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영삼
제1부 인적자원관리론의 전개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개념과 체계
0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과 특질
02 인적자원관리의 대표적인 모델
03 인적자원관리의 체계
04 본서의 구성
제2장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개요와 주요 환경변화
01 인적자원과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상호 관련성
02 기술의 변화
03 노동환경의 변화
04 조직형태의 변화- 적응적 조직문화를 만드는 애자일 조직
제2부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문맥
제3장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투입요인 : 사람에 대한 이해
01 인간성 : 이는 왜 다루기 힘든 것인가?
02 관리자의 인간관
03 인간성의 복잡성
제4장 직무분석과 역량모델에 대한 이해
01 직무분석의 의의와 전략적 중요성
02 직무분석에서의 역활분담
03 직무정보수집의 주체
04 정보수집방법
05 표준화된 직무분석설문
06 맞춤형 업무기록
07 직무분석의 동향
08 인적자원관리에서 역량개념의 활용
제5장 직무설계와 작업조직
01 들어가는 말
02 노동의 본질
03 직무설계
04 직무재설계운동
05 지식노동과 탈관료제적 설계
06 조직설계와 인적자원관리
07 직무설계에 있어서의 긴장과 패러독스
제3부 인적자원관리의 직능활동
제6장 인적자원 확보활동
01 인적자원 확보활동의 의의
02 모집관리
03 선발관리
04 한국기업의 확보활동
제7장 업적평가와 성과관리
01 업적평가의 전개
02 성과관리
제8장 인적자원의 개발
01 인적자원관리 시스템과 인재개발
02 교육 및 개발의 전략적 중요성
03 교육 및 개발의 필요성 판정
04 교육 및 개발시스템의 설계
05 훈련 및 개발의 평가
제9장 보상관리
01 보상활동의 개요
02 보상이론 및 여러 가지 보상제도
03 보상전략
04 임금관리의 체계
05 동기부여를 위한 업적급
제10장 복리후생관리
01 복리후생제도
02 안전과 건강관리
03 복지관리의 신경향 : 근로자지원 프로그램
제11장 집단적 고용관계관리
01 집단으로서의 종업원이 갖는 의미
02 종업원들은 왜 집단화, 혹은 집단에 참여하는가?
03 집단적 관계의 관리방침
04 경영권에 대한 이해
05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제12장 글로벌 인적자원관리
01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이론적 기초
02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전개
03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의 전략적 이슈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