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지은이 : 사마키 다케오
청소년·교사·일반인 모두를 아우르며 흥미진진한 과학 수업을 하고 있는 이름난 강연자.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편집 위원으로도 활동하며, 과학 과목의 내용과 학습법을 연구한다. 대표 저서 《재밌어서 밤새 읽는 화학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 물리 이야기》 등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가 베스트셀러에 올라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지바대학교 교육학부를 졸업하고 도쿄학예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과학교육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중·고등학교 교사로 26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교토공예섬유대학교, 도시샤여자대학교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호세이대학교 생명과학부 환경응용화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는 같은 대학교 교직과정센터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1장 ‘집 안과 마당’에 넘쳐나는 생물
01 바이러스 | ‘땀을 흘리면 감기가 낫는다’라는 말은 잘못? …12
02 세균 | 항생 물질은 남용하면 위험하다고? …18
03 곰팡이 | 독이 되기도 하고 맛있는 식재료가 된다고? …24
04 상재균 | 똥이나 방귀 냄새가 구린 건 왜일까? …28
05 사람의 기생충 | 요즘은 사람에게만 있는 기생충이다 …34
06 진드기 | 왜 이불 속에서 번식할까? …40
07 개미, 흰개미 | 개미는 벌과 친구, 그렇다면 흰개미는? …45
08 모기 | 사람의 피를 빠는 것은 수컷과 암컷 어느 쪽일까? …50
09 파리 | 왜 파리를 잡는 게 어려울까? …56
10 거미 | 집에서 발견하는 거미는 거미줄을 치지 않는다? …61
11 바퀴벌레 | 3억 년 전부터 변하지 않는 ‘살아있는 화석’? …66
12 금붕어 | 금붕어는 야생에서 존재하지 않는가? …70
13 거북이 | 오래 사는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74
14 햄스터 | 하루에 달리는 거리는 몇십 킬로미터? …78
15 쥐 | 뭐든지 갉아대는 건 이빨이 계속 자라기 때문이라고? …82
16 고양이 | 야생 고양이는 쉽게 구별이 가능한가? …88
17 개 | 왜 만 년 전부터 가축화되었을까? …92
생물교양 1 | 변화하는 생물의 분류 …99
제2장 ‘공원, 학교, 거리’에 넘쳐나는 생물
18 공벌레 | 미로 속을 헤매지 않고 목표를 향해 간다고? …102
19 벌 | 무서운 것은 독이 아니라 알레르기 반응? …106
20 민달팽이, 달팽이 | 왜 소금을 뿌리면 녹아버릴까? …111
21 지렁이 | 여름의 뙤약볕 아래에서 말라 죽는 이유는? …115
22 나비, 나방 | 애벌레와 송충이, 나비와 나방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120
23 잠자리 | 지구에서 가장 커다란 곤충은 잠자리였다고? …125
24 도마뱀, 장지뱀 | 어떻게 자신의 꼬리를 자를까? …130
25 참새 | 왜 아침마다 짹짹 지저귈까? …134
26 제비 | 비행 속도는 최대 속도 시속 200킬로미터? …138
27 박쥐 | 대부분 박쥐는 벌레를 잡아먹는다 …142
28 토끼 | 왜 자신의 똥을 먹을까? …146
29 찌르레기 | 왜 역 앞에 무리를 지어 모여 있을…151
30 비둘기 | 편지를 배달하는 비둘기는 어떻게 가능한 걸까? …155
31 까마귀 | 쓰레기를 뜯어놓는 성가신 새? 아니면 길조? …159
32 너구리 | 너무 겁이 많아서 바로 가사 상태가 된다고? …162
생물교양 2 | 생물은 크게 다섯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165
제3장 ‘산, 논밭, 들판’에 넘쳐나는 생물
33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방울벌레 | 우는 곤충의 ‘귀’는 어디에 있을까? …168
34 사마귀 | 왜 암컷은 교미 중에 수컷을 잡아먹을까…172
35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 뿔이 겨우 두 시간 만에 자라는 이유는? …176
36 휘파람새 | 우는 소리가 휘파람 소리와 비슷해서 휘파람새 …180
37 뱀 | 어떻게 커다란 먹이를 통째로 삼킬 수 있을까? …184
38 닭 | 인플루엔자 백신은 달걀에서 만든다고? …188
39 양 | 왜 양모는 겨울에 따뜻하고 여름에 시원할까? …192
40 염소(산양) | 왜 종이를 먹어도 괜찮을까? …196
41 사슴 | 멋진 뿔은 뼈가 아니라 피부? …199
42 말 | 땀을 잔뜩 흘리는 것은 말과 사람뿐? …203
43 돼지 | 멧돼지를 품종 개량한 경제적인 동물? …208
44 소 | 소의 위는 몇 개나 될까요? …214
45 곰 | 곰을 만났을 때 ‘죽은 척’해도 효과가 없다고? …218
생물교양 3 | 동물은 어떤 생물인가? …223
제4장 ‘시냇가, 강, 바다’에 넘쳐나는 생물
46 소금쟁이 | 물에 세제를 넣으면 소금쟁이가 가라앉는다고? …226
47 개구리 | 위를 토해내서 스스로 닦는다는 것은 진짜일까? …228
48 잉어 | 비단잉어는 무지하게 비싼 ‘헤엄치는 보석’일까? …232
49 쌍패류 | 열리지 않는 조개는 먹으면 안 된다고? …235
50 해파리 | 왜 8월 15일 무렵에 해파리가 대량 발생할까? …238
51 정어리 | 정어리는 정어리, 멸치, 눈퉁멸의 총칭 …243
52 꽁치 | 꽁치를 먹으면 정말로 머리가 좋아질까? …245
53 뱀장어 | 뱀장어의 생태는 온통 수수께끼 …249
54 게 | ‘게장’은 뇌가 아니라 내장이라고?…252
55 복어 | 복어 독은 청산가리의 1000배 이상인가? …255
56 오징어, 문어 | 문어 먹물은 왜 요리에 안 쓸까…258
57 방어 | 방어가 살이 맛있는 이유 …262
58 참치 | 자원 고갈로 미래에는 먹을 수 없게 될까? …264
생물교양 4 | 식물 연쇄와 생물끼리의 연결 …267
제5장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
59 | 점점 늘어나는 호모사피엔스 …270
60 | 사람의 진화와 직립 이족 보행 …274
61 | 사람의 손과 거대화하는 뇌 …279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