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지식은 내 친구 시리즈 1권. 쇠막대에 머리를 관통당하는 사고를 당하고도 살아남은 피니어스 게이지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뇌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해 보는 ‘쉬운 뇌 과학’ 책이다. 처음 사고를 당할 당시부터 11년 뒤 죽을 때까지 피니어스의 삶을 추적하며 피니어스 사건이 과학과 의학의 발달에 미친 영향을 크게 네 개의 장으로 나누어 들려준다.
1848년 미국 버몬트 주 캐번디시 근처에서 발파 작업을 하던 피니어스 게이지는 쇠막대에 머리가 관통당하는 끔찍한 사고를 당한다.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치명적인 사고였지만 그는 살아남았고, 그 후로 11년이나 더 살았다. 하지만 사고 후의 피니어스는 더 이상 예전의 피니어스가 아니었다.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 행동거지, 앞일을 계획하는 방식 등이 모조리 바뀌어 버렸다.
사고가 날 때의 상황과 치료 과정, 피니어스를 둘러싼 당시 학자들의 논쟁, 사고 이후 달라진 삶, 마지막으로 오늘날 피니어스 사건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까지, 마치 옆에서 들려주듯 술술 펼쳐지는 이야기는 어린이부터 전문가까지 모두의 호기심을 채워 주며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처럼 생생한 현장감을 그대로 전한다.
완벽한 이해를 돕는 친근하면서도 간결한 문체로 독자와 대화하는 듯한 말투로 호소력 있게 전달하고 있다. 큼직하고 시원하게 들어가 있는 당시의 흑백 사진과 현미경 사진, MRI 영상 사진, 일러스트 등은 현장감 있고 생생한 시각 자료가 되어 주고, 낱말풀이와 참고 자료, 찾아보기 역시 좀 더 공부하고자 하는 어린이들에게 도움을 준다.
출판사 리뷰
뇌는 어떻게 작동할까? 인간은 왜 인간일까?
드라마틱한 삶을 산 한 인물의 전기이자
뇌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과학책이자
19세기 의학과 사람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역사책!
모든 어린이가 꼭 읽어야 할 교양 필독서!!뇌 과학계의 교과서적인 인물, 피니어스 게이지 이야기로 탐험하는 뇌 과학 이야기!
피니어스 게이지는 쇠막대에 머리를 관통당하는 사고를 당하고도 살아남았다.
하지만 그의 성격은 사고 전과는 딴판으로 변해 버렸다!
도대체 그의 뇌 속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 뇌 과학과 심리학계의 교과서적인 인물, 피니어스 게이지
1848년 미국 버몬트 주 캐번디시 근처에서 발파 작업을 하던 피니어스 게이지는 쇠막대에 머리가 관통당하는 끔찍한 사고를 당한다.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치명적인 사고였지만 그는 살아남았고, 그 후로 11년이나 더 살았다. 하지만 사고 후의 피니어스는 더 이상 예전의 피니어스가 아니었다.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 행동거지, 앞일을 계획하는 방식 등이 모조리 바뀌어 버렸다. 일 잘하고 인기 많은 반장이던 그가 무례하고 종잡을 수 없는 사람이 된 것이다.
‘도대체 그의 뇌 속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이 책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나서는 책이다. 처음 사고를 당할 당시부터 11년 뒤 죽을 때까지 피니어스의 삶을 추적하며 피니어스 사건이 과학과 의학의 발달에 미친 영향을 크게 네 개의 장으로 나누어 들려준다. 사고가 날 때의 상황과 치료 과정, 피니어스를 둘러싼 당시 학자들의 논쟁, 사고 이후 달라진 삶, 마지막으로 오늘날 피니어스 사건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까지, 마치 옆에서 들려주듯 술술 펼쳐지는 이야기는 어린이부터 전문가까지 모두의 호기심을 채워 주며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처럼 생생한 현장감을 그대로 전한다.
■ 주관에서 과학으로, ‘뇌’에 대해 과학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 실제 증거
머리에, 특히 전두엽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후 성격이 완전히 바뀌어 버린 피니어스의 사례는 뇌 과학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피니어스가 살았던 19세기 당시의 의사들은 뇌가 어떤 일을 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 이렇다 할 실험 도구조차 갖추지 못하고 자신들만의 주관적인 뇌 이론으로 소모적인 논쟁을 벌이던 때에 피니어스 사건은 ‘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실제 증거가 되어 주었다. 피니어스를 통해 비로소 뇌 안에 있는 대뇌 피질, 그중에서도 전두엽이 손상되었을 때 사고력이나 사회적 행동에 큰 제약을 받는다는 사실을 정확히 알게 된 셈이다.
이후 뇌에 대한 연구는 과학의 발달과 함께 큰 진전이 있었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더 많다. 피니어스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21세기 현재에도 여전히 필요한 이유이다.
■ 현장감을 더하는 실제 사건으로 단숨에 읽어 내려가는 ‘쉬운 뇌 과학’ 책!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뇌 과학은 거창하고 어렵게 느껴진다. CT나 MRI 단어는 낯설고, 뉴런, 시냅스, 전두엽 등의 의학 용어는 내용을 읽기도 전에 독자들을 멀어지게 할 수도 한다. 《쇠막대가 머리를 뚫고 간 사나이》 역시 어린이 책으로는 다소 어려운 주제로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세상에 이런 일이!’에서나 나올 법한 놀라운 사건 현장에서부터 시작하여 종횡무진 피니어스의 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인간은 왜 인간일까?, 뇌는 어떻게 작동할까? 등의 생각이 꼬리를 물면서 자연스럽게 내 머릿속으로 뇌에 대한 기본 지식이 들어온다. 피니어스가 겪은 불운이 어떻게 우리의 뇌 지식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이해하는 동안, 당시의 일상적인 사회 풍경과 의학계의 논쟁 현장을 지나면서 골상학이나 19세기의 의료 행위, 미생물학의 역사 같은 내용도 흥미롭게 지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리고 ‘최근의 뇌 과학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었을까?’까지도.
《쇠막대가 머리를 뚫고 간 사나이》는 뇌 과학에 관한 특별한 관심이 있지 않더라도 모두가 읽어야 할,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조건인 뇌의 비밀에 대한 기본 실마리를 제공해 주는 교양 필독서이다. 명실공히 그동안 출간된 뇌에 관한 다양한 책들의 기본 토대가 되는 지식을 담은 책이다.
■ 과학을 넘어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하게 하는 책
《쇠막대가 머리를 뚫고 간 사나이》는 과학이라는 한 분야를 넘어선 책이다. 극적인 삶을 살다 간 피니어스 게이지라는 인물을 다룬 이야기이며, 19세기 일상의 풍경과 의학의 역사를 알게 해 주는 역사 이야기이기도 하다.
거기에 더하여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다. ‘인간은 왜 인간일까?’ ‘과연 피니어스는 사고 이후에 행복했을까, 불행했을까?’ 뇌 과학을 넘어 한 인간에 대한 연민과 동시에 의학의 발달에 대해서 생각하고 의심하고 고민하게 한다. 그러면서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하게 한다. 지금도 하버드 의과대학에는 두개골에 구멍이 뚫린 피니어스의 뇌와 당시의 쇠막대가 전시되어 있다.(표지에 실린 사진이 바로 피니어스의 두개골이다.)
■ 완벽한 이해를 돕는 친근하면서도 간결한 문체이 모든 내용을 작가는 독자와 대화하는 듯한 말투로 호소력 있게 전달한다. 전문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된 사실과 그렇지 않은 이야기를 확실히 구별하는데, 특히 감상적인 표현을 삼가면서 사건 자체가 주는 충격을 전달하려 애쓴다. 예를 들어, 사고가 일어나고 30분 뒤 현관 계단에 앉아 여관 주인에게 차분하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피니어스를 꾸밈없이 묘사하는 대목은 끔찍하면서도 경이롭다. “과학은 엄청나게 중요한 학문이지만 그 자체로는 사람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에 ‘과학’을 보통 사람들이 쓰는 언어로 쉽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평소 작가의 신념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작품이다. 그 덕분에 독자는 한결 더 흥미진진하게 뇌 과학을 탐구할 수 있다.
■ 배경 지식을 넓히는 사진과 일러스트
큼직하고 시원하게 들어가 있는 당시의 흑백 사진과 현미경 사진, MRI 영상 사진, 일러스트 등은 현장감 있고 생생한 시각 자료이다. 특히 19세기의 상황을 알려주는 흑백사진과 일러스트들은 사료적 가치가 높은 귀한 자료들이다. 예를 들어 에테르에 마취된 환자를 수술하는 의사들의 사진(본문 39p)은 우리에게 많은 정보를 던져 준다. 수술실에서 의사들은 평상복 차림이다. 수술용 장갑이나 마스크 혹은 의사 가운을 입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 당시에는 세균의 존재를 몰랐기 때문이다. 작가는 아마 그 의사들은 수술이 ‘끝나고’ 나서야 손을 씻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또 수술실에는 남자들뿐이다. 19세기에는 여자 간호사가 없었으니까. 19세기에 유행했던 골상학 도표 그림(본문 53p)도 우리의 눈을 확 잡아끈다. 이런 모든 사진과 일러스트에는 꼼꼼하고 자세한 캡션이 달려 있다. 낱말풀이와 참고 자료, 찾아보기 역시 좀 더 공부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도움이 된다.


작가 소개
저자 : 존 플라이슈만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책을 집필하는 미국의 과학 전문 작가이다. 하버드 의과 대학에서 과학 기자로 일했고, 라디오 방송의 과학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현재 <디스커버>, <스미스소니언 항공 우주> 같은 여러 과학 출판물에 글을 쓰며, 미국 세포생물학회의 과학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흑인 비행사와 백인 비행사: 그들의 진짜 생애》, 《세기 중반의 도시》, 《공짜 & 공공》, 《오하이오의 땅》 등 여러 권의 책을 썼다.
목차
감사의 말
버몬트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고'
생각을 생각하다
피니어스 게이지를 따라
피니어스 다시 보다
낱말 풀이
참고 자료
옮긴이의 말
감수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