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청소년 > 청소년 > 청소년 역사,인물
우리 책과 한국사 이야기  이미지

우리 책과 한국사 이야기
52가지 궁금증으로 본 우리 기록문화의 발자취
유아이북스 | 청소년 | 2020.03.10
  • 정가
  • 12,000원
  • 판매가
  • 10,800원 (10% 할인)
  • S포인트
  • 600P (5% 적립)
  • 상세정보
  • 22.5x15.2 | 0.524Kg | 276p
  • ISBN
  • 9791163220282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구매문의 및 도서상담은 031-944-3966(매장)으로 문의해주세요.
매장전집은 전화 혹은 매장방문만 구입 가능합니다.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왜 한국에서 금속활자가 처음 발명되었을까?', '조선시대에도 책을 판매하는 사람이 있었을까?' 이런 다양한 궁금증에 답을 주는 책이다. 책이라는 미디어의 발전을 통해 어떻게 한국 역사가 흘러왔는지를 엿볼 수 있다.

<책의 역사> 등 저서를 통해 출판학을 전문으로 분석해온 저자가 청소년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기록과 관련한 우리 역사를 정리했다. 중세시대 최첨단 정보기술이었던 금속활자 발명이 왜 한반도에서 이뤄졌는지부터 살펴봐도 글을 쓰고 읽는 행위가 우리 역사에서 얼마나 특별한 일이었는지를 알려준다.

  출판사 리뷰

책과 기록문화 관점으로 본 우리 역사
기록문화가 우리 역사를 어떻게 바꿨을까?


‘왜 한국에서 금속활자가 처음 발명되었을까?’, ‘조선시대에도 책을 판매하는 사람이 있었을까?’
이런 다양한 궁금증에 답을 주는 책입니다. 책이라는 미디어의 발전을 통해 어떻게 한국 역사가 흘러왔는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책의 역사> 등 저서를 통해 출판학을 전문으로 분석해온 저자가 청소년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기록과 관련한 우리 역사를 정리했습니다. 중세시대 최첨단 정보기술이었던 금속활자 발명이 왜 한반도에서 이뤄졌는지부터 살펴봐도 글을 쓰고 읽는 행위가 우리 역사에서 얼마나 특별한 일이었는지를 알려줍니다.

우리가 이 책을 보기까지 어떤 일이 있었을까?
기록 문화가 달성한 우리 문화의 힘


15세기 중반 구텐베르크는 활판인쇄술을 유럽 최초로 발명해 전파합니다.
그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이전에 본 적이 없던 이상한 인쇄기술로 인해 사회적 권위가 흔들린다고 판단한 한 추기경은 “어느 야만인이 만든 것”이라며 가치를 낮춰 봤습니다. 책이란 형태로 정보가 널리 공유되자 정보를 그동안 독점했던 권력자들이 위협을 느낀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달랐습니다.
권력자들 스스로 활자 주조에 앞장서서 출판 사업을 벌였다는 게 이 책, 《우리 책과 한국사 이야기》 저자인 부길만 교수의 주장입니다.
금속활자로 많은 책을 발간한 바 있는 태종 임금은 “책이 없다면 (당시 사회의 중요한 가치인) ‘수신제가치국평천하’도 없다”고 선언한 바 있습니다. 태종이 주조하게 한 활자는 무려 10만 자가 넘을 정도입니다. 한글(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이를 전파하기 위해 애쓴 세종도 출판 활동을 활발히 벌였습니다. 연산군과 같은 일부만 제외하면 다른 왕들도 기록과 출판을 중요시한 것으로 치자면 뒤지는 바가 없을 것입니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달리 정부 주도로 이뤄진 관영 위주 사업이었음에도 책은 정치, 행정 등 모든 공적인 일에서도 따라야 할 실천의 근거이기도 했습니다. 국가 중대사를 정할 때 언제나 책을 참조해 따랐다고 합니다.
이런 중요한 책을 출간하는 데 있어 서양과는 달리 우리는 널리 읽히기 권장하는 문화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성종 임금은 “서적을 다량 인쇄해서 싼값으로 공급해야 한다”는 정책을 세우고 따로 이를 충당할 세금을 책정할 정도였습니다. 정조가 직접 편찬을 주도한 서적 분량만 해도 89종 2490권이나 된다고 합니다. 책이 꼭 정부 주도로만 출간이 된 건 아니었습니다. 민간의 상업 출판물, 즉 ‘방각본’이란 게 있었습니다. 방각본도 서울, 전주, 태인, 안성, 대구 등에서 활발하게 간행되어 유통되었습니다.
그 밖에 교과서에 간략히 설명은 되어 있지만, 책과 기록문화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읽고 싶은 독자들에게 적극 권장하는 책입니다.
저자는 “한민족은 위대한 민족”이라면서 “그 위대함은 전쟁에서의 승리나 영토의 확장을 통해서가 아니라 문화의 힘을 드러낸 데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우리 책과 출판의 역사를 찾아가노라면, 이러한 위대함을 시기마다 접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우리 책과 한국사를 공부하며 민족의 특성을 새삼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문화를 사랑하는 정신입니다. 이 정신이 평화 시에는 가무를 즐기는 민족으로 나타납니다. 오늘 우리의 예능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것도 바로 한민족의 DNA가 드러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문화 사랑은 전쟁과 같은 위기 시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더욱 강하게 나타납니다.

대장경을 새긴 목적은 책으로 찍어 널리 퍼뜨리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대장경 조성사업이 끝난 후에는 대장경 인쇄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왕조가 바뀐 조선시대에도 계속되었습니다. 즉, 승려의 학술연구 및 신앙의 차원에서 여러 차례 대장경을 인쇄한 것입니다.

2008년 8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은 활자문화를 최초로 개척하였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 근거로 북송 시대에 필승이 만든 교니활자(진흙활자)를 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진흙은 내구성이 약하여 활자로서 실용화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활자문화를 시작한 나라는 북송이 아니라 고려라고 해야 타당한 역사인식일 것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부길만
우리나라 출판학계를 대표하는 학자 중 한 명입니다. 한국출판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동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습니다. 한국외국어대 독어과를 졸업한 이후 영국 셀리오크 대학을 거쳐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에서 출판잡지를 전공해 석사과정을 마쳤습니다. 한양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는 문학박사를 취득했습니다.주요 경력으로 동원대학교 광고편집과 교수, 경희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동국대학교·한양대학교언론정보대학원,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강사, ㈔어린이도서연구회 이사장, 문화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습니다.저서로는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2004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책의 역사》(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지역 사회와 민주주의를 말하다》, 《출판산업 발전과 독서진흥》, 《한국 출판의 흐름과 과제》(전2권), 《출판기획물의 세계사》(전2권), 《출판학의 미래》, 《한국 출판 역사》, 《지역사회의 책문화 살리기》 외 다수가 있습니다.

  목차

책머리에 / 4

제1장 고려시대

불교의 융성과 팔만대장경 / 12
근대 이전 출판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무엇인가요? . 12
고려인들은 왜 전쟁 중에 팔만대장경을 새겼나요? . 16
왜 ‘팔만대장경’이라고 했나요? . 20
팔만대장경은 목판으로 새긴 다음 어떻게 활용했나요? . 21
직지와 금속활자 / 23
《 직지》는 어떤 책인가요? . 23
왜 한국에서만 금속활자를 발명하게 되었을까요? . 27

제2장 조선시대

조선시대 출판 / 30
고려 때 발명한 금속활자는 조선시대에도 사용되었나요? . 31
조선시대 출판사업은 누가 담당했나요? . 35
조선시대 출판 발전에 기여한 왕은 누구인가요? . 37
조선시대에도 출판은 지금처럼 서울에 집중되었나요? . 52
조선시대에 상업출판이 발달한 지방은 어디인가요? . 55
조선시대 서적유통 / 60
서적 판매는 언제 시작되었나요? . 60
조선시대에도 서적 외판원이 있었나요? . 62
조선시대에도 도서대여점이 있었나요? . 67
조선시대 독서 / 69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독서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 69
조선시대 사람들은 정말로 책을 신성하게 여겼나요? . 79
조선시대 사람들은 모두 책을 소리 내어 읽었나요? . 81
조선시대 학생들은 어떤 책을 읽었나요? . 84
조선시대 베스트셀러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85
베스트셀러 출판의 수익금은 누가 가졌나요? . 92
한글과 출판문화 / 93
한글은 출판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 93
한글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97
조선왕조실록 / 102
《조선왕조실록》은 어떤 책인가요? . 102
《실록》은 왜 만들었나요? . 103
《실록》은 어떻게 편찬했나요? . 104
연산군처럼 쫓겨난 왕의《 실록》도 있나요? . 105
《 실록》을 고치기도 했나요? . 106
《 실록》은 어떻게 보관했나요? . 108
《 실록》은 어디에 가서 보나요? . 111

제3장 개화기

개화기의 출판 / 114
개화기는 어떤 시대였나요? . 114
개화기 선각자들은 왜 책을 중시했나요? . 119
개화기에는 어떤 종류의 책들이 출판되었나요? . 123
오늘날과 같은 출판사는 언제부터 있었나요? . 128
교과서와 국민계몽 / 131
개화기 교과서도 지금처럼 종류가 많았나요? . 131
개화기 교과서의 내용은 오늘날 교과서와 비슷했나요? . 132
개화기에 학교에서 사용된 최초의 교과서는 무엇이었나요? . 143
개화기에 교과서는 어디에서 발행했나요? . 145
개화기 교과서의 글자는 모두 한글이었나요? . 149
번역과 근대적 각성 / 154
개화기에는 어떤 종류의 책들이 번역되었나요? . 157
누가 번역했나요? . 160
개화기 선각자들이 번역에 힘쓴 이유는 무엇인가요? . 162
어느 나라 서적들이 많이 번역되었나요? . 166
한글 성서 / 168
한글 성서는 언제 나왔나요? . 171
한글 성서의 보급은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 175
선교사들이 성서를 한글로 번역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177
기독교 전파와 애국계몽 / 183
성서 번역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 183
개화기 기독교 서적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 190
누가 기독교 서적을 썼나요? . 205
개화기에 기독교 서적을 전문적으로 펴내는 출판사가 있었나요? . 213
한국학 관련 외국인 저술 / 217
개화기에 외국인들은 한국을 어떻게 생각했나요? . 217
개화기 한국에 관한 기록을 남긴 외국인이 많았나요? 그리고 어떤
사람들이었나요? . 233
① 외교관 / ② 선교사 / ③ 기자 / ④ 군인·공무원 / ⑤ 학자 / ⑥ 문학
·예술인 / ⑦ 기타
개화기 외국인들은 어떤 종류의 책들을 썼나요? . 249
① 여행기 / ② 회상록 / ③ 풍속 또는 생활상 / ④ 국제정세 또는
시사 / ⑤ 한국 역사 / ⑥ 한국어 학 습서 / ⑦ 기타

참고문헌 / 268
찾아보기 / 277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