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인물,위인 > 한국인물
나라를 위해 싸운 간호사 박자혜 이미지

나라를 위해 싸운 간호사 박자혜
현암주니어 | 3-4학년 | 2025.03.30
  • 정가
  • 13,000원
  • 판매가
  • 11,7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50P (5% 적립)
  • 상세정보
  • 17x22.3 | 0.152Kg | 80p
  • ISBN
  • 9788932376516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1919년 3월 1일. 일제의 국권 침탈에 저항하기 위한 독립운동인 ‘3.1 만세 운동’이 들불처럼 퍼져 나갔다. 조선인, 일본군 할 것 없이 수많은 부상자가 생겨났고, 총독부 의원에도 하루가 멀다 하고 환자들이 몰려들었다. 그러나 일본인 의사들은 한국인의 생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일본군만 치료했다. 이 모습을 지켜보던 한 간호사는 분노로 떨리는 두 주먹을 꼭 쥐고 결심한다.

박자혜는 어린 시절 궁녀의 삶을 살았다. 네다섯살 나이에 아기나인으로 궁궐에 들어간 그는 1910년 12월 30일, 조선 왕조가 몰락하면서 궁 밖으로 나오게 되었다. 일찍부터 박자혜의 총명함을 알아본 조 상궁은 공부를 권했고, 박자혜는 기쁜 마음으로 숙명 여학교에 진학한 후 총독부 의료원에서 간호학을 공부하게 된다.

간호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박자혜는 환자 한 명 한 명을 살뜰히 돌보는 간호사로 성장한다. 하지만 일제의 총칼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들의 용기 앞에서 큰 깨달음을 얻고, 또 한번의 결심을 하게 된다. 환자를 치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기로 말이다.

  출판사 리뷰

“모두가 독립을 외치고 있는데, 모른 척
가만히 있다면 어찌 한 민족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당당하고 거침없는 말솜씨로 간호사들을 움직여
독립운동 단체 ‘간우회’를 만든 박자혜.

궁녀에서 간호사로,
나라를 위해서라면 물불 가리지 않고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박자혜의 삶을 만나 봅니다.
간호사들의 독립운동 단체 ‘간우회’를 조직한 박자혜

1919년 3월 1일. 일제의 국권 침탈에 저항하기 위한 독립운동인 ‘3.1 만세 운동’이 들불처럼 퍼져 나갔습니다. 조선인, 일본군 할 것 없이 수많은 부상자가 생겨났고, 총독부 의원에도 하루가 멀다 하고 환자들이 몰려들었습니다.
그러나 일본인 의사들은 한국인의 생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일본군만 치료했습니다. 이 모습을 지켜보던 한 간호사는 분노로 떨리는 두 주먹을 꼭 쥐고 결심합니다.

‘아, 이제껏 내가 너무 생각 없이 살았구나. 그래서 지금 이렇게 당하는 거야. 이제 저들이 함부로 하지 못하도록 힘을 보여 줘야겠어.’
- 7~8P, 본문 중에서

그는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다른 간호사들을 설득해 독립운동에 동참하기로 뜻을 모읍니다. 나아가 간호사들의 독립운동 단체인 ‘간우회’를 조직하고, 나아가 일제에 맞서 파업과 태업을 조직적으로 주동합니다. 그가 바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삶을 바친 독립운동가, 박자혜입니다.

궁녀에서 간호사로, 마침내 독립운동가로

박자혜는 어린 시절 궁녀의 삶을 살았습니다. 네다섯살 나이에 아기나인으로 궁궐에 들어간 그는 1910년 12월 30일, 조선 왕조가 몰락하면서 궁 밖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일찍부터 박자혜의 총명함을 알아본 조 상궁은 공부를 권했고, 박자혜는 기쁜 마음으로 숙명 여학교에 진학한 후 총독부 의료원에서 간호학을 공부하게 됩니다.
간호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박자혜는 환자 한 명 한 명을 살뜰히 돌보는 간호사로 성장합니다. 하지만 일제의 총칼을 두려워하지 않는 이들의 용기 앞에서 큰 깨달음을 얻고, 또 한번의 결심을 하게 됩니다. 환자를 치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기로 말입니다.

신채호의 아내가 아닌 독립운동가 박자혜

박자혜는 널리 알려진 독립운동가는 아닙니다. 이름을 들어본 사람이라도 독립운동가보다는 신채호의 아내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을지도 모릅니다. 『나라를 위해 싸운 간호사 박자혜』는 누군가의 아내가 아닌, 독립운동가로서 치열하게 살아간 박자혜를 조명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집니다.
독립운동가 박자혜의 삶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일제에 저항하는 태업과 파업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험한 고문을 당해야 했고, 일제의 삼엄한 감시를 견뎌야 했습니다. 만주로 본거지를 옮긴 뒤 단원 신채호와 결혼하게 된 박자혜는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면서도 출산을 돕는 조산사로 일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했습니다. 독립투사들의 안내와 연락을 전하는 임무를 멈추지 않았고, 남편의 도움 없이 아이들을 홀로 길러 내야 했지요.
박자혜는 일본이 주는 봉급을 받으며 간호사로 살아가는 쉬운 길을 택할 수도 있었습니다. 그 시절 여성이 학교를 졸업하고, 간호사라는 직업을 가지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을 테니까요. 그러나 그는 결국 조국의 독립을 위한 길을 걸을 것을 결심합니다.
그의 숭고한 결심 뒤에는 ‘내 나라를 잃을 수 없다’는 애국심과 ‘민족을 지켜 내겠다’는 꺾이지 않는 의지가 있었습니다.
조국을 위해 삶을 바친 독립운동가, 민족의 운명과 맞서 싸운 주체적인 인간이었던 박자혜. 치열했던 그의 삶과 투쟁을 다시금 되새겨 봅니다.

숙명 여학교에 들어간 자혜는 공부가 그렇게 재밌을 수가 없었어. 마치 새 세상에 다시 태어난 것 같았지.
국문, 한문, 일본어, 붓글씨, 수학, 재봉…….
국문, 한문은 궁에서 지낼 때도 밥 먹듯 익혔던 거야. 재봉? 옷감을 자르고 바느질하는 재봉 일이야 눈을 감고도 할 수 있었지.

“여러분, 지금 온 나라 안이 만세 운동으로 들끓고 있습니다! 아침에는 학교 가던 옆집 학생이, 점심에는 떡집 아줌마가, 저녁에는 생선 가게 아저씨가 독립 만세를 외치다 실려 옵니다. 그간 우리는 일본인 의사들의 파렴치하고 뻔뻔한 행동을 바로 눈앞에서 지켜보았습니다. 이제 우리가 발 벗고 나설 때 입니다. 여러분, 간호사인 우리가 힘을 모아 독립운동을 해 나갑시다!”
자혜의 조용하면서도 힘 있는 목소리는 간호사들의 마음을 촉촉이 적셨어. 간호사들은 너도나도 고개를 끄덕였지.
자혜는 간호사들의 독립운동을 위한 모임을 만들어 ‘간우회’라 이름 지었어. 간우회는 간호사들이 처음 만든 조직이었지.

기차에 오른 자혜는 이마의 땀을 훔쳤어.
‘이제 정말 내가 독립운동을 위해 떠나는구나!’
자혜는 호주머니에 있는 휴가증을 만지작거리며 차창 밖으로 멀어져 가는 경성의 풍경을 바라보았어.

  작가 소개

지은이 : 한상순
담 너머로 모과나무 가지가 뻗어 나와 그림자를 만들고, 깨진 화분에 맨드라미가 서리 내릴 때까지 피어 있는 골목길을 걷는 걸 좋아합니다. 동시집 『거미의 소소한 생각』, 『세상에서 제일 큰 키』, 『병원에선 간호사가 엄마래』, 『딱따구리 학교』, 『병원에 온 비둘기』, 『뻥튀기는 속상해』, 『갖고 싶은 비밀번호』, 『예쁜 이름표 하나』 등을 펴냈으며, 그림책 『숲속 곰곰이 보건소』, 『오리가족 이사하는 날』, 『호랑이를 물리친 재투성이 재덕이』의 글을 썼습니다. 한국아동문학상, 서덕출문학상 등 여러 문학상을 받았으며, 동시 「좀좀좀좀」, 「기계를 더 믿어요」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었습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아기나인, 학교에 가다
첫 환자
누구라도 함께 가자
나는 간호사 독립운동가
박자혜 산파원
* 작가의 말
* 박자혜의 생애와 업적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