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자기관리
어제보다 아름다운 오늘을 살아라  이미지

어제보다 아름다운 오늘을 살아라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하루 네 글자 필사 노트
나비의활주로 | 부모님 | 2025.08.11
  • 정가
  • 23,000원
  • 판매가
  • 20,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1,150P (5% 적립)
  • 상세정보
  • 15x21.5 | 0.504Kg | 388p
  • ISBN
  • 979119311070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품절된 상품입니다.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소통, 리더십 분야 강사로 활동 중인 강은미 대표가 고심하여 선별한 180개의 고사성어와 그 뜻풀이를 담고 있다. 회복탄력성, 목표와 성취, 마음과 감정 다스리기, 인간관계, 습관과 태도 등 현대인의 삶에 바로 적용 가능성 다섯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한 편씩 고사성어들을 소개해 나간다. 여기에 더하여 고사성어 필사, 질문에 대한 답글 적기 페이지를 제시하여 방금 읽은 내용에 담긴 의미를 독자가 천천히 음미하고, 나아가 선대의 지혜를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체득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글자는 단순한 기호가 아니다. 그 안에는 인류의 철학과 신념과 세계관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글자를 필사한다는 것은 그 안에 있는 의미를 배우고 내면화하는 것은 물론,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들이 이 책을 읽어 나가며 한 단계, 한 단계 성장해 나가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은 물론, 어느덧 자신이 세운 목표에 성큼 다다와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소통과 리더십 분야 대한민국 대표 강사가 전하는
고전에 담긴 지혜, 하루 10분 고사성어 읽고 쓰기
“하루 한 문장 삶을 채우는 사유의 시간,
고요한 생각이 나를 성장시켜 줄 것이다.”


우리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를 한다. 하지만 정작 들인 시간과 노력에 비해 성과가 턱없이 부족하다면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할 수 있다. 속도와의 전쟁을 치르는 현대인이라면 더욱 효율에 신경 써야 한다. 결국 양보다 질이다. 예를 들어 선현들의 지혜가 함축된 고전 공부, 특히 사자성어 공부가 하나의 방법이다.
책 『어제보다 아름다운 오늘을 살아라』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소통, 리더십 분야 강사로 활동 중인 강은미 대표가 고심하여 선별한 180개의 고사성어와 그 뜻풀이를 담고 있다. 회복탄력성, 목표와 성취, 마음과 감정 다스리기, 인간관계, 습관과 태도 등 현대인의 삶에 바로 적용 가능성 다섯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한 편씩 고사성어들을 소개해 나간다. 여기에 더하여 고사성어 필사, 질문에 대한 답글 적기 페이지를 제시하여 방금 읽은 내용에 담긴 의미를 독자가 천천히 음미하고, 나아가 선대의 지혜를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체득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글자는 단순한 기호가 아니다. 그 안에는 인류의 철학과 신념과 세계관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글자를 필사한다는 것은 그 안에 있는 의미를 배우고 내면화하는 것은 물론,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들이 이 책을 읽어 나가며 한 단계, 한 단계 성장해 나가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은 물론, 어느덧 자신이 세운 목표에 성큼 다다와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자신을 세우는 하루 10분‘마음 리셋’

편리함 속에는 함정이 있다. 정보는 많지만 그 안에서 길을 잃는 사람도 많다. 걱정은 끊이지 않고, 불안은 마음을 잠식한다.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열등감과 우월감을 오가는 사이, 무기력에 사로잡히는 번아웃을 경험하기도 한다. 단 한 번뿐인 인생을 이렇게 무한 직진하며 자신을 소진해가는 것이 옳은 일일까 ?
체내에 있는 독소를 빼내서 정화하는 육체적 디톡스가 필요하듯, 우리의 마음과 내면에서도 늘 독소를 빼내는 정신적 디톡스의 과정이 함께해야 한다. 특히 디지털로 가득한 현시대에 가장 좋은 디톡스 방법 중 하나는 바로 홀로 있는 시간에 직접 손으로 쓰는 필사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자판을 치듯 빠르게 쓰는 글이 아니라, 한 자 한 자 느리게 직접 손으로 쓰는 필사의 과정은 그 자체가 하나의 명상에 가깝다. 이로써 번잡함에서 벗어나 차분해지고, 자기 자신과 대화하고, 내면의 혼란함을 살펴보는 ‘마음 리셋’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루 한 구절, 작지만 꾸준한 반복이 ‘쉼 여유’와 홀로 있는 시간에 고요한 즐거움을 안겨줄 것이다.
고사성어는 2,000년이 넘는 시간의 역사를 견디고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옛 선인들의 지혜임이 틀림없다. 수많은 사람들의 삶에서 이미 검증되었으며, 또한 세대를 거치면서 전수되어 왔다. 아마도 인간 사회가 존재하는 이상, 이보다 더 단단하게 증명되어 온 빛나는 지혜도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고사성어를 필사하고 그 의미를 천천히 반추하는 일은 마음에 큰 울림을 준다. 짧은 문장을 음미하며 긍정적인 생각을 떠올리고, 흩어진 마음을 조율하는 지혜를 얻게 된다. 무엇보다 자기 이해, 인간관계, 감정 다스림 등 인간다운 삶의 방향을 실천하는 데 있어 고사성어 필사는 매우 좋은 길잡이가 되어준다.
이 책은 총 180개 고사성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문의 뜻과 그것이 지닌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내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한다. 하루 10분, 선현들의 지혜를 오늘의 삶과 연결해주는 고사성어와 의미가 담긴 한 줄 필사는 분명히 독자들의 삶에 변화를 가져온다. 말과 생각이 달라지고 태도와 시선이 성숙해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없이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진정한 휴식을 부여하는 하루 10분은, 생각의 숨을 고르고 지적 여유를 선물하는 깊은 쉼이 된다.
고사성어 한 줄이 당신의 삶에 조용한 위로를 건네며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주기를 기대해 본다.




  작가 소개

지은이 : 강은미
리더십, 인간관계, 소통과 협업, 갈등관리,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대한민국 대표 강사이자 코치다. 20여 년 동안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강연하면서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했기에 전국 연수원에서 매년 우수 강사로 선정되는 실력파 강사이자 기업·공공기관·가정·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찾는 강사이기도 하다. 탁월한 해석과 진단으로 사람들이 가진 문제에 명쾌한 해법을 제시하며 생각과 생각을 잇고, 마음과 마음을 잇는 씽크 브리지(Think Bridge) 역할을 통해 행동까지 변화시키는 실천적 강연을 펼치고 있다. 또한 행복습관 코치로서 ‘일과 삶이 조화를 이루는 행복습관’을 주제로 강연하며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사람이 더 나은 삶, 행복한 삶을 추구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주)한국인재경영교육원 대표, 글로벌부모교육센터 대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행복습관성장학교’를 운영하면서 일반인들을 위한 ‘행복수업’도 하고 있다. 저서로는 《행복리셋》, 《설득 커뮤니케이션》, 《아빠의 대화법 콘서트》 등이 있다. ▶ 네이버 블로그 _ kem0228▶ 네이버 카페 _ 행복습관성장▶ 유튜브 : 강은미강사TV

  목차

프롤로그 당신의 손끝에서 피어난 지혜, 그리고 쉼

PART 1 - 회복 탄력성
<언제나 지치지 않고 전진하게 하는 힘>

“고통은 삶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진실한 수업이고 모든 강함은 상처를 통과한 흔적이다”
• 매경한고(梅經寒苦) - 고통에 대한 인내를 통해 성장의 에너지가 응축된다 18
• 견인불발(堅忍不拔) - 포기가 습관이 되지 않도록 하라 20
• 삼호망진(三戶亡秦) - 내 힘과 노력이 초라해 보여도, 멀리 보면 성과를 낼 수 있다 22
• 학무지경(學無止境) - 배움은 끝이 아니라 매일 다시 쓰는 시작이다 24
• 유암화명(柳暗花明) - 절망 끝에도 다시 꽃이 핀다 26
• 타증불고(墮甑不顧) - 새로운 출발을 위해선 망각의 힘을 갖춰야 한다 28
• 남원북철(南轅北轍) - 목표와 수단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는가? 30
• 일엽지추(一葉知秋) - 작은 변화도 빨리 알아채 관리해야 한다 32
• 고육지계(苦肉之計) - 쓰라린 희생이 있어야 달콤한 이익도 있다 34
• 각주구검(刻舟求劍) - 예전의 생각을 고집하고 있지는 않는가? 36
• 의기양양(意氣揚揚) - 주눅 들지 않는 당당한 자신감부터 챙겨야 한다 38
• 군자표변(君子豹變) - 변화에 대한 끊임없는 상상을 하라 40
• 낙이망우(樂以忘憂) - 일을 올바르게 하려면 시간을 잊어야 한다 42
• 권토중래(捲土重來) - 마음이 무너졌을 때가 진짜 실패한 때다 44
• 다기망양(多岐亡羊) - 당황스러울 때에는 작은 원칙부터 지켜라 46
• 생구불망(生口不網) - 아무리 힘들어도 죽지는 않는다 48
• 전대미문(前代未聞) - 전에 없는 일을 해내겠다는 투지를 갖춰라 50
• 이란투석(以卵投石) - 계속하다 보면 결국 바위도 깨트릴 수 있다 52
• 천려일실(千慮一失) - 자신의 실수에 여유로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 54
• 호리천리(毫釐千里) - 처음의 작은 차이가 큰 격차를 만든다 56
• 조고각하(照顧脚下) - 자신의 잘못부터 되돌아보아야 한다 58
• 배중사영(杯中蛇影) - 생기지도 않을 문제에 대해 걱정하지 마라 60
• 격화소양(隔靴搔) - 문제의 핵심을 회피하지 말고 정면 대응하라 62
• 안빈낙도(安貧樂道) - 불안하고 초조하게 사는 사람이 정말 가난한 사람이다 64
• 조절간맹(蚤絶姦萌) - 늘 최적의 상태를 유지해야 문제에도 잘 대응할 수 있다 66
• 주일무적(主一無適) - 탁월한 집중력이 현대인의 주요 무기다 68
• 외수외미(畏首畏尾) - 두려워하지 말고 담대해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70
• 타면자건(唾面自乾) - 모욕이나 굴욕도 참을 수 있어야만 한다 72
• 자승자강(自勝者强) - 딱 한 번, 자신을 넘어서는 경험을 해 보자 74
• 연작처옥(燕雀處屋) - 경각심을 잃어버리면 위험에 처할 수밖에 없다 76
• 각답실지(脚踏實地) - 설렘과 들뜸은 잠시, 착실함의 미덕을 갖춰야 한다 78
• 호질기의(護疾忌醫) - 비판을 받아들이기 힘들면 변화도 힘들다 80
• 철저마침(鐵杵磨鍼) - 무겁고 힘든 시간을 거쳐야 끝내 이룰 수 있다 82
• 숙능생교(熟能生巧) - 프로의 경지에 오르기 위한 반복의 중요성 84
• 십년한창(十年寒窓) - 외로움은 더 큰 세상으로 나가기 위한 집중의 시간이다 86
• 유지경성(有志竟成) - 많은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강한 뜻으로 무장하라 88

PART 2 - 목표와 성취
<처음부터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는 일은 없다>

“할 수 있다고 믿든 할 수 없다고 믿든, 자신이 믿는 대로 될 뿐이다”
• 흉회대지(胸懷大志) - 거침없이 뻗어나가겠다는 기세가 성공의 출발점이다 92
• 기자쟁선(棄子爭先) - 사소한 것을 포기하지 않으면 결국 빈손이 된다 94
• 각자위정(各自爲政) -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성취는 불가능하다 96
• 부우완항(負隅頑抗) - 끝까지 버티는 사람이 결국 승리할 수 있다 98
• 등고자비(登高自卑) - 큰 목표를 이루려면 반드시 작은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100
• 욕속부달(欲速不達) - 신속하게 하지만 급하게 해서는 안 된다 102
• 망매해갈(望梅解渴) - 행복한 결말을 생각하면 오늘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104
• 은감불원(殷鑑不遠) - 타인의 사례를 보며 오늘의 나를 다져야 한다 106
• 노마십가(駑馬十駕) - 능력의 여부에 얽매이지 말고 꾸준함을 길러야 한다 108
• 서시빈목(西施嚬目) - 무작정 따라 하지 말고 자신만의 성공 노하우를 만들라 110
• 제구포신(除舊布新) - 과거에서 배워야만 두 배의 추진력을 갖출 수 있다 112
• 불요불굴(不撓不屈) - 꺾이지 않으려면 조금은 천천히 가도 된다 114
• 교각살우(矯角殺牛) - 잘못을 고치는 건 좋지만, 전체를 망칠 수는 없다 116
• 교자채신(敎子採薪) - 단기 처방에 의지하지 말고 어려워도 장기 처방을 해야 한다 118
• 이관규천(以管窺天) - 책과 사람을 통해 끊임없이 시야를 확장하라 120
• 한단지보(邯鄲之步) - 남을 흉내 내지 말고 나만의 걸음으로 나아가라 122
• 영과후진(盈科後進) - 앞의 것이 채워지지 않으면, 뒤의 것도 채워지지 않는다 124
• 망양지탄(望洋之歎) - 너무 먼 미래를 보며 무력감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다 126
• 흉유성죽(胸有成竹) - 마음에 분명한 시나리오를 그려야 한다 128
• 일수사견(一水四見) - 창의적인 관점을 잃어서는 안 된다 130
• 갈택이어(竭澤而漁) - 당장의 효율성만 따져서는 안 된다 132
• 양질호피(羊質虎皮) - 언제나 외형보다 내실을 더 탄탄히 하라 134
• 공휴일궤(功虧一) - 마지막 10%가 그간 쌓은 공을 무너뜨린다 136
• 안어양양(晏御揚揚) - 자신의 현실부터 냉정하게 파악해야 한다 138
• 낭중지추(囊中之錐) - 남들 앞에 나서기 전에 자신의 실력부터 키워라 140
• 수서양단(首鼠兩端) - 엿보기만 해서는 실천이 없다 142
• 묵적지수(墨翟之守) - 소신을 지킨다는 이유로 타인의 의견을 무시하지 마라 144
• 격물치지(格物致知) - 자신의 머리로 주체적으로 생각하라 146
• 방기곡경(旁岐曲逕) - 부당하고 억지스러운 방법으로는 될 일도 안 된다 148
• 우공이산(愚公移山) - 불가능해보이는 꿈도 이룰 수 있다고 믿어야 한다 150
• 주위상계(走爲上計) - 때로는 물러설 줄 아는 것도 지혜이다 152
• 수주대토(守株待) - 노력하지 않고 결과를 기다린다는 것은 어리석다 154
• 당랑거철(螳螂拒轍) - 만용은 상처를 남기고 신뢰도 잃게 한다 156
• 권의지계(權宜之計) - 상황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구사하라 158
• 우생마사(牛生馬死) - 위기의 순간, 지나치게 다급하게 대처하지 마라 160
• 궁즉변통(窮則變通) - 압도적인 실행력이 결국 목표를 이뤄낸다 162

PART 3 - 마음과 감정 다스리기
<감정을 잘 관리하는 것은 곧 내 인생을 관리하는 일이다>
“분노는 지혜의 자리를 빼앗는 가장 어리석은 감정이다”
• 현애살수(懸崖撒手) - 나를 덮치는 감정에서 멀어질 각오 166
• 상선약수(上善若水) - 물처럼 부드럽게 적응하면 조금 더 편해진다 168
• 애기애타(愛己愛他) - 자신의 실수를 용서하고 감싸주어야 한다 170
• 애이불비(哀而不悲) - 슬픈 감정에 과도하게 몰입해서는 안 된다 172
• 문인상경(文人相輕) - 자신을 높게 평가한다고, 타인을 과소평가하지는 마라 174
• 요불승덕(妖不勝德) - 상처를 받아도 결국 승리한다고 생각하라 176
• 인십능지(人十能之) - 백 번이고 천 번이고 하겠다는 투지를 가져라 178
• 사청사우(乍晴乍雨) - 감정에 너무 일일이 반응하면 자신이 소진된다 180
• 기과필화(氣過必禍) - 너그럽고 온화한 마음을 함께 갖춰야 한다 182
• 절기망상(絶忌妄想) - 생각과 마음은 반드시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184
• 의심암귀(疑心暗鬼) - 지나친 의심은 자신을 불안하게 만든다 186
• 소아변일(小兒辯日) - 별것 아닌 일로 다투고 있지는 않은가? 188
• 형제투금(兄弟投金) - 욕심이 생기면 사정없이 버려라 190
• 득롱망촉(得望蜀) - 절제와 제어가 있어야 감정에도 휘둘리지 않는다 192
• 기우귀가(騎牛歸家) - 하루의 시간을 보내는 방식이 내 마음을 좌우한다 194
• 불위주곤(不爲酒困) - 술을 다스리는 일이 감정을 다스리는 일이다 196
• 불양불택(不讓不擇) - 넓은 배포를 갖는 것도 도움이 된다 198
• 대용약겁(大勇若怯) - 자랑하려는 마음을 줄이면 하루가 평안해진다 200
• 준조절충(樽俎折衝) - 힘이 아닌 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202
• 수지여우(守之如愚) - 멋대로 오만하면 낭패를 보기 마련이다 204
• 불평즉명(不平則鳴) - 고독하게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라 206
• 재승덕박(才勝德薄) - 실력이 뛰어날수록, 더 많이 인격을 닦아야 한다 208
• 중노난범(衆怒難犯) - 다수의 사람들을 적으로 돌리지 마라 210
• 여도지죄(餘桃之罪) - 지나친 사랑도 문제가 될 수 있다 212
• 명경지수(明鏡止水) -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 상태를 유지하라 214
• 읍참마속(泣斬馬謖) - 감정에 얽매이는 결정을 하지 마라 216
• 천금매소(千金買笑) - 긍정적인 생각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다 218
• 도광양회(韜光養晦) - 실력을 드러내지 말고 때를 기다려라 220
• 곤우주식(困于酒食) - 아쉬운 것도 있어야 곤란한 일도 피할 수 있다 222
• 입심물항(立心勿恒) - 마음을 세우되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 224
• 동주공제(同舟共濟) - 마음에 들지 않아도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 226
• 망국지음(亡國之音) - 즐거움에 지나치게 빠지지 마라 228
• 간담상조(肝膽相照) - 충분한 소통이 감정을 하나로 만든다 230
• 궁구물박(窮寇勿迫) - 감정의 빈틈 없이 몰아쳐서는 안 된다 232
• 교언영색(巧言令色) - 지나치게 친절해도 주의해야 한다 234
• 창해일속(滄海一粟) - 내 감정이 전부가 아니다 236

PART 4 - 인간관계
<인간관계는 어렵지만, 정답은 명쾌하다>
“사람 사이에 필요한 것은 고차 방정식이 아닌 플러스 마이너스일 뿐이다”
• 각자무치(角者無齒) - 모든 것을 갖고 싶어 할수록 결국 아무것도 가질 수 없다 240
• 항룡유회(亢龍有悔) - 높이 오른 사람일수록, 주변에 대해 감사해야 한다 242
• 견리사의(見利思義) - 이익이 보여도 흔들리지 않아야 관계가 유지된다 244
• 모합심리(貌合心離) - 같은 마음을 만들어야 함께 전진할 수 있다 246
• 이택상주(麗澤相注) - 서로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관계를 추구하라 248
• 송무백열(松茂柏悅) - 질투하는 관계는 절대 오래갈 수 없다 250
• 도비간수(挑肥揀瘦) - 늘 나에게 좋은 것만을 선택할 수는 없다 252
• 양금택목(良禽擇木) - 사람의 사귐은 가리는 것에서 시작한다 254
• 계명구도(鷄鳴狗盜) - 작은 재주라도 귀하게 봐줄 필요가 있다 256
• 분정항례(分庭抗禮) - 아무리 친해도 지킬 예의는 지켜야 한다 258
• 악목불음(惡木不蔭) - 사람을 품어주는 그늘이 있어야 한다 260
• 이청득심(以聽得心) - 말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듣는 것이다 262
• 해불양수(海不讓水) - 사람을 차별하면 반드시 해가 되돌아온다 264
• 가계야치(家鷄野雉) - 가까운 사람일수록 더 귀하게 여겨야 한다 266
• 마중지봉(麻中之蓬) - 나에게 부족한 것을 갖춘 사람을 만나야 한다 268
• 동심동덕(同心同德) - 상대방에게 먼저 줄 때, 상대방도 진심이 된다 270
• 무신불립(無信不立) - 신뢰가 전제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272
• 왕자불추(往者不追) - 인연은 억지로 잇는다고 이어지지는 않는다 274
• 취모멱자(吹毛覓疵) - 누군가의 흠을 찾으려 한다면 한도 끝도 없다 276
• 절구부제(絶口不提) - 비밀이 지켜지지 않는 관계는 온전한 관계일 수 없다 278
• 소리장도(笑裏藏刀) - 겉모습만으로 사람의 내면까지 판단해선 안 된다 280
• 토포악발(吐哺握髮) - 존재 자체로 인정해주는 환대를 하라 282
• 유능제강(柔能制剛) -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는 부드러워야 한다 284
• 중심성성(衆心成城) - 주변 사람과 함께 단단한 성을 만들라 286
• 백락일고(伯樂一顧) - 자신을 알아봐주는 사람과 사귀어야 한다 288
• 근묵자흑(近墨者黑) - 상대방은 반드시 나에게 영향을 미친다 290
• 이시목청(耳視目聽) - 눈치가 빠른 것은 큰 도움이 된다 292
• 수석침류(漱石枕流) -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을 멀리하라 294
• 태산압란(泰山壓卵) - 고압적인 태도로는 사람을 움직일 수 없다 296
• 후생가외(後生可畏) - 나이가 많다고 반드시 뛰어난 건 아니다 298
• 삼가재상(三可宰相) - 과도한 흑백논리로 상대를 단죄하지 마라 300
• 각골난망(刻骨難忘) - 한번 받은 도움을 절대로 잊지 마라 302
• 구맹주산(狗猛酒酸) - 너무 까칠해도 주변에 사람이 없다 304
• 아심여칭(我心如秤) - 돈은 돈일 뿐, 결코 인격은 아니다 306
• 월조대포(越俎代) - 지나친 오지랖도 문제가 된다 308
• 대우탄금(對牛彈琴) - 격이 맞지 않으면 만나기가 힘들다 310

PART 5 - 습관과 태도
<자신을 위험에 빠뜨리는 것은 거의 대부분 자신이다>

“탁월함은 행동이 아니라 습관으로 완성된다”
• 습여성성(習與性成) - ‘오늘보다 나은 내일의 나’를 만들자 314
• 다언삭궁(多言數窮) - 적지 않은 인생의 문제가 말에서 시작된다 316
• 사불급설(駟不及舌) - 나의 말은 모두가 듣고 보고 있다 318
• 거안사위(居安思危) - 위험이 없을 때 위험을 생각해야 한다 320
• 수적천석(水滴穿石) - 오늘의 작은 노력이 미래의 성과로 이어진다 322
• 만손겸익(滿損謙益) - 겸손이 부르는 이익에 주목해야 한다 324
• 작법자폐(作法自斃) - 대부분의 고난은 스스로가 만들어 낸다 326
• 구우일모(九牛一毛) - 작은 흠에 연연하지 말고 숲을 보라 328
• 포신구화(抱薪救火) - 문제의 화근을 안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330
• 언소자약(言笑自若) - 태연함은 자신을 다스리는 능력이다 332
• 선우후락(先憂後樂) - 흔쾌해지기 위해서는 힘든 일부터 먼저 해결하라 334
• 교토삼굴(狡兎三窟) - 지혜로운 사람은 늘 대비책이 있다 336
• 방촌이란(方寸已亂) - 이미 혼란해진 것들을 다시금 바로잡다 338
• 사석위호(射石爲虎) - 초인적인 힘도 결국 집중력에서 나온다 340
• 소극침주(小隙沈舟) - 완벽한 삶을 살 수는 없지만, 느슨하게 살 수도 없다 342
• 소림일지(巢林一枝) - 자신을 발전시키는 일과 분수를 넘어서는 일은 다르다 344
• 호추불두(戶樞不) - 정체되는 것을 극히 경계해야 한다 346
• 덕고훼래(德高毁來) - 누군가 나를 욕해도 신경 쓰지 않는 습관을 길러라 348
• 선유자익(善游者溺) - 자신이 잘하는 일 때문에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350
• 금선탈각(金蟬脫殼) - 고정관념이 바뀌지 않으면 나도 바뀌지 않는다 352
• 창랑자취(滄浪自取) - 칭찬을 듣든 비난을 듣든, 모두 내가 하기 나름이다 354
• 전거후공(前倨後恭) - 현재의 상황만으로 상대방을 판단하지 마라 356
• 목불견첩(目不見睫) - 자신에게도 엄격한 기준과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 358
• 패령자계(佩鈴自戒) - 늘 각성하는 태도로 깨어 있는 삶을 유지하라 360
• 궐의신언(闕疑愼言) - 확실하지 않은 지식에서 멀어져야 한다 362
• 파부침주(破釜沈舟) - 때로는 배수진을 치는 것도 방법이다 364
• 목인석심(木人石心) - 유혹을 이겨야 비로소 자기 신뢰가 생긴다 366
• 곡돌사신(曲突徙薪) - 선견지명으로 결단력을 발휘하라 368
• 약팽소선(若烹小鮮) - 크고 대단한 일도 디테일에서부터 시작된다 370
• 공자천주(孔子穿珠) - 배울 점이 없는 사람은 없다 372
• 금의야행(錦衣夜行) - 남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닌, 나를 위한 행동을 해라 374
• 화이부실(華而不實) - 삶의 열매를 위해 충분히 투자하라 376
• 정중지와(井中之蛙) - 자신이 무엇을 안다고 단정 짓지 마라 378
• 본립도생(本立道生) - 기본부터 서지 않으면 나아갈 수가 없다 380
• 불악이엄(不惡而嚴) - 위엄으로 무게감과 존재감을 갖춰라 382
• 신시경종(愼始敬終) - 무겁게 시작하고 최선을 다해 끝맺어야 한다 384

에필로그 의식이 머무는 곳에 에너지가 흐른다 386

  회원리뷰

리뷰쓰기

    이 분야의 신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