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해제(解題)
일러두기
머리말
祝願
賀書
제1부 만해와 만나다 ― 기우奇遇, 뜻밖의 만남
1장 만해와 첫 만남 - 공(空)과 색(色)의 만남
아득한 바다, 만해萬海 40 /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 만해와의 첫 만남 42 / ‘반야심경’, 만해의 마음노래 43 / ‘반야심경의 현대적 이해’로 시작된 강의 45 / 공空과 색色의 만남 48 / 삼세제불도 반야바라밀다 의지하는 까닭에 52 / 그리하여 ‘아뉴다라삼먁삼보리’ 얻나니 53 / 무명無明과 애욕을 넘어 55 / 고난의 칼날에 서라 60 / 오직 ‘반야般若’의 칼날에 서라 62
2장 님과 조우(遭遇) - 깨어남의 시작
왜 지금 만해 한용운인가 70 / 님은 누구인가 73 / 만해와 두 번째 만남, 조우遭遇 2 77 / 만해와 지낸 한 철 살이 79 / 무설전無說殿을 가득채운 님의 침묵 82 / 침묵 속에 숨은 목소리 84 / 동서양 ‘님’으로 만나다 - ‘Ideale(이상)’ vs ‘님의 침묵’ 86 / 님을 향한 ‘마음의 노래’ 90
3장 뜻밖의 만남, 기우(奇遇) - 필연처럼 머무는 인연
우연처럼 온 만남, 필연처럼 이어지는 인연 93 / 다시, 역사의 격랑에 서다 97 / 만해와 세 번째 만남 - 기우奇遇 3 102 / 만해와 나, 시작된 대화 108 / 마음의 바다와 나의 침묵 110 / 만해와 네 번째 만남 112 / 또 다른 만남 115 / 그리고 이별뒤의 만남 116
제2부 만해를 부르다 ― 심우尋牛, ‘님’을 찾아가는 여정
1장 마음을 찾아가는 여정 - 아득한 바다로 향하는 첫 발걸음
심우, 아득한 바다를 향하는 마음의 행로行路 122 /
마음을 찾아서, 님의 부재를 넘어 124 / 님의 부재와 존재의 역설 126
출가 - 세속을 떠나 진리를 향하여 128 /
불법의 체득 - 마음의 본래면목, 본지풍광本地風光 132 /
문학, 수행의 길 - 언어적 선禪 136 / 문학이 비추는 마음 138
2장 수행과 사회적 실천 - 만해 ‘평화의 길’, 간디 ‘진리의 힘’
흐르는 물, 떠도는 구름처럼 143 / 석전, 유운, 만해의 상즉상통相卽相通 144
이 산승, 중놈들아 146 / 석전스님, 용운 수좌가 갑자기 미쳤나? 151 /
내가 없으면 너도 없다? 152 / 수행 길에서 외롭게 떠돎 155 /
달 밝은 가을 날, 나라 잃은 슬픔과 깊은 회한 157 /
녹수청산으로 걸음 돌리다 160 / 설악 깊은 밤 오세암에서 162 /
1918년 ‘유심지 창간 ’ 166 /
독립지사 항일투사 그리하여 민족지사로 거듭남 170
3장 여정의 종착, 자유와 해탈 - 존재론적 귀환과 문학적 해방
아득한 바다를 향한 작은 물길 질 끝자락, 회광반조廻光返照 175 /
만해 북향으로 돌아앉다 179 / 조의祖意[달마의 뜻]에 화답하다 182 /
담장 밖에 뿔이 보이면 소인 줄을 안다? 185 /
천하天下의 선지식善知識아! 186 / 너의 가풍家風 고준高峻한다? 189
‘세상소리’ 잘 보아라. 파도처럼 보아라! 철썩 191 /
님을 향한 길에서 만나는 비폭력의 언어 194 /
심우장의 유마거사 197 / 바다에 섰으니 파도가 한이 없다 199
제3부 만해에게 묻다 ― 만행萬行, 마음의 행보
1장 「알 수 없어요」 - ‘정녕 알 수 없어요?’
달마, 모르겠어요 vs 만해, 알 수 없어요 206
사랑의 형이상학 - ‘알 수 없어요’, 존재의 미로인가? 211
백 천 가지 수행의 길 불이不二 법문인가? 213
모든 길에 깃든 마음의 발자취[심인心印] - 언어이전의 모습인가? 217
님을 향한 길을 따라 - 무애인의 삶인가? 219
언어적 저항, 침묵 - 세상은 거대한 말의 감옥인가? 221
바다를 마주한 마음 - 아직도 마음을 찾아가는 여정인가? 225
2장 길위의 길, 저 너머 - 거리의 수행자인가
언어질서 해체, 역설의 미학 인가? 230 / 말 보다는 행동 - 주의사상보다는 실천인가? 234 / 님은 누구인가? - 님은 찾았는가? 236 /
시대와 현실에 맞서다 - 마음의 행보는 멈췄는가? 239 /
언어너머의 실천 침묵이후 241 / 선지식인가? 동행자인가? 243
3장 깨달음의 사회화 - 불교사회주의란?
세계평화주의의 또 다른 개념, 만해의 ‘불교 사회주의’ 248 /
만해의 ‘불교 사회주의’, 평화사상의 교두보 250 / 깨달음의 사회화, 그만의 회향 방식 255 / 악惡한 사람은 죄의 길 257 / 의義있는 사람은 옳은 일을 위하여 칼날을 밟는 법 260 / 죽음의 길보다 험한 나의 길 263 / 화중생련火中生蓮, 불속에 피우는 꽃 265 / 세상은 비방도 많고 시기도 많나니 267 / 당신에게 비방과 시기가 있을지라도 269 /
여기에 한 아픈 중생이 있으니 271 / 무문관 입방, 세상과의 단절 선언 273 /
만해의 일평생, 불멸의 밤을 마주하다 274 / 세상을 떠나 세상을 구할 것이 아니라 276 / 세상에 들어와서 세상을 구하리니 277
만해의 독백, 술집· 생선가게 사람들 성불할 때까지 279
번뇌 즉 보리[깨달음]를 얻나니 280
제4부 만해를 향하다 ― 동행同行, 나란히 걷는 길
1장 만해사상에서 배우다 - 지능정보화시대의 향방
평생 이어지는 만해의 가르침 286 / 만해의 삶에서 배우다 287 /
천백억 화신의 모습 불교문학, ‘K-문학’의 본류 290 /
만해사상, 한류문화의 본류중 하나 291
2장 만해의 선수행 계승을 위한 교육방향 - 발전방안과 간화선의 대중화
선수행, 불교진리의 사회화 297 / ‘선과 인생’, ‘선과 자아’, ‘선외선’, 거리를 향하다 302 / 만해의 생활간화선 재조명 304 / 소위 ‘K-선禪’ 세계화 방향 307 / 만해의 각종 논서를 활용한 ‘민주 시민화’ 교육 310 / 만해의 수행이력, 대중교육 결사의 좌표 312 /
‘동국의 빛, 이 사람을 보라’, 지속가능해야 할 만해선양의 길 314
3장 만해정신·사상이 지향하는 대국민 교육방향 - 만해 평등·구세주의
불교의 평등 · 구세주의, 만해의 사상적 기반이자 지향점 317
만해의 민족자결, 자유 평화를 넘어 인류 보편적 본성을 향하다 320
남북분단 극복과 민족번영을 향한 만해 한용운의 평화론 324
만해의 어록, 역사 인문학교육 자료 DB구축 327
역사왜곡 극복을 위한 연구활동 및 단체간 연대강화 330
일본, 분쟁의 세계화 vs 만해, 만국평화론 332
4장 문학을 통한 만해사상 선양 및 그 실천방안 - 님의 침묵
‘님의 침묵’, 민중을 향해 내미는 천백억 화신의 손길 334
‘갈등과 반목을 넘어 나와 남이 하나 되라’는 불이不二의 사자후 338
만해의 문학사상을 잉태한 활동공간의 다양한 교육환경으로 전환 340
만해 콘텐츠의 세계화 342
5장 만해정신·사상이 지향하는 대국민 교육방향 - 만해 평등·구세주의
(사)「만해사상 실천연합」, 만해사상 만해문학 홍포 345
만해 계승자, 「만해사상실천연합」설립 취지문 347
광복 80주년 기념, 만해스님 행적 등 불교계의 항일운동 조명 349
범어사와 불교계의 독립운동과 만해스님 352
만해축전 ‘문학으로 만해를 기억하다?’ 355
‘만해사상’ 선양의 산실, 만해기념관 그리고 특별전시회 359
21세기 만해문학이 지향하는 국민교육 운동의 방향 361
「만해문학회」, 세상의 만반 현실을 향한 필치筆致 364
만해 한용운 연보 369
만해 한용운 연보 및 저술, 작품 일람 373
참고문헌 379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