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부모님 > 부모님 > 소설,일반 > 소설
송자대전 13 이미지

송자대전 13
한국고전번역원 | 부모님 | 2025.04.10
  • 판매가
  • 20,000원
  • S포인트
  • 1,000P (5% 적립)
  • 상세정보
  • 15.2x22.5 | 1.117Kg | 588p
  • ISBN
  • 9788928411399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문집으로, 우리나라의 개인 문집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책이다. 송시열은 조광조, 이이, 김장생, 김집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한 조선 주자학의 대학자이다. 《송자대전》의 구성은 목록 2권, 원집 215권, 부록 19권, 송서습유(宋書拾遺) 9권, 송서속습유(宋書續拾遺) 3권,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 13권으로 도합 261권 130책으로 편차되어 있다.

  출판사 리뷰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문집으로, 우리나라의 개인 문집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책이다. 송시열은 조광조, 이이, 김장생, 김집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한 조선 주자학의 대학자이다. 《송자대전》의 구성은 목록 2권, 원집 215권, 부록 19권, 송서습유(宋書拾遺) 9권, 송서속습유(宋書續拾遺) 3권,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 13권으로 도합 261권 130책으로 편차되어 있다.
권수에는 정조가 송시열의 묘소와 송시열을 향사하는 서원 및 사당에 내린 어제비명과 사제문 8편이 연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권1~4는 시부(詩賦)로 620제(題) 856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5~26은 봉사(封事), 소차(疏箚), 계사(啓辭), 헌의(獻議) 등 임금에게 올리는 주의류(奏議類)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권27~129는 서(書)이다. 5500여 편의 편지가 수록되어 원집 215권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03권(48%)을 차지하고 있다. 권130~136은 잡저(雜著)로 총 89편이다. 경서에 대한 논변을 비롯하여 예설(禮說), 자설(字說), 시사(時事)에 관한 설 등 다양한 주제의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권137~150은 서(序), 기(記), 발(跋), 명(銘), 잠(箴) 등이다. 권151~153은 축문(祝文), 제문(祭文), 애사(哀辭)이다. 권154~171에는 신도비명(神道碑銘) 97편, 묘정비(廟庭碑)ㆍ유허비(遺墟碑) 등 2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72~180에는 묘갈명 10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81에는 효종의 〈영릉지문(寧陵誌文)〉과 현종비 명성왕후(明聖王后)와 숙종비 인경왕후(仁敬王后)의 지문 등 능지 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82~188에는 묘지 7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89~201에는 묘표 24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02~211은 시장(諡狀)과 행장(行狀)이다. 권212~215는 유사(遺事), 어록(語錄), 전(傳)이다.
부록은 19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교서(敎書)와 사제문(賜祭文)이고, 권2~12에는 연보가 수록되어 있다. 권13에는 묘표 1편과 화상찬(像贊) 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4~18은 송시열의 어록이며, 권19는 기술잡록(記述雜錄)으로 제자와 재전제자 23명이 송시열에 대한 기록을 각종 자료에서 뽑아 정리한 것이다.
송서습유(宋書拾遺)는 9권 4책으로 《송자대전》 원집에서 누락된 시문을 수집하여 간행한 것이다. 권1~6에는 시 13편, 서계 3편, 서(書) 44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7~8에는 잡저, 서(序), 발(跋), 축문, 묘지명, 묘표, 유사 등 3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9는 효종ㆍ현종ㆍ숙종 연간에 경연에 참여하여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경연강의(經筵講義)〉이다.
송서속습유(宋書續拾遺)는 3권 2책으로 습유 이후에 저자의 유문과 관계 기록을 다시 수집하여 간행한 것이다. 수록된 저자의 유문은 시 7편과 서(書) 56편, 문익점(文益漸)의 유사(遺事)와 구혜(具)의 묘갈명 각 1편이다. 나머지 2권은 부록이다. 권1은 영조에서 고종까지 임금이 내린 사제문이고, 권2는 우암이 정읍에서 사약을 받을 때부터 제자들이 상례를 치르고 장사를 지내기까지의 정황을 상세히 기록한 〈초산일기(楚山日記)〉와 윤봉구(尹鳳九)가 쓴 우암의 묘지가 수록되어 있다.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는 13권 6책으로 《송자대전》의 주해서(註解書)이다. 권1~12에는 각 권의 판차별로 난해한 어구, 오탈자, 시사(時事)와 관련한 주석을 달아 놓았으며, 권13 〈목록〉에는 《송자대전》의 편지 수신자 500여 명에 대한 인물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송시열
1607(선조40)~1689(숙종15).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菴)·우재(尤齋)·파옹(巴翁)·화양동주(華陽洞主) 등이며, 시호는 문정(文正),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부친은 송갑조(宋甲祚)이고, 모친은 선산 곽씨(善山郭氏)이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사사하여 기호학파의 종장(宗匠)이자 노론의 영수로 활동하면서 조선 후기 학문과 정치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효종의 즉위 이후 청나라에 대한 복수설치(復讎雪恥)를 역설한 《기축봉사(己丑封事)》를 올려 북벌론을 제시하였고, 학문적으로는 주자성리학을 정통으로 삼아 남인 학자인 윤휴(尹鑴)와 대립하였다. 이후 남인, 소론과 갈등이 깊어지다가 효종의 천릉(遷陵), 왕실 복제를 둘러싼 예송(禮訟)으로 논핵을 받아 삭탈관직되고 덕원(德源), 장기(長鬐), 거제도(巨濟島)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1689년 원자 책봉 문제로 제주(濟州)에 유배되었다가 서울로 압송되던 중 정읍(井邑)에서 사사(賜死)되었다. 1756년(영조32) 문묘(文廟)에 배향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송자대전》,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정서분류(程書分類)》,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논맹혹문정의통고(論孟或問精義通考)》 등이 있다.

  목차

일러두기4

송자대전 제58권

서書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1월 答閔大受 辛亥正月19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5월 答閔大受 辛亥五月20
별지22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6월 答閔大受 辛亥六月23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6월 答閔大受 辛亥六月25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7월 13일 答閔大受 辛亥七月十三日27
민대수에게 보냄 신해년 8월 與閔大受 辛亥八月29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9월 答閔大受 辛亥九月32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9월 12일 答閔大受 辛亥九月十二日34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9월 13일 答閔大受 辛亥九月十三日37
별지37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9월 答閔大受 辛亥九月40
민대수에게 보냄 신해년 與閔大受 辛亥41
민대수에게 답함 신해년 11월 答閔大受 辛亥十一月43
민대수에게 보냄 임자년 1월 與閔大受 壬子正月44
민대수에게 보냄 與閔大受46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5월 答閔大受 壬子五月47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6월 答閔大受 壬子六月49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8월 答閔大受 壬子八月51
민대수에게 보냄 임자년 與閔大受 壬子53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10월 答閔大受 壬子十月54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10월 25일 答閔大受 壬子十月二十五日55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11월 答閔大受 壬子十一月57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11월 答閔大受 壬子十一月59
별지60
민대수에게 보냄 임자년 12월 8일 與閔大受 壬子十二月八日62
민대수에게 보냄 임자년 12월 與閔大受 壬子十二月64
민대수에게 답함 임자년 12월 27일 答閔大受 壬子十二月二十七日66
민대수에게 보냄 계축년 3월 與閔大受 癸丑三月68
민대수에게 보냄 계축년 3월 與閔大受 癸丑三月70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4월 答閔大受 癸丑四月72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5월 答閔大受 癸丑五月76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7월 答閔大受 癸丑七月78
민대수에게 보냄 계축년 7월 與閔大受 癸丑七月80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8월 答閔大受 癸丑八月82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9월 答閔大受 癸丑九月84
별지86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9월 答閔大受 癸丑九月87
민대수에게 보냄 계축년 11월 與閔大受 癸丑十一月88
별지89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11월 答閔大受 癸丑十一月91
민대수에게 보냄 계축년 12월 與閔大受 癸丑十二月95
별지96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12월 答閔大受 癸丑十二月98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12월 答閔大受 癸丑十二月100
별지100
민대수에게 답함 계축년 12월 答閔大受 癸丑十二月103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1월 與閔大受 甲寅正月106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3월 答閔大受 甲寅三月108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4월 與閔大受 甲寅四月111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4월 答閔大受 甲寅四月112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4월 11일 答閔大受 甲寅四月十一日114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4월 答閔大受 甲寅四月116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6월 答閔大受 甲寅六月119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7월 與閔大受 甲寅七月121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7월 與閔大受 甲寅七月125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7월 與閔大受 甲寅七月127
민대수에게 보냄 與閔大受128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9월 與閔大受 甲寅九月130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9월 答閔大受 甲寅九月131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10월 答閔大受 甲寅十月132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11월 與閔大受 甲寅十一月134
별지135
민대수에게 답함 갑인년 11월 答閔大受 甲寅十一月137
민대수에게 보냄 갑인년 11월 與閔大受 甲寅十一月138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2월 與閔大受 乙卯二月139
별지143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3월 12일 與閔大受 乙卯三月十二日146
민대수에게 답함 을묘년 3월 答閔大受 乙卯三月148
별지149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5월 與閔大受 乙卯五月151
별지152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6월 與閔大受 乙卯六月154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7월 與閔大受 乙卯七月156
민대수에게 답함 을묘년 7월 答閔大受 乙卯七月158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8월 與閔大受 乙卯八月160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10월 與閔大受 乙卯十月162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10월 與閔大受 乙卯十月164
민대수에게 보냄 을묘년 11월 與閔大受 乙卯十一月166
민대수에게 답함 을묘년 11월 答閔大受 乙卯十一月169
송자대전 제59권

서書
민대수에게 보냄 병진년 1월 與閔大受 丙辰正月175
별지176
민대수에게 보냄 병진년 6월 與閔大受 丙辰六月181
민대수에게 답함 병진년 8월 答閔大受 丙辰八月185
별지189
민대수에게 보냄 병진년 9월 與閔大受 丙辰九月194
민대수에게 보냄 병진년 9월 與閔大受 丙辰九月197
별지198
민대수에게 답함 병진년 10월 答閔大受 丙辰十月201
민대수에게 보냄 병진년 10월 與閔大受 丙辰十月204
민대수에게 답함 병진년 10월 答閔大受 丙辰十月207
별지208
민대수에게 보냄 병진년 12월 與閔大受 丙辰十二月210
민대수에게 답함 병진년 12월 答閔大受 丙辰十二月212
별지213
민대수에게 보냄 정사년 1월 與閔大受 丁巳正月217
별지219
민대수에게 답함 정사년 1월 答閔大受 丁巳正月222
민대수에게 답함 정사년 3월 答閔大受 丁巳三月224
민대수에게 답함 答閔大受227
민대수에게 답함 정사년 5월 答閔大受 丁巳五月229
별지231
민대수에게 보냄 정사년 5월 與閔大受 丁巳五月237
민대수에게 답함 정사년 8월 答閔大受 丁巳八月239
별지239
민대수에게 답함 정사년 9월 9일 答閔大受 丁巳九月九日243
민대수에게 보냄 정사년 11월 與閔大受 丁巳十一月245
민대수에게 보냄 무오년 2월 與閔大受 戊午二月247
별지249
민대수에게 보냄 무오년 4월 與閔大受 戊午四月251
민대수에게 답함 별지 答閔大受 別紙252
민대수에게 보냄 무오년 9월 與閔大受 戊午九月253
민대수에게 답함 무오년 10월 答閔大受 戊午十月254
민대수에게 보냄 무오년 10월 與閔大受 戊午十月257
민대수에게 보냄 무오년 11월 與閔大受 戊午十一月259
민대수에게 답함 무오년 12월 答閔大受 戊午十二月260
민대수에게 보냄 무오년 12월 與閔大受 戊午十二月262
별지263
민대수에게 보냄 무오년 12월 與閔大受 戊午十二月264
민대수에게 답함 答閔大受266
민대수에게 답함 答閔大受268


송자대전 제60권

서書
민대수에게 담함 기미년 1월 27일 答閔大受 己未正月二十七日273
민대수에게 답함 기미년 1월 答閔大受 己未正月275
민대수에게 보냄 기미년 3월 與閔大受 己未三月277
민대수에게 보냄 기미년 3월 與閔大受 己未三月279
별지280
민대수에게 담함 기미년 8월 11일 答閔大受 己未八月十一日284
민대수에게 보냄 기미년 8월 21일 與閔大受 己未八月二十一日286
별지288
민대수에게 보냄 與閔大受294
민대수에게 답함 기미년 9월 答閔大受 己未九月295
민대수에게 답함 기미년 12월 18일 答閔大受 己未十二月十八日297
민대수에게 답함 答閔大受302
민대수에게 답함 경신년 2월 答閔大受 庚申二月305
민대수에게 답함 경신년 2월 答閔大受 庚申二月306
민대수에게 보냄 경신년 2월 與閔大受 庚申二月308
민대수에게 답함 경신년 6월 11일 答閔大受 庚申六月十一日309
민대수에게 답함 신유년 5월 14일 答閔大受 辛酉五月十四日310
민대수에게 답함 신유년 5월 28일 答閔大受 辛酉五月二十八日311
별지312
민대수에게 보냄 신유년 8월 1일 與閔大受 辛酉八月一日315
민대수에게 답함 신유년 11월 13일 答閔大受 辛酉十一月十三日317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2월 18일 答閔大受 壬戌二月十八日319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3월 答閔大受 壬戌三月320
민대수에게 보냄 임술년 4월 21일 與閔大受 壬戌四月二十一日322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5월 17일 答閔大受 壬戌五月十七日324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7월 5일 答閔大受 壬戌七月五日327
별지328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7월 17일 答閔大受 壬戌七月十七日329
민대수에게 보냄 임술년 7월 그믐 與閔大受 壬戌七月晦日331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9월 3일 答閔大受 壬戌九月三日333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10월 14일 答閔大受 壬戌十月十四日335
민대수에게 보냄 임술년 10월 18일 與閔大受 壬戌十月十八日337
민대수에게 답함 임술년 11월 6일 答閔大受 壬戌十一月六日340
별지341
민대수에게 보냄 계해년 與閔大受 癸亥343
민대수에게 답함 계해년 答閔大受 癸亥348
민대수에게 보냄 계해년 2월 7일 與閔大受 癸亥二月七日350
민대수에게 답함 계해년 5월 12일 答閔大受 癸亥五月十二日352
민대수에게 보냄 계해년 5월 20일 與閔大受 癸亥五月二十日354
민대수에게 답함 계해년 9월 答閔大受 癸亥九月356
민대수에게 답함 계해년 10월 13일 答閔大受 癸亥十月十三日358
민대수에게 보냄 갑자년 1월 與閔大受 甲子正月360
민대수에게 답함 갑자년 2월 19일 答閔大受 甲子二月十九日363
별지364
민대수에게 답함 갑자년 2월 答閔大受 甲子二月365
민대수에게 보냄 갑자년 8월 2일 與閔大受 甲子八月二日366
민대수에게 답함 갑자년 9월 16일 答閔大受 甲子九月十六日368
민대수에게 답함 갑자년 10월 18일 答閔大受 甲子十月十八日370
민대수에게 답함 갑자년 11월 答閔大受 甲子十一月371
민대수에게 답함 갑자년 12월 12일 答閔大受 甲子十二月十二日373
민대수에게 보냄 을축년 1월 26일 與閔大受 乙丑正月二十六日375
민대수에게 보냄 을축년 3월 與閔大受 乙丑三月377
민대수에게 답함 을축년 9월 答閔大受 乙丑九月379
민대수에게 보냄 병인년 1월 24일 與閔大受 丙寅正月二十四日381
민대수에게 보냄 병인년 11월 24일 與閔大受 丙寅十一月二十四日383
별지384
민대수에게 보냄 정묘년 7월 9일 與閔大受 丁卯七月九日393
민대수에게 답함 정묘년 12월 9일 答閔大受 丁卯十二月九日395
민대수에게 답함 무진년 1월 12일 答閔大受 戊辰正月十二日398
민대수에게 답함 무진년 8월 10일 答閔大受 戊辰八月十日400
민대수에게 답함 무진년 10월 答閔大受 戊辰十月404
민대수에게 보냄 무진년 12월 19일 與閔大受 戊辰十二月十九日405
민대수에게 보냄 기사년 1월 與閔大受 己巳正月408
민대수에게 답함 答閔大受409


송자대전 제61권

서書
민지숙에게 보냄 정유년 4월 與閔持叔 丁酉四月415
민지숙에게 답함 정유년 7월 答閔持叔 丁酉七月418
민지숙에게 보냄 정유년 9월 與閔持叔 丁酉九月420
민지숙에게 답함 무술년 1월 答閔持叔 戊戌正月422
민지숙에게 보냄 무술년 與閔持叔 戊戌424
민지숙에게 보냄 무술년 與閔持叔 戊戌428
민지숙에게 답함 무술년 答閔持叔 戊戌430
민지숙에게 답함 무술년 答閔持叔 戊戌432
민지숙에게 보냄 무술년 與閔持叔 戊戌433
민지숙에게 답함 무술년 11월 答閔持叔 戊戌十一月434
민지숙에게 보냄 무술년 12월 與閔持叔 戊戌十二月435
민지숙에게 답함 무술년 12월 答閔持叔 戊戌十二月437
민지숙에게 보냄 기해년 1월 與閔持叔 己亥正月438
민지숙에게 보냄 기해년 윤월 與閔持叔 己亥閏月440
민지숙에게 답함 기해년 答閔持叔 己亥441
민지숙에게 답함 기해년 答閔持叔 己亥443
민지숙에게 보냄 기해년 與閔持叔 己亥445
민지숙에게 답함 기해년 윤월 答閔持叔 己亥閏月446
민지숙에게 답함 기해년 4월 答閔持叔 己亥四月448
민지숙에게 보냄 기해년 4월 與閔持叔 己亥四月450
민지숙에게 보냄 경자년 2월 與閔持叔 庚子二月451
민지숙에게 답함 신축년 2월 答閔持叔 辛丑二月454
민지숙에게 답함 신축년 10월 答閔持叔 辛丑十月457
민지숙에게 답함 기해년 答閔持叔 己亥459
민지숙에게 보냄 임인년 4월 與閔持叔 壬寅四月461
민지숙에게 보냄 임인년 9월 與閔持叔 壬寅九月463
민지숙에게 답함 임인년 9월 答閔持叔 壬寅九月464
민지숙에게 보냄 계묘년 2월 與閔持叔 癸卯二月465
민지숙에게 보냄 계묘년 3월 與閔持叔 癸卯三月467
민지숙에게 보냄 을사년 3월 與閔持叔 乙巳三月469
민지숙에게 보냄 을사년 12월 與閔持叔 乙巳十二月472
민지숙에게 답함 을사년 12월 答閔持叔 乙巳十二月475
민지숙에게 답함 을사년 12월 30일 答閔持叔 乙巳十二月三十日477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1월 與閔持叔 丙午正月478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1월 與閔持叔 丙午正月479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1월 答閔持叔 丙午正月481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1월 與閔持叔 丙午正月485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2월 答閔持叔 丙午二月487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3월 18일 答閔持叔 丙午三月十八日488
별지489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與閔持叔 丙午491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4월 2일 與閔持叔 丙午四月二日493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4월 答閔持叔 丙午四月495
별지496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5월 5일 與閔持叔 丙午五月五日498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5월 答閔持叔 丙午五月499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5월 與閔持叔 丙午五月501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6월 9일 答閔持叔 丙午六月九日506
별지507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與閔持叔 丙午510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7월 答閔持叔 丙午七月518
민지숙에게 답함 병오년 10월 答閔持叔 丙午十月519
민지숙에게 보냄 병오년 10월 與閔持叔 丙午十月520
민지숙에게 답함 정미년 까마귀가 약밥 먹는 날의 하루 뒷날 答閔持叔 丁未飯烏後一日521
민지숙에게 답함 정미년 9월 答閔持叔 丁未九月523
민지숙에게 답함 정미년 10월 答閔持叔 丁未十月525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2월 答閔持叔 戊申二月527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2월 答閔持叔 戊申二月529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3월 答閔持叔 戊申三月531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4월 答閔持叔 戊申四月533
별지534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4월 答閔持叔 戊申四月538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4월 7일 答閔持叔 戊申四月七日540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4월 20일 答閔持叔 戊申四月二十日542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4월 答閔持叔 戊申四月546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5월 答持叔 戊申五月548
민지숙에게 보냄 무신년 5월 與閔持叔 戊申五月549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5월 答閔持叔 戊申五月551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6월 答閔持叔 戊申六月553
민지숙에게 보냄 무신년 與閔持叔 戊申555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答閔持叔 戊申558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6월 20일 答閔持叔 戊申六月二十日559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6월 28일 答閔持叔 戊申六月二十八日561
민지숙에게 보냄 무신년 與閔持叔 戊申563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7월 答閔持叔 戊申七月564
별지565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10월 答閔持叔 戊申十月567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11월 答閔持叔 戊申十一月571
민지숙에게 보냄 기유년 1월 與閔持叔 己酉正月574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11월 答閔持叔 戊申十一月576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12월 答閔持叔 戊申十二月578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12월 答閔持叔 戊申十二月580
민지숙에게 답함 무신년 12월 答閔持叔 戊申十二月582
민지숙에게 답함 答閔持叔583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