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조성봉
현)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전) 한국기독교경제학회회장전) 한국자원경제학회회장저서: 『대형 유통업체는 경쟁을 해치는가』(2010), 『정부계획과 시장경제의 왜곡』(2006) 등
지은이 : 신현한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1987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MBA, 재무 분야) 및 경영학 박사(재무 분야) 학위를 받았다. 미국 오리건 대학교 조교수,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부교수, 뉴욕 주립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재무관리 조교수, 부교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롯데호텔, SK루브리컨츠, LG이노텍, GS건설,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다수 기업의 사외이사를 역임하였고, 지금은 삼성SDS의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 성과평가위원, 기간산업안정기금 운용위원, 코넥스 상공위원회 위원장 등 다수 위원회의 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민연금 실무평가위원, 한국자산관리공사 국유채권관리위원, 금융채권자조정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2023 한국증권학회장을 역임하였다.저서로는 『파이낸셜 스토리텔링』, 『9일 동안 배우는 기업 가치평가』 등이 있고, 다수의 논문을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Review of Financial Studies,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Journal of Corporate Finance, Asia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재무연구, 증권학회지, 금융학회지, 경영학연구 등 국내외 유수학회지에 게재하였다.
지은이 : 나석권
사회적가치연구원(CSES) 대표이사
지은이 : 이주선
현재 기업&경제연구소장으로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산업협력 교수와 겸임교수로 기업경제학을 강의하고 있다. SKT 소속으로 SK경영경제연구소에서 임원으로 7년, 그후 SKT 고문으로 2년 근무하였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과 동국대학교에서 산업조직론과 법경제학을 강의하였다. 한국경제연구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17년간 연구조정실장, 규제연구실장 등을 역임하면서 정부의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공정거래위원회 경쟁정책자문위원, 오하이오주립대학교(OSU) 교환교수, 반부패세계회의 조직위원, 산업자원부, 행정안전부, 보훈처, 정보과학기술부 등 정책자문 위원 및 규제개혁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OSU에서 산업조직론과 공공정책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경제연구원과 SK경영경제연구소에서 규제와 규제개혁, 공정거래, 경쟁정책, 민영화, 반부패, 기업지배구조, 정부비전, 기술혁신, ESG와 사회적기업, 한국기업론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한국경제 위기의 뿌리: 담합구조> <규제개혁 종합연구(전14권, 편저)> <Korean Experience in Regulatory Reform> and <Manifestation of Korean Entrepreneur-ship and It's Achievement(KSP in KDI)>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성매매처벌법> <한국법의 경제학(공저)> 외 다수가 있다.
지은이 :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법무부 회사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 한국기업법학회 회장, 한국상사법학회 회장, 한국해법학회 회장, 국제거래법학회 회장,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성균관대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이 : 강원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 미국 듀크대학교(Duke University) Fuqua School of Business에서 경영학석사(MBA)를 수여받은 뒤, 프랑스 파리 10 대학(Paris –X)에서 재무전공으로 경영학박사(Ph.D)를 취득하였다.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에서 수석연구원으로 활동하다가 현재 세종대학교 경영학과에서 재무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영대 부학장, 국민경제자문회의 파견을 역임했고, 기획재정부, 코스닥협회, 중소기업청, 다양한 경영단체와 기업의 대외 프로젝트도 다수 수행하였다. 학회활동으로는 벤처창업학회 회장, 재무관리연구와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의 편집위원, 여러 재무관련 등재학회의 이사로 활동하면서, SSCI와 등재지에 가치평가, M&A, 지배구조, 벤처 관련 다수의 연구논문을 게재하였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The Changing Face of Korean Management』(Routledge), 『브랜드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삼성경제연구소), 『창업론』(명경사), 『한국기업의 글로벌 경영』(위즈덤하우스), 『Ross의 핵심재무관리』(McGraw Hill, 역서) 외 다수가 있다.
지은이 : 황인학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겸임교수
우리가 잘 몰랐던 ‘기업가정신 경제학’ 이야기 - 황인학
1 기업가정신 담론의 21세기 유행과 배경
2 기업가의 정체성:기업가(起業家)는 누구인가?
3 기업가정신은 현대판 마법사의 돌인가?
4 한국의 기업가정신, 세계 9위인가? 29위인가?
5 경제학 교과서, 덴마크 왕자가 빠진 햄릿
6 교과서에 없는 ‘기업가정신 경제학’ 이야기
7 기업가정신은 사치재가 아니다!
기업의 탄생과 혁신의 기업가정신 - 최준선
1 무엇이 대풍요를 가능하게 했는가?
2 기업의 탄생과 진화
3 기업가와 혁신의 기업가정신
4 맺음말:기업가정신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기업의 존재 이유와 사내 기업가정신 - 신현한
1 들어가며
2 기업의 존재이유
3 기업의 존재 이유를 수행하기 위한 기업가정신
4 기업가정신을 기업 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
5 마이다스아이티의 기업가정신
6 맺음말
창업 기업가정신과 린스타트업 실무 - 강원
1 들어가며
2 기업가정신의 사업화
3 창업의 보편화
4 린스타트업 실무:FAQ
5 맺음말
ESG와 신(新)기업가정신의 태동 - 나석권
1 우리는 새로운 각본이 필요하다
2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3 위대한 리셋:새로운 기업가정신의 출현
4 새로운 기업가정신의 셈법:파이 키우기 사고방식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발현과 그 성과 - 이주선
1 들어가며
2 산업기반 형성기(해방~1971)의 기업가정신
3 고도성장기(1972~1987)의 기업가정신
4 패러다임 전환기(1988~1997)의 기업가정신
5 위기극복 및 선진사회 도약기(1998~현재)의 기업가정신
6 맺음말
기업가정신은 근대화의 산물 - 조성봉
1 경제학에 기업가정신은 어떻게 등장하는가?
2 기업가정신이 조성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
3 기업가정신이 출현하는 경제 환경
4 맺음말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