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셰플러 철학을 관통하는 특징은, 『논어』의 「위정편」에 나오는 공자의 개념으로 표현하자면, “온고이지신”의 지혜를 구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1995년에 출간된 그의 주저인 『현실과의 대화로서의 경험』에서 체계적으로 구상된 <요청적 신론>은 그의 계속되는 저서들 안에서 그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철학적, 신학적 주제들에 적용되어서 결실 풍부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후기 저서에 속하는 본서 『형이상학 이후 시대의 존재론』(Ontologie im nachmetaphysischen Zeitalter, 2008)에서는 특히 서양의 전통 형이상학과 존재론의 중요한 명제들을 새롭게 이해시키는 해석학으로서 그의 <요청적 신론>이 원용되고 있다. 과거의 철학적 가르침을 성급하게 폐기된 것으로 선언하지 않고, 그 안에 담긴 통찰을 끄집어내어서, 이를 오늘날의 변화된 철학사적인 조건 아래서 새롭게 읽힐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의 형이상학과 존재론이 그 발전된 형태 안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진리를 중재해줄 수 있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셰플러 철학의 독창성과 탁월함을 엿볼 수 있다.
출판사 리뷰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은 그 역사의 경과 안에서 점진적으로 철저해졌다. 우선 존재론은 주관성의 이론을 통해서 대체되어야 했다. 오늘날에는 그와는 반대로 “주체의 죽음”이 선포되고 있다. 그렇게 해서 우리가 “형이상학 이후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은 거의 자명한 일이 되었다. 그와 함께 전통 안에서 형이상학의 중심분과로서 여겨졌던 존재론 역시 시대에 뒤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존재자로서의 존재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느 점에서 그것이 허구 내지 오도하는 가상과 구분되는지의 물음을 단순히 포기할 수 있을까? 혹은 우리가, “존재론적인 물음”을 새로운 형태 안에서 다시 제기할 수 있는 그런 방식으로, 비판으로부터 배우는 가능성들이 존재하는가? 그런 연후에 우리는 “모든 존재자는 진이고, 어떤 것이며, 하나이고 선이다”라는 존재론의 “최상의 명제들”을 새로운 의미로 되찾을 수 있을까?
셰플러 철학을 관통하는 특징은, 『논어』의 「위정편」에 나오는 공자의 개념으로 표현하자면,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지혜를 구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1995년에 출간된 그의 주저인 『현실과의 대화로서의 경험』(Erfahrung als Dialog mit der Wirklichkeit)에서 체계적으로 구상된 <요청적 신론>은 그의 계속되는 저서들 안에서 그 일관된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철학적, 신학적 주제들에 적용되어서 결실 풍부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후기 저서에 속하는 본서 『형이상학 이후 시대의 존재론』(Ontologie im nachmetaphysischen Zeitalter, 2008)에서는 특히 서양의 전통 형이상학과 존재론의 중요한 명제들을 새롭게 이해시키는 해석학으로서 그의 <요청적 신론>이 원용되고 있다. 과거의 철학적 가르침을 성급하게 폐기된 것으로 선언하지 않고, 그 안에 담긴 통찰을 끄집어내어서, 이를 오늘날의 변화된 철학사적인 조건 아래서 새롭게 읽힐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의 형이상학과 존재론이 그 발전된 형태 안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진리를 중재해줄 수 있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셰플러 철학의 독창성과 탁월함을 엿볼 수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리하르트 셰플러
철학박사, 명예 신학박사, 명예 철학박사, 1926년 뮌헨에서 출생, 1968-1989 보훔 대학교에서 철학- 신 Gott, 신신앙 Gottesglaube신학 경계문제들 영역의 교수직 수행. 연구 중심분야들: 종교철학, 역사철학, 신 Gott, 신신앙 Gottesglaube신학의 학문이론.저서 간행물들로는 특히: Religion und kritisches Bewußtsein [종교와 비판의식] 1973, Einfuhrung in die Geschichtsphilosophie [역사철학 입문] 1973, 1991(4판), Religionsphilosophie [종교철학] 1983, 2004(3판), Glaubensreflexion und Wissenschaftslehre [ 신 Gott, 신신앙 Gottesglaube신앙의 반성과 학문론] 1983, Erfahrung als Dialog mit der Wirklichkeit [현실과의 대화 Dialog, dialogisch대화로서의 경험] 1995, Philosophische Einubng in die Theologie[ 신 Gott, 신신앙 Gottesglaube신학을 위한 철학적 훈련], 3권, 2004, 학업용 판 2008, Philosophisch von Gott reden [ 신 Gott, 신신앙 Gottesglaube신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말하기] 2006가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서언
주제에 대한 머리말
방법에 대한 머리말
1부. 존재물음 - 그 역사와 길 그리고 위기 혹은: 그 역사는 저지할 수 없게 “형이상학 이후 시대”로 이어졌는가?
A. 고대와 중세 전통에서의 “형이상학” - 동기들, 문제제기들과 해결-절차들
1. 출발의 경험들과 문제제기들
2. 문제제기들로부터 방법들로
3. 철학적 전통들의 다양성과 그것들의 가능한 결합에 대한 물음
a) 플라톤적인 존재물음의 고유성
b)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존재물음의 고유성
c) 상이한 전통들의 결합과 그 문제점: 보나벤투라의 보기
B. 계몽주의 시대: 위기 그리고 형이상학의 새로운 전성기
1. “ 존재자의 일반적 속성들 Passiones generales entis존재자의 일반적 속성들”로부터 “방법에 대한 논고”로
2. 새로운 “철학적 신 Gott, 신신앙 Gottesglaube신론”의 형태 안에서 “형이상학의 재탄생”
C. 칸트-추정적인 “형이상학의 분쇄자”? 그 자신의 의도에 따르자면: 변화된 형태 안에서 형이상학의 쇄신의 발기인
1. 칸트의 이론철학 - “존재론의 종말”과 신존재증명들의 비판
a)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 철학적으로 뒤따라 실행됨: 대상세계, “주어진” 것이 아니라 “부과된” 것
b) 유지된 과제: 회의적인 절망이 없는 이성의 자기비판
c) 이성의 변증법 - 이성의 한계와 동시에 이성의 기회
2. 새로운 형이상학과 “요청적인 신(神)신앙
3. 칸트적인 통찰의 가능한 일반화
4. 도래할 형이상학의 형태를 위한 결론들
D. 형이상학의 새로운 형식들로서의 변증법적 체계들
1. 그것들의 과학사적인 전제: 근대의 과학 - 변화된 “힘”의 개념 그리고 운동과 정지의 질적인 차이의 탈락
2. 존재자의 새로운 이해
3. 변증법의 새로운 이해 - 동시에 요청이론과의 작별?
a) 새로운 방법론적 단초: “즉자”와 “대자”의 변증법
b) 계속되는 물음: 변증법적 과정은 어떤 원리로부터 해명되어야 하는가?
c) 형이상학의 새로운 형태
E. 모든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의 가장 철저한 형식: 선포된 “주체와의 작별”
1. 실증주의와 그것의 “형이상학 이후 시대”의 선포
2. 주체성 비판의 더 철저한 형식: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3. “주체와의 작별”의 특수한 길-마틴 하이데거
a) 철학사적인 장소규정
b) 마틴 하이데거에 있어서 존재물음의 근본-테마: 존재론적인 차이
c) 존재론적인 차이와 “존재망각”
4. 도달된 문제상황과 도래하는 형이상학의 가능성에 대한 물음
2부. 존재물음의 역사로부터 배우는 시도, 형이상학의 새로운 길들을 추구하기 위한 전제로서
A 지나온 길에 대한 비판적인 회고
1. 존재물음의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을 얻기 위한 시도들
a) 역사의 불연속과 연속
b) 이 역사의 불가역성의 계기들과 그것들을 비판적으로 참조하는 동기들
c) 존재물음의 역사로부터 비판적으로 배우는 시도들
2. 논의된 저자들에 대한 비판적인 문의들
a) 칸트에 대한 비판적인 문의
b) 헤겔에 대한 비판적인 문의
c)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적인 문의
B “존재론 그리고 형이상학과의 작별”에 대한 대안을 찾아서
I 주체와의 작별?
1. 도달된 문제상황
2. 해결의 단초: 인간의 주체성이 등장하는 그 행위들에 대한 갱신된 분석
3. 주체성의 대화적인 이해
II “변증법의 종말?”
1. 진척시키는 모순에 대한 그리고 “이성의 역사”에 대한 가르침으로서의 변증법-변증법적 체계들 그리고 그 비판자들과의 대질에 대하여
a) 도달된 문제상황
b) 변증법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단초
c) 대화법(이미 고대에서처럼!)으로서의 변증법, 그러나 이제는: “현실과의 대화”의 기술로서
2. 이성의 임박한 자기폐지에 대한 가르침으로서의 변증법- 칸트의 변증법 이해와의 대질에 대하여
a) 도달된 문제상황
b) 계속되는 테제: 칸트는 변증법을 이성의 임박한 자기폐지로서 적합하게 기술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적합하게 해석하지는 않았다: 이 변증법은 이성의 영원한 본질에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이성의 역사의 일련의 위기들의 결과이다.
III 이성요청들을 통한 변증법의 해소-잘못된 길?
1. 문제제기에 대하여
2. 도달된 문제상황에 대하여: 이성요청들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3. 요청이론의 새로운 정식화의 시도
IV 존재론 그리고 그와 함께 신에 대한 철학적 언사의 종말?
1. 도달된 문제상황에 대하여
2.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의 불가역성
3. “칸트 이후의 존재론?”
4. 존재론의 고전적인 주제들을 되찾음
5. 전망: 되찾은 존재론으로부터 갱신된 철학적 신론으로
V 도달된 문제상황
C 세상의 책에서 읽기-프로그램의 검증
3부. 존재론적인 물음의 되찾음과 “최상의 근본명제들”의 새로운 해석
A 전통적인 “최상의 근본명제들”의 새로운 해석
1. 모든 존재자는 진이다
2. 모든 존재자는 어떤 것이다
3. 모든 존재자는 선이다
4. 진리는 진리와 공명한다
모든 존재자는 하나다
“최상의 근본명제들”의 새로운 해석에 대하여: 갱신된 존재론의 절차와 목표설정에 대한 지침들
a) 존재자로서의 존재자에 대한 진술들의 고유성
b) 절차를 위한 결론들
B 존재론으로부터 신에 대한 철학적 언사
1. 존재론적 개념들의 유비적 성격: 그것들은 회귀하는 관계를 묘사한다
2. “존재론적 차이”의 개념에 대하여: 하이데거의 형이상학 비판에 대한 메타비판
3. 이성요청들과 새로운 “최상의 명제”: 모든 존재자는 신의 재현자이다
4. 신에 대한 철학적 언사를 위한 그리고 신존재증명들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결론들
a) 신에 대한 철학적 언사의 요청적 이해
b) 신존재증명들의 “새로운 통역”
5. 세계의 단일성에 대한 확신의 새로운 정초
a) 전체로서의 존재자에 관한 물음에 대하여
b) 유일자로서의 신에 대한 요청적 신앙과 세계의 단일성에 대한 확신
회고: 되찾은 존재론적인 물음의 새로운 형태
과제: “세상의 책에서 읽기”를 위한 안내로서의 존재론
그리고 해결의 제안: 재현의 존재론
사용된 약어들
인용된 문헌 목록
용어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