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실천신학은 신학자, 신학도, 그리고 평신도 모두에게 요긴하다고 할 수 있다. 신앙공동체 모두는 실천신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저서의 독자는 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신학자들과 신학도들이다. 그러나 교회를 비롯한 모든 신앙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평신도도 독자에 포함되는 이유이다. 본 저자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이 인자가 세상에 올 때 인자가 보고 싶어 하는 실천적 신앙인, 그리고 실천적 신앙공동체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본 저서를 출판하게 되었다.
『해석학적 실천신학 이해』은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눅18:8)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예수님이 다시 올 때 과연 예수님이 원하는 믿음은 어떤 믿음일까? 예수님이 원하는 믿음은 오늘날 믿음이 있다고 하지만 삶과는 차이가 많은 믿음은 아닐 것이다. 예수님이 원하는 믿음이어야 구원받는 믿음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출판사 리뷰
『해석학적 실천신학 이해』
실천신학은 신학자, 신학도, 그리고 평신도 모두에게 요긴하다고 할 수 있다. 신앙공동체 모두는 실천신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저서의 독자는 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신학자들과 신학도들이다. 그러나 교회를 비롯한 모든 신앙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평신도도 독자에 포함되는 이유이다. 본 저자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이 인자가 세상에 올 때 인자가 보고 싶어 하는 실천적 신앙인, 그리고 실천적 신앙공동체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본 저서를 출판하게 되었다.
『해석학적 실천신학 이해』은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눅18:8)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예수님이 다시 올 때 과연 예수님이 원하는 믿음은 어떤 믿음일까? 예수님이 원하는 믿음은 오늘날 믿음이 있다고 하지만 삶과는 차이가 많은 믿음은 아닐 것이다. 예수님이 원하는 믿음이어야 구원받는 믿음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구원받는 믿음이 되기 위해서 본 저서에서는 믿음(신앙)을 실천신학을 이해하는 단서로 삼고 있다. 전통신학자들이 말하고 있는 신앙에 대한 언급들을 탐구함으로 참된 신앙으로서 실천적 신앙이 구원받는 믿음임으로 제시하고 있다. 실천적 신앙을 형성하고 재형성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해석학의 관점을 취하고 있다. 앎과 삶, 지식과 이론, 전통과 변화 등의 상관관계에 의한 해석학적 접근으로 실천적 신앙을 형성하고 재형성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실천신학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 양식에 기초한다. 달리 말하자면 해석학적 실천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 양식에 기초한다. 본 저서에서 말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 양식은 성부, 성자, 성령의 상호주관적인 공동체성을 지니는 존재이며, 삼위일체 하나님은 내적인 친밀한 관계성의 존재이며, 그리고 역사를 섭리하는 프락시스의 존재이다.
개인으로나 신앙공동체로서나 구원받는 신앙은 상호주관적인 공동체성을 지닌 신앙이어야 하며, 친밀한 관계성을 지닌 신앙이어야 하며, 하나님의 소명에 응답하여 자신의 사명을 추구해 나가는 신앙이어야 한다. 사명을 추구하는 인생길에서 인간의 이성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섭리적 프락시스를 믿는 그런 신앙이 구원받는 신앙이다.
본 저서에서 실천적 신앙과 실천적 신앙공동체를 형성하고 재형성하기 위해 제시하고 있는 실천적 사역은 세 가지 유형이다. 첫째는 삶의 자리에서 가지는 고민과 갈등에서 출발하는 양육 중심의 인성 함양을 지향하는 실천적 사역이다. 둘째는 성경 말씀을 중심으로 회심 중심의 영성 함양을 지향하는 실천적 사역이다. 그리고 셋째는 삶의 자리에서 갖는 갈등과 하나님 말씀의 대화적 관계에 의한 프락시스의 방법론으로서 통합성을 지향하는 실천적 사역이다. 본 저서에서는 세 가지의 실천적 사역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저서에서는 하나님의 소명으로 말미암아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으로서의 실천적 사역을 감당하기 위한 역량 함양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어떻게 사명을 위한 역량을 함양할 것인가? 하나님의 소명을 이루어 나가기 위한 다양한 역량을 본 저서에서는 말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기도로 말미암는 역량 함양이 우선되어야 한다. 해석학적 실천신학은 기도에 의한 실천적 신앙을 말한다. 기도는 학문적으로나 실천적으로나 실천적 신앙을 위한 중심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원일
동아대학교 산업공학과(B.E.),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M.), 그리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Ph.D.)를 졸업하였다. 이후 영남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에 교수로 부임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후학들과 함께 학문을 탐구하고 있다. 미국 에모리 대학교와 컬럼비아 신학교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지내기도 하였으며,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및 한국기독교교육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기도 하다. 서울 종로에 있는 새문안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하기도 했으며, 선한 삶의 교회에서 협동목사로 사역하고 있기도 하다. 저서로는 『해석학적 상상력과 기독교교육과정』(2004), 『해석학과 기독교교육현장』(2008), 『성인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2014), 『성인기독교교육의 내러티브』(2017), 『미래세대와 기독교교육』(2023) 등을 비롯하여 다수의 공동저서들이 있다. 주요논문으로는 “신학대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연구”(2002년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 연구논문), “종교교과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2003년 한국학술진흥재단 교과교육공동연구 선정논문), “제2세대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의 청년기에 대한 기독교교육과정 연구”(2007년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연구과제 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선정논문), “남성한부모의 자녀교육사역에 대한 실천신학적 접근”(2011년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지원논문), “비영리 학교법인 이사회에 대한 적응적 리더십 교육: 신학대학교를 중심으로”(2015년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논문) 이외에 다수가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개념
2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역사
3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패러다임
4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인간학적 기초(1)
5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인간학적 기초(2)
6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신학적 기초(1)
7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신학적 기초(2)
8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신학적 기초(3)
9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유형과 현장 및 세대
10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실천적 사역(1)
11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실천적 사역(2)
12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실천적 사역(3)
13장. 해석학적 실천신학의 실천적 사역과 종합적 성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