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공병훈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고,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미디어경제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경력으로는 도서출판 창비에서 10여년간 근무하였으며, 2016년부터 협성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래출판모델과 창작자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왔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와 문화, 콘텐츠와 창작에 끼치고 있는 영향과 미디어 생태계 모델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연구자와 독자를 연결하는 독립언론 ‘반디뉴스’를 2024년 5월에 창간하여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이 : 조정미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언론대학원에서 문학과 출판을 전공하였으며, 상명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역사콘텐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보문고에서 12년간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상명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며 역사·출판·문학의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근대 활판기술의 도입을 비롯하여 디지털 기술에 이르기까지 출판 기술의 도입이 우리 사회에 끼친 영향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 변화의 중심에 있던 창작자들과 출판인들의 선택과 행동의 결과로 드러난 출판 활동을 분석하고 있다. ‘반디뉴스’와 ‘반디서림’의 발행인이기도 하다.
머리말 4
1장 창작하는 기계, 예술하는 인간을 만나다
인공 감정을 지닌 로봇들이 온다 · 14
AI로 만드는 영화의 미래, 인공지능 예술의 혁신적인 사례들 · 18
생성형 AI 서비스 현황과 미래 톺아보기 · 24
생성형 인공지능과 창작 저작권의 불안하고도 달콤한 동거 · 28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출판에 끼치는 영향 · 34
인공지능이 문화예술에 미치는 영향, 네 가지 인식 유형 연구 · 38
기술과 예술의 만남, 생성형 AI 영상 제작 사례 분석 · 43
인공지능과 함께 쓰는 시, 창작에서의 인간 역할 · 46
소설 쓰는 로봇, 작가의 시대는 끝났는가? · 50
인공지능 웹툰 작가, 혁신 확산 이론으로 분석하다 · 55
AI와 웹툰 제작의 만남, 창작 효율성과 자동화의 가능성은? · 59
인공지능과 무용의 융합, 예술의 경계를 넘다 · 65
2장 문학과 출판의 혁신을 묻다
헤르만 헤세가 겪었던 출판사와의 갈등 문제 · 망명 문학과 자가출판 : 나치 시대 저항의 기록 · 77
전자책은 어떻게 우리 곁으로 다가오고 있나? · 81
웹소설 작가, 그들은 누구인가? · 86
디지털 시대의 문학, 웹소설의 서사적 변혁 · 92
문화매개자로서 문학 작가의 새로운 역할과 정체성 · 96
문학 창작과 수용자의 소통 방식을 바꾼 크라우드펀딩 · 100
3장 독립indie 문화예술, 미래를 채우다
인디음악, 기술과 창의력으로 한국 영화를 채우다 ·
소규모 문화예술 활동과 크라우드펀딩 · 111
자본과 권력 너머 디지털 시대의 한국 독립영화의 변화 · 116
독립 애니메이션의 실험과 저항, 장이론으로 본 창작의 자유 · 121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경제 질서, 인디 게임에서 꽃피다 · 127
도시의 얼굴을 바꾸는 예술, 공공디자인으로서의 그래피티 · 131
독립출판의 다양성과 자율성, 새로운 출판문화의 형성 · 136
표현의 자유가 책이 되는 독립출판의 흐름을 읽다 · 141
독자들이 독립출판물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145
4장 대중문화, 미디어 트렌드를 열다
미디어 플랫폼과 팬덤의 시대가 열리다 ·
우리는 항상 무엇인가의 팬이다 · 157
숏폼 콘텐츠의 미학적 형식과 서사 경험의 변화 톺아보기 · 161
케이팝 아이돌 그룹 뉴진스의 뉴트로 전략 · 166
케이팝 여자 아이돌의 브랜드 스토리텔링 전략 · 170
가상과 현실의 융합, 버추얼 아이돌 공연의 새로운 가능성 · 173
5장 청년과 고립, 사회와 공동체를 보다
MZ세대, 여가소비활동으로 정체성 찾고 만족도 높인다 ·
썸타기와 어장관리, 철학적 고찰로 바라보다 · 184
청년들은 어떻게 사회적으로 고립되는가? · 189
청년 은둔형 외톨이, 이들은 왜 단절되었는가? · 193
청년 우울 변화의 네 가지 유형, 사회적 개입의 시사점 · 198
한국에서의 외로운 늑대 발생 가능성, 현실이 될까? · 202
누적된 트라우마, 우리의 건강을 어떻게 위협하는가? · 207
안락사, 생명과 권리의 문제를 바라보다 · 211
심리학과 경제학의 교차점에서 돈의 심리적 의미를 탐구하다 · 216
개인 자유와 공동체 책임을 결합한 사회적 보호 방안은 무엇일까? · 220
디지털 시대의 촛불집회, 개인화와 레퍼토리 변화 · 224
촛불집회와 시민행동이 정책변동에 끼치는 실질적 영향 · 228
6장 역사와 문화와 시대를 걷다
서민들의 술집, 대폿집과 선술집 · 236
염상섭과 박태원의 문학작품으로 살펴본 경성의 식생활 문화 · 240
시인 오장환이 운영했던 '남만서점'을 아시나요? · 244
서울의 주요 교통수단이던 전차를 아시나요? · 248
풍물놀이와 사물놀이의 음악적 차이를 밝히다 · 253
복잡계 이론으로 읽는 풍물굿, 전통문화의 현대적 해석 · 258
7장 읽고 쓰면서 세상을 이해하다
기억을 쓰고 나를 찾다, 자서전 쓰기의 치유적 효과 · 264
글쓰기를 통한 성찰과 성장,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가치 · 269
200자 원고지 글쓰기는 어떻게 등장했을까? · 273
학술대회 토론문, 어떻게 쓰고 계시나요? · 277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끼치는 요인은 무엇일까? · 282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새로운 사회적 격차의 원인이 되다 · 287
부록 1 국내 학술논문 검색 플랫폼들 살펴보기 · 294
부록 2 핵심 개념 사전 · 30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