회 리더
· 장로 임직을 준비하며 역할을 배우고 싶은 장로 후보자
· 장로 제도를 도입하거나 재정비하려는 중소형 · 개척 교회
· 당회 리트릿 · 교회 리더십 훈련 교재를 찾는 목회자
실제로 개인의 품성은 장로직의 핵심 자격 중 하나다. 그러나 우리가 성경의 인도를 따른다면, 장로들의 역할을 살필 때 주로 장로 집단과 그들이 팀으로서 행하는 공동 사역을 검토해야 한다. 우리의 기본 질문은 한 명의 장로는 어떤 사람이고 어떤 일을 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장로들은 어떤 사람들이고 어떤 일을 해야 하는가다.
팀의 관점은 목사와 장로들에게 엄청난 격려가 된다. 우리가 부름받은 일은 결코 혼자 하도록 부름받은 일이 아니다. 각 사람이 필요한 모든 은사를 갖거나 필요한 모든 시간을 가질 필요는 없다. 우리는 서로 의지하고, 함께 방향을 설정하며, 리더십 책임을 공유하고, 서로의 강점을 활용하고, 함께 기도하며, 함께 울고, 함께 어려운 결정을 내리고, 주님이 그분의 교회를 축복하실 때 함께 기뻐한다. 1. 성경이 말하는 장로직
어떤 사람들은 선천적인 리더이지만 또 다른 종류의 리더가 있으며, 아마도 더 일반적인 종류는 자연적 리더가 아니라 리더가 되는 법을 배운 사람일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기꺼이 리더가 되지는 않지만, 주도권을 잡고, 좀 더 전략적으로 생각하며, 다른 사람들을 함께 이끄는 법을 배웠다. 이렇게 계발된 리더십 능력은 종종 다른 사역의 은사에서 비롯된다. 어떤 사람은 아이들과 어울리는 일에 탁월한 은사가 있을 수 있다. 그는 아이들을 사랑하고, 그들과 어울리며, 어린이 사역에 깊이 관여한다. 그 사역에 대한 열정으로 인해 그는 이에 대해 생각하고 독서하고 멘토링을 받고 격려를 받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사역을 개선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그는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맡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점점 더 발전하고 결국 전체 사역을 이끄는 데 꽤 능숙함을 입증한다. 선천적 리더가 아니라, 리더십을 배우게 되었기 때문이다. 2. 최고 리더
그동안 나는 팀장의 역할을 반복적으로 맡아 오면서, 무엇을 재고하고, 정리하고, 변화시키고, 시작하고 싶어 했다. 그래서 나는 보통 간단한 문서를 작성했다. 시간을 들여 문제를 숙고한 후 내 아이디어를 종이에 적어 장로들에게 주는 것이다. 그다음 일어나는 일은 항상 흥미롭다. 때때로(자주 있는 일은 아니다), 장로들이 그 아이디어를 보고 “정말 훌륭하네요, 그럼 해 봅시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더 자주, 장로 중 한 사람이 즉시 “그러면 이건 어떻게 할 겁니까?”라고 묻는다. 그러면 끝없이 생각하고 기도하고 노력했음에도 내가 기본적인 무엇을 완전히 간과했음을 깨닫고 충격을 받는다. 다른 때는 아이디어가 허황된 풍선처럼 받아들여져서, 비유를 섞자면 나는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겸손의 파이를 먹어야 한다. 하지만 때로는, 그 풍선이 다시 부풀려지기도 한다. 다른 누군가가 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모든 사람이 그것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또다시 겸손의 파이를 먹는다. 아이디어가 추진력을 얻는 데 시간이 필요했거나, 처음 타이밍이 적절하지 않았을 수 있다. 가장 흔한 일은 그 아이디어를 놓고 장기간 숙고, 수정, 개선해 결국 채택하는 것이다. 이것이 리더가 있는 팀 리더십의 유익이다. 결과는 리더가 없는 장로팀보다 낫고, 다른 사람들의 검토나 의견을 받지 않는 단독 리더보다도 낫다. 3. 팀으로 발휘하는 리더십
작가 소개
지은이 : 머리 캐필
뉴질랜드 출신의 목회자이자 실천신학자로, 오랫동안 호주 멜버른의 개혁신학대학(Reformed Theological College)에서 교육과 목회 사역에 헌신해 왔다. 뉴질랜드에서 약 10년간 목회를 한 뒤, 2001년 호주로 이주해 2006년부터 개혁신학대학에서 실천신학을 가르쳤다. 2008년부터 2019년까지는 총장을 역임해 다음 세대 목회자 양성에 힘썼으며, 현재는 사역개발학장 및 목회학 강사로 섬기고 있다.미국 캘리포니아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Westminster Seminary California)에서 목회학 박사(DMin) 학위를 받았으며, 마틴 로이드존스, 찰스 스펄전, J. C. 라일과 같은 위대한 설교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받아 설교와 목회 리더십 분야에서 실천적 통찰을 나누고 있다.저서로는 장로 중심 교회 리더십의 성경적 근거와 건강한 목회 공동체의 모습을 제시하는 본서와, 『마음이 표적이다』(The Heart Is the Target, P&R Publishing), 『영적 활력을 지닌 설교』(Preaching with Spiritual Vigour, Mentor)가 있다.
목차
추천 서문
감사의 말
들어가며
PART 1 장로는 리더다
1. 성경이 말하는 장로직
2. 최고 리더
3. 팀으로 발휘하는 리더십
4. 새로운 리더 양성하기
PART 2 교회 전체를 이끄는 큰 그림 리더십
5. 신학이 명확한 리더십
6. 복음 비전을 품은 리더십
7. 효과적 구조를 가진 리더십
PART 3 교회 사역을 형성하는 대표 사역 리더십
8. 선교 리더십: 지역과 세계를 향한 복음 전파
9. 주일 리더십: 말씀과 예배
10. 목자 리더십: 돌봄과 제자 훈련
PART 4 현장에서 드러나는 탁월한 리더십
11. 현장을 이끄는 장로
12. 장로들이 회의할 때
참고 문헌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