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남준
수학은 세상을 보는 눈이며, 삶을 보다 자유롭게 합니다. 그동안 수학교육을 대중화하고 학생들에게 수학의 참맛을 알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현재 서울불암초등학교 수석교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개발에 참여하였습니다. 저서로는 『101가지 초등수학 질문 사전』, 『스타트 수학 일기』 등이 있습니다.
지은이 : 최수일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11년까지 한성과학고, 용산고, 세종과학고 등에서 수학 교사로 근무했으며, 1994년에는 최초의 수학 교사 연구 단체인 전국수학교사모임을 만들었고 2003년부터 2010년까지 회장을 지내며 수학 교육의 방향을 끊임없이 고민했다. 2010년부터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독서토론반을 운영하며 아이들이 왜 수학을 싫어하고 수업의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또한 최 소장은 수학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제6차 및 제7차, 2007 개정 등 총 세 차례의 수학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참여해 교과서를 개발했다. 세종과학고 재직 시절에는 초대 전국과학고 입학사정관협의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2011년 퇴직 후 수학교육연구소를 설립해 입시 위주의 수업으로 흘러가 제대로 된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근본적 해결을 위한 연구에 전념했다. 홍익대학교,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겸임교수를 역임했고, 2017년 현재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수학사교육포럼 대표를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수학 고민에 대해 명쾌한 답을 제시한 『착한 수학』, 『하루 30분 수학』, 『지금 가르치는 게 수학 맞습니까』 등이 있다.
지은이 : 이재영
어린이를 위한 수학체험교실과 수학 클리닉 상담교사로 활동하며 초등학생이 수학에 즐거움을 느끼고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꾸준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서울공릉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저서로는 『101가지 초등수학 질문 사전』, 『선생님도 놀란 수학 뒤집기 기본편-다각형』 등이 있습니다.
머리말 4
개념연결 만화 수학교과서 사용설명서 12
전설의 수학자를 찾아서! 14
2학년 1학기
1단원
세 자리 수 99보다 1 큰 수가 910(구십) 아니에요? 20
세 자리 수 구슬이 몇 개인지 쉽고 정확하게 세고 싶어요. 22
세 자리 수 427(사이칠)에서 4가 왜 400이에요? 24
세 자리 수 두 수의 크기 비교는 어떻게 해요? 26
2단원
여러 가지 도형 도 원이고, 도 원이에요? 28
여러 가지 도형 세모(), 네모()의 다른 이름이 있나요? 30
여러 가지 도형 , 이런 모양도 삼각형이에요? 32
여러 가지 도형 , 이런 모양도 사각형이에요? 34
여러 가지 도형 , 의 이름이 궁금해요. 36
여러 가지 도형 칠교 조각으로 삼각형, 사각형을 어떻게 만들어요? 38
3단원
덧셈과 뺄셈 일 모형 10개를 왜 십 모형 1개로 바꿔요? 40
덧셈과 뺄셈 십 모형 1개를 일 모형 10개로 바꿔요? 42
덧셈과 뺄셈 꼭 일의 자리부터 계산해야 하나요? 44
덧셈과 뺄셈 덧셈에서 받아올림한 수는 어디에 써요? 46
덧셈과 뺄셈 받아올림해서 한 번에 답을 구하는 게 어려워요. 48
덧셈과 뺄셈 뺄셈에서 받아내림한 수를 어디에 써요? 50
덧셈과 뺄셈 받아올림, 받아내림한 수를 꼭 써야 해요? 52
덧셈과 뺄셈 계산 문제가 가로로 나오면 못 풀겠어요. 54
덧셈과 뺄셈 어림하여 계산하면 어떤 점이 좋아요? 56
덧셈과 뺄셈 왜 자꾸 다른 방법으로 풀어 보라고 해요? 58
덧셈과 뺄셈 왜 답 쓰는 칸이 식 중간에 있어요? 60
덧셈과 뺄셈 꼭 □를 사용해 식을 만들어야 해요? 62
덧셈과 뺄셈 15 + 9 = 24를 뺄셈식으로 어떻게 만들어요? 64
덧셈과 뺄셈 9 - 5 + 4를 계산하는데 덧셈 먼저 했어요. 66
덧셈과 뺄셈 덧셈만 있는 식도 순서대로 계산해요? 68
덧셈과 뺄셈 13 + 24 = 37 - 18 = 19 이게 왜 틀린 식이에요? 70
4단원
길이 재기 손이나 발로 길이 재는 방법을 왜 배워요? 72
길이 재기 책상 길이를 잴 때 알맞은 단위길이는 뭐예요? 74
길이 재기 분명히 6뼘 길이인데, 제 리본은 왜 짧아요? 76
길이 재기 이 연필, 10시엠이죠? 78
길이 재기 자로 길이는 어떻게 재나요? 80
길이 재기 몽당연필의 길이를 어떻게 어림해요? 82
5단원
분류하기 분류하기는 왜 배워요? 84
분류하기 분류하기는 어떻게 해요? 86
분류하기 분류한 결과가 동생이랑 왜 다르죠? 88
분류하기 분류하여 세는 것은 왜 배우는지 궁금해요. 90
6단원
곱셈 묶어 세기와 곱셈이 서로 관계가 있어요. 92
곱셈 몇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게 어려워요. 94
곱셈 곱셈기호는 누가 만들었어요? 96
2학년 2학기
1단원
네 자리 수 1000은 큰 수인가요? 100
네 자리 수 3217(삼이일칠)은 어떻게 읽어요? 102
네 자리 수 4200에서 100씩 뛰어 세면? 104
네 자리 수 큰 숫자가 있는 쪽이 큰 수인가요? 106
네 자리 수 2, 6, 0, 7로 가장 작은 네 자리 수를 만들어요. 108
2단원
곱셈구구 곱셈구구를 쉽게 외우는 방법이 있나요? 110
곱셈구구 어떤 수와 0의 곱은 왜 항상 0이에요? 112
곱셈구구 구구단? 곱셈구구? 114
3단원
길이 재기 cm로 길이를 재면 되는데 왜 m를 알아야 해요? 116
길이 재기 1m의 길이는 어떻게 정했나요? 118
길이 재기 어떻게 125cm가 1m 25cm예요? 120
길이 재기 길이도 더할 수 있나요? 122
길이 재기 길이끼리도 뺄 수 있나요? 124
4단원
시간과 시각 저 시계 볼 줄 모르는데요? 126
시간과 시각 3시 45분은 어떻게 나타내요? 128
시간과 시각 2시 50분인데, 3시 10분 전이라고요? 130
시간과 시각 옛날에도 시계가 있었나요? 132
시간과 시각 지금 시간이 몇 시예요? 134
시간과 시각 시간은 어떻게 구해요? 136
시간과 시각 새벽 1시는 오전이에요, 오후예요? 138
시간과 시각 1주일 후는 무슨 요일이에요? 140
시간과 시각 둘째 일요일이 며칠이에요? 142
시간과 시각 2월은 왜 마지막 날짜가 같지 않아요? 144
5단원
표와 그래프 왜 자료를 표로 나타내는 거예요? 146
표와 그래프 그래프로 나타낼 때 왜 ○와 같은 기호를 써요? 148
표와 그래프 그래프로 어떻게 나타내요? 150
표와 그래프 그래프를 왜 배워요? 152
6단원
규칙 찾기 포장지에 무슨 규칙이 있어요? 154
규칙 찾기 규칙적인 무늬를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156
규칙 찾기 수가 작아지는 배열도 규칙이에요? 158
규칙 찾기 수 배열표의 규칙을 설명하지 못하겠어요. 160
규칙 찾기 곱셈구구표에도 규칙이 있어요? 162
규칙 찾기 생활 속에는 어떤 수 규칙이 있나요? 164
규칙 찾기 같은 설명을 듣고 쌓았는데 왜 모양이 달라요? 166
규칙 찾기 같은 모양인지, 다른 모양인지 헷갈려요. 168
규칙 찾기 쌓기 나무로 여러 가지 모양을 왜 만들어요? 170
수학 일반
수학 일반 수학 일기는 어떻게 쓰는 거예요? 172
수학 일반 수학을 잘하고 싶어요. 174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