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김응교
시인, 문학평론가. 시집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 『씨앗 / 통조림』과 네 권의 윤동주 이야기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서른세 번의 만남-백석과 동주』, 『윤동주 문학지도, 걸어가야겠다』 를 냈다. 평론집 『김수영, 시로 쓴 자서전』, 『좋은 언어로-신동엽 평전』, 『무라카미 하루키, 지금 어디에 있니』, 『그늘-문학과 숨은 신』, 『곁으로-문학의 공간』, 『시네마 에피파니』, 『韓國現代詩の魅惑』(東京 : 新幹社, 2007)를 냈다. 『일본적 마음』, 『백년 동안의 증언-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폭력』, 『일본의 이단아-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등 한일 관계를 기록해왔다. 번역서는 다니카와 타로 『이십억 광년의 고독』, 양석일 장편소설 『어둠의 아이들』, 오스기 사카에 『오스기 사카에 자서전』(운영수 공역) 일본어로 번역한 고은 시선집 『いま、君に詩が來たのか-高銀詩選集』(사가와아키 공역, 東京 : 藤原書店, 2007) 등이 있다. 2017년 『동아일보』에 「동주의 길」, 2018년 『서울신문』에 「작가의 탄생」, 2023년 『중앙일보』에 「김응교의 가장자리」를 연재했다. 가끔 유튜브 <김응교TV>에 영상을 올리는 그는 2005년 대산문화재단 외국문학 번역기금, 2023년 샤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 등을 받았다.
지은이 : 김진호
제3시대연구소 연구실장을 지냈고,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민중신학연구자로, 한국사회와 그리스도교의 조합이 일으키는 폭력의 제도화에 대해 다루는 글을 저술해 왔다. 주요 저작으로는 『시민K, 교회를 나가다―한국 개신교의 성공과 실패, 그 욕망의 사회학』, 『대형교회와 월빙보수주의―새로운 우파의 탄생』, 『극우주의와 기독교』 등이 있다.
지은이 : 김나미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의 스펠만 대학교(Spelman College)에서 종교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The Gendered Politics of the Korean Protestant Right, Critical Theology against U.S. Militarism in Asia (편저), Feminist Praxis against U.S. Militarism (편저) 등 다수가 있다.
지은이 : 최진영
콜게이트 로체스터 크로저 신학교(Colgate Rochester Crozer Divinity Schoo. 뉴욕 주) 신약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초기 기독교 문헌을 제국, 인종, 문화, 경제, 젠더의 교차성과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작업을 해왔다. 저서로 Postcolonial Discipleship of Embodiment 등이 있고, Activist Hermeneutics of Liberation and the Bible 등 다섯 권의 책을 편집하였다.
지은이 : 조민아
구성신학과 영성신학을 전공한 신학자로, 현재 조지타운 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 워싱턴 DC)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신비주의와 사회적 영성, 아시안/아시안 아메리칸 종교와 영성을 연구하고 있다. The Silent God and the Silenced, 『대화를 위한 여성신학』, 『일상과 신비』 외에 다수의 공저서와 논문이 있다.
지은이 : 이보영
아이리프 신학대학원(Iliff School of Theology. 콜로라도 덴버)에서 실천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 이전에는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raduate Theological Union)의 퍼시픽 신학대학원(Pacific School of Religion)에서 재직하였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인종, 젠더, 실천신학, 아시아/미국 여성주의 신학, 비판적 종교교육, AI와 실천신학이며, 대표 저작으로는 Transforming Congregations through Community, Asian/American Transnational Feminist Theologies, Embodying Antiracist Christianity(공저) 등이 있다.
책을 펴내며
총론?왜 한국에서 인종주의와 그리스도교를 함께 논의해야 하는가 _ 김나미 ? 조민아
한국 사회에 인종주의가 존재하는가?
인종과 인종주의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인종주의와 그리스도교는 무슨 관련이 있는가?
1장?유대와 갈릴리, 남한과 북한에 인종이 있는가? _ 최진영
들어가는 말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인종적 사유
유대와 갈릴리
인종주의, 신인종주의, 인종화
북한의 인종화
북한과 탈북민의 타자화
글을 맺으며
2장?일본의 이단아,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 이민진 장편 소설 [파친코]와 자이니치 문학의 경우 _ 김응교
백제에서 조선통신사까지
왜 ‘자이니치’인가
디아스포라와 자이니치
부산항 제1부두와 자이니치
오사카 ‘이카이노’와 오사카교회
간토대지진과 조선인 제노사이드
자이니치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나눈다면
변혁적 이방인 작가의 가능성: 양석일의 경우
평화의 줄로 연결되어서 함께 가리라: 현재의 자이니치 디아스포라와 기독교
3장?‘빨갱이’의 인종화: 제주4.3사건과 그 ‘여파 속에서’ _ 김나미
‘빨갱이’ 소환
제주4.3
빨갱이의 인종화
빨갱이의 인종화와 신학적 정당화
제주4.3의 ‘여파 속에서’
경야 작업
4장?한극 극우의 인종화 프로젝트와 ‘그리스도교국가론’ ― 이승만과 한경직을 중심으로 _ 김진호
3.1절, 1946과 2003
3.1절, 극우주의적 기억의 거점
이승만의 극우주의, 절름거리는 인종주의적 주체
또 다른 극우주의, ‘한경직의 종교’
개신교 극우주의, 능동적 주체의 종교
21세기, 극우주의의 부활, 그런데…
5장?한국 인종주의와 차별 주체로서의 한국교회 다문화 목회 _ 이보영
들어가는 말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의 역사와 배경: 인종화의 과정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단일민족주의와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충돌: 한국적 인종화와 인종주의의 근저
한국적 공동체 문화의 내집단/외집단 역학: 인종화된 다문화주의
한국교회의 다문화 목회: 타자화, 인종화와 인종주의 강화의 통로
한국교회 다문화 목회의 구조적 문제: 단일민족주의, 인종화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교차점
한국교회의 다문화 목회: 긍정적 기여와 그 한계
나가는 말: 대안을 생각하며
지은이 알림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