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남승석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학술연구교수이자 영화감독이다.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서양철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 컴퓨터공학과에서 인공지능과 음성인식을 전공했다. 이후 시카고예술학교에서 현대예술과 영화를 공부하면서 파리 보자르에서 교환학생 과정을 통해 조형예술, 사진, 영화를 공부했다.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 예술학과(연출 전공)에서 전쟁영화와 공간 담론, 문화연구와 미디어 연구, 작가주의와 다큐멘터리 이론을 연구했고, 하버드대학교 예술과학대학원에서 방문연구원으로 풍경과 지도 제작, 도시 이론과 다큐멘터리 이론을 연구했다. 최근에는 AI 시대의 K-콘텐츠를 중심으로 알고리즘 통치성과 기능성 게임 등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이 : 이종명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조교수다. 고려대학교 언론학과에서 언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구가톨릭대학교 프란치스코칼리지 연구교수,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전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일했다. 신문의 보도와 사설을 담론 분석한 <서민 담론의 역사적 변화>(2025), <대통령 선거에서의 ‘서민’ 담론과 미디어의 담론 정치>(2017), 유튜브의 담론 생산과 실천을 분석한 <제주 4·3에 대한 대항적 담론 실천>(2022), 담론 분석을 넘어선 국면 분석에 대한 제언으로 <혼틈당선: 윤석열과 보수 재집권 분투>(2023) 등을 연구했다. 저서로 <생성형 AI 시대, 리터러시와 시민성 증진 방안>(2025), <유튜브의 이해와 활용>(2021), <저널리즘의 지형>(2016) 등이 있다.
지은이 : 하승희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이다.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로, 통일부 남북관계관리단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예술·미디어·기술을 통해 북한사회와 남한 내 북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둘러싼 제도와 정책 구조에 관심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AI 시대 북한 정보 개방을 위한 남한 사회의 구조적 전환>(2025), <남북대화의 협상 커뮤니케이션 유형 구조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1971년 남북적십자 파견원접촉 사례를 중심으로>(2025), <북한 주민들의 노래 개사를 통한 현실 풍자와 규범의 전복: 폐쇄된 사회의 창조적 저항>(2024) 등이 있다.
지은이 : 윤복실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KBS 라디오에서 리포터로 방송 생활을 시작해 KBS, iTV, KTV 등에서 시사·교양·다큐멘터리 장르의 구성작가로 활동했다. 방송매체에 담긴 동양철학에 관심을 두고,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TV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 나타난 가족이데올로기 체계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드라마와 인문학을 연계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 <포스트 시대, 다크히어로 드라마 ‘빈센조’ 고찰: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 이론을 중심으로>(2023), <포스트 텔레비전 시대, OTT 드라마 <지옥> 연구: 이토마모루의 정동 이론을 중심으로>(2024), <탈진실 시대, 새드엔딩 드라마의 사회적 기능 연구: 드라마 <공작도시>를 중심으로>(2025) 등이 있다. 저서로는 <플랫폼 전쟁, OTT 스토리텔링 생존공식>(2022, 공저>, <우리 마음의 국경>(2024, 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 김활빈
강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강원언론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오하이오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를,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 이슈를 미디어가 어떻게 틀 짓는지 공중이 미디어 프레임을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 홍보 자문 및 평가위원을 맡았으며, 한국언론학회, 한국PR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등에서 집행부 이사로 봉사하고 있다.
지은이 : 오원환
국립군산대학교 미디어문화학부 교수다. 국립군산대학교 인문도시센터장, 한국소통학회 부회장, 주관성 연구 편집이사로 활동 중이다. 고려대학교와 플로리다 대학교(UF)에서 수학했고,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2011)로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디어 담론 관련 논문으로는 <시민사회 공론장의 방송담론 연구>(2018),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2016), <방송사의 담론 생산과 그 의미 작용>(2012) 등이 있고, 저서로는 <예비교사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2023), <한국 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 정치>(2011) 등이 있다.
지은이 : 김해영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다. 고려대학교에서 미디어 정책과 문화연구 등을 공부했다. 유료방송 업계에서 광고와 정책 홍보 등 업무를 담당했으며, 미디어시장에서 기업결합 담론에 대한 분석으로 박사학위 논문을 받았다. 경북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직장에서 정부 광고와 허위 조작 정보의 억지, 지역신문 발전 정책 수립 등 업무를 수행한 바 있다. 현재 종이신문부터 AI 언어모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디어에서 기술과 정치, 사회적 담론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 연구하고 있다. 경제·사회적 분석을 통한 제도 개선안의 도출부터 개인의 미시적인 감정이 정책이나 기술 변화에 끼치는 영향 등 사회적 담론의 구성 과정 전반에 관심 가지고 있다.
지은이 : 임종석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연구교수이다. 방송과 신문 등 언론사에서 20년간 근무하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미세먼지 예방행동연구>(2019)로 강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평화커뮤니케이션연구회 총무, 한국소통학회 기획·연구이사,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등을 역임했다. “팬데믹시대 요양보호사 돌봄노동과 사회적 소통에 관한 질적연구(2023)”, “서울과 지방, 중심도시와 주변도시의 미디어 갈등 담론(2024)” 등의 논문작업을 했다. <통일 커뮤니케이션>(2022),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선거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2023) 등을 공동저술했다. 연구관심분야는 지역언론, 통일미디어, 건강커뮤니케이션, 구술사연구 등이다.
지은이 : 이종희
인천시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장이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석사·박사를 취득하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교수, 한독사회과학회 회장, 한국소통학회 부회장,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방송토론팀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언론학회 평화커뮤니케이션 연구회 회장, 한국독일네트워크(ADeKo) 부이사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이사 등으로 활동 중이다. 최근 저·역서로는 <사회학 이론: 시대와 관점으로 본 근현대 이야기>(2024, 공역), <우리 마음의 국경>(2024, 공저), <대전환의 시대, 독일의 제도와 정책>(2023, 공저), <통일 커뮤니케이션>(2022, 공저), 논문으로는 <오스트리아의 개방형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선거제도 연구>(2023), <독일의 이주민과 사회통합: 우리나라 민주시민교육에의 함의>(2023), <유권자와 정당의 연결 플랫폼: 독일 발-오-맡(Wahl-O-Mat)과 민주시민교육>(2022), <청년 정치대표성의 현황과 개선과제: 유럽사례들의 시사점을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지은이 : 구은정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에서 일하고,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학 국제사회과학연구원에서 <“Where is the value of housework?”- Re-conceptualizing Housework as Family Care Activity>라는 논문 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보이지 않고 측정할 수 없는 가치들을 일상의 삶에서 밝히는 연구에 관심이 있다. 논문으로는 <근대 민주주의의 역설과 랑시에르 민주주의 논의의 함의: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중심으로>(2024), <관계의 다원적 목적과 돌봄:돌봄노동, 돌봄행위, 돌봄활동>(2024), <A Pluralistic insight on care value: Exuding from sharing gift of unpaid work at home>(2021) 등이 있고, 저서로는 <깡다구 가족, 산티아고 길 위에 서다>(2014), <우리들의 구로동 연가: 구로공단과 구로디지털산업단지 사이 월드>(2009)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에스더
아리랑국제방송의 심의국장이다.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로 <글로벌문화콘텐츠산업과 비즈니스>를 강의하며, 한국공공외교학회 협력이사로 활동 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오하이오 대학교(OU)에서 수학했고, <한·미·중 국제방송 유튜브 뉴스채널의 팬데믹 보도 비교 분석: 미디어외교 현황을 중심으로>(2023)로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디어 논문으로 <국가 간 갈등 이슈에 대한 미디어공공외교 채널의 저널리즘 특성과 프레임 연구>(2020), <CCTV America 뉴스에 대한 신뢰도 및 시청의도 연구>(2016) 등이 있다. 정부 영역에서는 대통령직속 문화융성위원회 전문위원, 대구광역시 글로벌도시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지은이 : 김연숙
한국메타콘텐츠개발원(주) 대표다. 숭실대학교 IT대학 겸임교수, 상록에스(주) 기획이사, 한독사회과학회 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다. 숭실대학교에서 <융합의 시대에 초월적 경험을 제공하는 메타브랜딩 연구>(2023)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디어 담론 관련 논문으로는 <창작자 경제 숏폼문화에 나타난 속도와 놀이현상 연구>(2023), <불멸과 디지털 불멸: 인간과 미디어의 관계를 중심으로>(2025) 등이 있다.
여는 글
Part Ⅰ 담론의 개념과 역할
Chapter 01
담론의 개념과 미디어 담론 / 오원환
Chapter 02
권력과 담론의 상호작용: 감정적 공론장의 미디어와 진실의 재구성 / 남승석
Part Ⅱ 미디어 담론의 쟁점들
Chapter 03
‘개딸’ 사례로 본, 포퓰리즘 담론에 갇힌 민주주의 / 구은정
Chapter 04
다큐멘터리 영화와 담론전쟁 / 윤복실
Chapter 05
남남갈등, 통일이 필요한가? / 하승희
Chapter 06
누가 한류를 말하는가: 국가주의 프레임과 팬덤 주체성의 충돌 / 이에스더
Chapter 07
외국인 노동자와 일자리 미디어 담론: 빅카인즈를 활용한 경제지와 진보지의 프레임분석 / 임종석
Chapter 08
디지털 미디어 속 ‘아바타’: ‘디지털 자신’에 관한 담론 / 김연숙
Chapter 09
종교와 과학, 신념과 사실에 대한 담론: 한국 개신교와 창조론에 대한 자기민속지학적 경험과 인식 / 김해영
Chapter 10
지방대학 문제를 틀 짓는 미디어 담론 / 김활빈
Chapter 11
지방 중심도시와 주변 중소도시의 미디어 갈등 담론: 원주와 충주지역 언론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임종석
Part Ⅲ 미디어 담론의 비판적 성찰
Chapter 12
비판적 담론 분석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 이종희
Chapter 13
미디어 담론 분석 / 이종명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