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난 자네가 한 가지 결심을 했으면 좋겠네.
스스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다고 느껴질 때 목표를 향해 한번 더 깊게 파고들겠다는 결심 말이야.
완전히 전념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가 바로 조금 더 전념해야 할 때라는 걸 명심하게.”
- 빈스 포센트 〈코끼리를 들어올린 개미〉 중에서
2026 시험을 준비하시는 수험생 여러분,
공무원 국어 시험이 확 달라졌습니다.
단순 암기를 지양하고 사고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시험의 출제 기조를 변화하고,
그 출제 기조대로 2025 시험이 치러졌습니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1. PSAT 논증 분석(강화 약화 유형), 논리(명제, 추론) 문항 다수 출제
2. 어휘 영역을 제시문에서 의미 추론으로 출제
3. 문법 영역을 제시문 독해 추론으로 출제
4. 문학 영역을 제시문 독해로 출제
5. 하나의 지문에 다른 유형을 함께 묻는 세트 문항 출제
등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변화된 시험에 대해 누가 더 유리하다 누가 더 불리하다 등의 말들이 많아서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혼란스럽기만 할 것입니다.
하지만 ‘위기가 곧 기회다’라는 말이 있듯이,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시험 유형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실력’입니다.
이제 윤주국어는,
모든 수험 국어의 경력(국어 정교사, EBS 강의, PSAT 언어논리 강의, LEET 언어이해 강의, 그리고 모든 교재의 집필 등)을 바탕으로 수험생들에게 가장 정확하고 효율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모든 문제 유형이 독해로 출제되는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바로 ‘문해력’입니다. 그리고 시간에 맞추어 정확하게 푸는 훈련이 필수입니다.
독해 개념 강의의 마지막이 보일 즈음, 다음의 또 한 걸음을 위하여 〈2026 윤주국어 독해 N제〉를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공무원 전 직렬의 기출 문제와 PSAT 기출 문제, 수능 국어 기출 문제 중,
변화된 신유형에 꼭 맞는 문제를 뽑아서 문제 유형별로 분석하고
기출 변형 훈련 문제로 실전에 대비할 수 있는 실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2026 윤주국어 독해 N제〉를 제작하였습니다.
넥스트공무원에서 강의와 함께 학습한다면 학습 효과가 배가될 것입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수험생 여러분의 시간은 2026년의 공무원 시험에 맞추어 흘러가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여러분의 곁을 지키면서 묵묵히 맡은 강의와 해야 할 집필을 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여러분의 합격만 생각하는 윤주국어와 함께하면 어떤 시험에서도 이길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합격의 날까지 제가 여러분과 항상 함께하겠습니다.
출판사 리뷰
합격 Only One 윤주국어
윤주국어 카페 cafe.naver.com/yj1004
동영상 강의 www.megagong.net
STEP 1. 2025 기출 문제 & 예시 문항
변화하는 출제 유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인사혁신처 예시 문제를 수록하였습니다.
STEP 2. 기출 문제
테마별로 실제 출제되었던 기존 기출 문제를 상세한 해설과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STEP 3. 훈련 문제
출제 유형에 맞춰 기출 문제를 변형한 훈련 문제를 통해 실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윤주샘 전략 TIP
각 유형별 핵심 포인트, 발문 유형 등을 수록하여 문제 풀이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윤주
국어교육 석사, 국어 정교사, EBS 강의. 공단기 / 소방단기 / 법검단기 / 군단기 국어 강의, 자단기 공인국어, 실용글쓰기 강의, 수능 언어영역 모의고사 출제위원, 경희대 LEET 언어이해 강의, 메가로스쿨 언어이해를 강의하였다. 현재 메가공무원학원 국어 전임, 메가공무원 국어 전임, 메가군무원학원 국어 전임, 메가군무원 국어 전임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윤주국어 단 하나로 문법·규범』, 『윤주국어 단 하나로 비문학』, 『윤주국어 단 하나로 문학』, 『이윤주 윤주국어 기출천사』, 『합격하는 윤주국어 문법·규범 합격노트』, 『윤주국어 단원별 오답 클리닉 400제』, 『윤주국어 만점비전』, 『윤주국어 실전동형 모의고사』, 『윤주국어 실전동형 2 봉투 모의고사』 등이 있다.
목차
유형 1. 일치, 불일치
유형 2. 추론
2.1. 미루어 추리
2.2. 빈칸 내용 추리
유형 3. 사례 적용
유형 4. 주제, 주장
유형 5. 강화, 약화
유형 6. 어휘와 문맥적 의미
유형 7. 내용 수정
유형 8. 논리적 순서
유형 9. 개요 작성과 수정하기
유형 10. 대화 분석
정답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