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종교
[큰글자책] 사유의 흐름  이미지

[큰글자책] 사유의 흐름
개정판
동연출판사 | 부모님 | 2025.10.02
  • 정가
  • 60,000원
  • 판매가
  • 57,000원 (5% 할인)
  • S포인트
  • 3,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8.8x25.7 | 0.760Kg | 400p
  • ISBN
  • 9788964473863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저자는 초기에 서구의 역사학 방법론과 자연과학 및 수리논리의 최신 성과들을 바탕으로 그리스도교 신학에 대한 독창적이고도 깊이 있는 해석을 시도했다. 또 1970년대 이후로는 그리스도교 신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불교 등을 비롯한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의 광범위한 접맥을 시도하였고, 음성과 언어, 수학, 논리, 건축, 동양 사고유형 등 다방면을 꿰뚫는 한태동 박사의 구조주의 통찰력과 해박한 지식과 논평은 국내외에 정평이 나 있었다.

저자가 기독교 신학의 주제들(창조, 예수, 사랑, 고난 등)을 다룰 때나 동 ‧ 서양의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상가(석가, 공자, 노자, 어거스틴, 불트만, 부르크하르트, 칸트, 헤겔, 마르크스, 토인비, 콰인…)나 사상사적으로 주요한 저서들 그리고 철학사조나 유대적 사고, 그리스 사상 등을 다룰 때면 ‘어떻게 이렇게 간단명료하게 정의할 수 있을까’하는 찬사가 저절로 나온다.

이 책은 22년 전 전집으로 출간되었다가 절판된 책들을 재교정 작업과 판형, 장정도 바꾸어 재출간한 것이다. 우선 3권의 책을 먼저 출간하고 이어 3권을 출간하며, 저자의 미공개 논문 등을 모아 일곱 권으로 전집을 내려고 준비 중이다.

  출판사 리뷰

“복잡, 난해한 사상을 이토록 명쾌하게 해석할 수가 있는가?”
이 말은 저자 한태동 교수한테 배운 제자들의 한결같은 이야기다. 그럴 수 있는 이유는 한태동 교수의 이력에서부터 유추 가능하다. 저자는 이공계인 건축학과 의학을 전공하였고, 특히 수학적 사고와 수리논리학 공부에 매진한 바 있으며 이후 대학원에서 신학을 전공하여 석 ‧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초기에 서구의 역사학 방법론과 자연과학 및 수리논리의 최신 성과들을 바탕으로 그리스도교 신학에 대한 독창적이고도 깊이 있는 해석을 시도했다. 또 1970년대 이후로는 그리스도교 신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불교 등을 비롯한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의 광범위한 접맥을 시도하였고, 음성과 언어, 수학, 논리, 건축, 동양 사고유형 등 다방면을 꿰뚫는 한태동 박사의 구조주의 통찰력과 해박한 지식과 논평은 국내외에 정평이 나 있었다.
저자가 기독교 신학의 주제들(창조, 예수, 사랑, 고난 등)을 다룰 때나 동 ‧ 서양의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상가(석가, 공자, 노자, 어거스틴, 불트만, 부르크하르트, 칸트, 헤겔, 마르크스, 토인비, 콰인…)나 사상사적으로 주요한 저서들 그리고 철학사조나 유대적 사고, 그리스 사상 등을 다룰 때면 ‘어떻게 이렇게 간단명료하게 정의할 수 있을까’하는 찬사가 저절로 나온다.
이 책은 22년 전 전집으로 출간되었다가 절판된 책들을 재교정 작업과 판형, 장정도 바꾸어 재출간한 것이다. 우선 3권의 책을 먼저 출간하고 이어 3권을 출간하며, 저자의 미공개 논문 등을 모아 일곱 권으로 전집을 내려고 준비 중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한태동
연세대학교 명예교수.1924년 1월 8일 중국 상하이에서 독립운동가 집안 태생.1947년 중국 상하이의 성요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1951년 웨스트민스터신학교를 졸업했다.1952년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신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1956년 같은 학교에서 교회사학으로 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박사학위 논문은 “역사학 방법론: 랑케에서 토인비까지의 역사학 방법에 대한 연구”(Methodology of History: a Study of Method of History from Ranke to Toynbee)이다.1957년 한국에 돌아와 연세대학교 신학대학 부교수로 취임했으며,1961년 교수로 승진했다.1961~62년 미국 프린스턴신학교 초빙교수,1972~73년 스위스 바젤대학교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1975년 전국신학대학협의회 회장,1979~85년 연세대학교 대학원장 역임,1983년 한국교회사학회 회장으로 피선되었다.1990년 정년퇴직하여 현재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주요 저서 및 논문『성서로 본 신학』, 『기독교문화사』, 『사유의 흐름』, 『세종대왕의 음성학』, Methodology of History, Essays on Cognition Structure (이상 6권 한태동 전집)등의 저서와 “문화적 상호영향의 매개과정: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대화를 위한 연구”(Mediation Process in Cultural Interaction: a Search for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연세논총」 4집, 1966), “동양적 변증론에 대한 연구” (「연세논총」 12집, 1975), “부르크하르트 사학과 위기신학” (「신학논단」 15집, 1982), “어거스틴의 참회록 연구”, “한국의 유학과 기독교”, “Musicology of Choson Dynasty”, “의상과 원효대사에 대한 소고”, “현대교회사학의 단면”, “수학논리에서 본 신학”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개정판을 펴내며
초판 머리말

제1부 ╻ 사유의 흐름
제1장 _ 기독교의 인지 구조
제2장 _ 공자(孔子)의 인지 구조
제3장 _ 노자(老子)의 인지 구조
제4장 _ 석가(釋迦)의 인지 구조
제5장 _ 인접구조론적 인지 구조

제2부 ╻ 동양의 사유
제1장 _ 원시적 사고 양상
제2장 _ 역(易)과 역사철학
제3장 _ 도(道)와 덕(德)의 세계
제4장 _ 논어(論語)에 나타난 공자의 사상
제5장 _ 묵자(墨刺)와 의협 정신
제6장 _ 한비자(韓非子)의 법(法)
제7장 _ 퇴계(退溪)와 율곡(栗谷)
제8장 _ 금강경(金剛經)과 심경(心經)에 나타난 석가(釋迦)의 사상

제3부 ╻ 서양의 사유
제1장 _ 그리스 사상
제2장 _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제3장 _ 기독교 신학의 기틀
제4장 _ 어거스틴(Augustine)의 역사철학
제5장 _ 보카치오(Boccacio)와 갈릴레이(Galilei)
제6장 _ 비베스(Vives)와 발라(Valla)
제7장 _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제8장 _ 칸트(Kant)와 헤겔(Hegel)
제9장 _ 만하임(Mannheim)과 마르크스(Marx)
제10장 _ 부르크하르트(Burckhardt)의 사학과 위기의식
제11장 _ 베이컨(Bacon)과 불(Boole)
제12장 _ 인접구조론

제4부 ╻ 사유의 세계
제1장 _ 토인비(Toynbee)의 사학방법론
제2장 _ 유대 철학
제3장 _ 콰인(Quine)의 수리논리학
제4장 _ 중용소석(中庸疏釋)
제5장 _ 미래학의 가치관
제6장 _ 논어(論語)의 일면
제7장 _ 역위(易緯)의 역사철학
제8장 _ 도교(道敎)의 자연관
제9장 _ 의상(義湘)의 법계도(法界圖)와 원효(元曉)의 판비량론(判比量論)
제10장 _ 묵자(墨子)의 변증론
제11장 _ 만하임(Mannheim)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찾아보기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