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명연설 시리즈 1권. 독도 문제를 ‘영토의 문제’가 아닌 “역사 인식의 문제”라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친 노무현 대통령의 연설을 담았다. A4 용지 4매 정도의 분량으로, 책 뒤에 있는 그림 설명과 연설문에 사용된 단어 설명을 읽는다면 그다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영어에 관심이 있거나 일본어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뒤에 있는 영어 번역과 일본어 번역을 읽어 보아도 좋다.
출판사 리뷰
1. 시중에 나와 있는 독도에 관한 책들은 대부분 독도가 언제부터 우리 땅이었는지, 독도가 얼마나 아름답고, 독도가 얼마나 중요하며, 독도에는 어떤 동식물이 살고 있는지 등을 다루고 있다. 독도를 영토의 문제로 다루는 경우는 별로 없다.
노무현 대통령의 명연설,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는 독도 문제를 ‘영토의 문제’도 아니라는 파격적인 주장을 담고 있다. 독도는 “역사 인식의 문제”라는 것이다.
2. 이 연설문은 A4 용지 4매 정도의 분량이지만 초등학생이 소화하기에는 쉽지 않다. 그러나 중 고등학생 오빠 누나 형이 조금 설명해 주거나, 책 뒤에 있는 그림 설명과 연설문에 사용된 단어 설명을 읽는다면 그다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3. 영어에 관심이 있거나 일본어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뒤에 있는 영어 번역과 일본어 번역을 읽어 보아도 좋을 것이다.
4. 책 뒤에 있는 여러 가지 모양의 스티커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책을 다 읽은 다음에 책 속의 멋진 문장이나 그림 위에 붙일 수도 있고, 휴대폰이나 휴대용 가방 또는 필통 등에 붙일 수 있다.
내용
노무현 대통령의 명연설,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는 “러일 전쟁은 한반도 침략 전쟁”이라는 말로 시작한다. 이것이 중요하다. 흔히들 1910년 ‘경술국치’부터 우리나라가 일본의 군정 치하에 들어간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1905년의 ‘을사늑약’(1905년 11월 17일 대한 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부터 일본 치하에 들어간 것이고, 일본의 ‘을사늑약’을 강요할 수 있었던 이유는 1904년 2월 8일에 발발하여 1905년 가을에 끝난 러일 전쟁에서 승리했기 때문이다.
일본과 러시아가 한반도의 주도권을 쟁취하려는 무력 충돌에서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지화할 수 있었고, 러시아는 혁명의 시작으로 이어졌다. 일본은 러일 전쟁의 승리로 한반도와 만주를 차지했다. 우리가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시기는 한반도 침략 전쟁인 ‘러일 전쟁’ 발발부터이다.
많은 사람이 ‘친일 재산 환수법’(정식 명칭 : 친일 반민족 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으로 친일파의 재산을 환수할 수 있음을 알지만, ‘언제부터 모은 재산’이 친일 재산인지를 잘 알지 못한다. ‘경술국치’ 이후일까? 아니다. ‘러일 전쟁’부터이다.
출판사 리뷰
우리가 이 책을 내는 까닭은 첫째, 독도에 관해 이 연설보다 훌륭한 내용을 담고 있는 글이 없기 때문이며 둘째, 한일 관계의 문제에서 노무현 대통령만큼 일관되고 확고한 역사 인식을 가진 대통령이 없기 때문이고 셋째,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노무현 대통령의 진심을 모르는 것 같아 안타까웠기 때문이다.
‘동해 해저 지명 문제’나 ‘배타적 경제 수역 문제’, ‘일제의 위안부 강제 동원 문제’,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등도 중요하지만, 공무원들에게 진짜 중요한 것은 국민과 국가를 생각하는 마음이다. 그것이 결과로 나타날 때 훌륭한 공무원이고 훌륭한 대통령이다.
독도는 ‘완전한 주권 회복의 상징’으로서, ‘미래의 한일 관계와 동아시아의 평화에 대한 일본의 의지를 가늠하는 시금석’일 뿐만 아니라 ‘제대로 된 대한민국 국민’인지를 가늠하는 시금석이다. 독도는 아름다운 섬일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동쪽 끝에서 대한민국 국토의 한 기점이 되는 “역사의 땅”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노무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1946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태어났다. 1975년 사법시험에 합격해 대전지법 판사를 지내다 1978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제13, 15대 국회의원과 해양수산부 장관을 거쳐 2003년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2008년 퇴임 후 고향 봉하마을로 귀향했다. 2009년 5월 23일 63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지은 책으로 《여보, 나 좀 도와줘》, 《노무현의 리더십 이야기》, 《노무현이 만난 링컨》, 《성공과 좌절》, 《진보의 미래》 등이 있다.
목차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본문 그림 설명과 의미
노무현 대통령 연설문 전문
연설문에 사용된 단어 설명과 의미
노무현 대통령 연설문 영어 번역
노무현 대통령 연설문 일본어 번역
펴내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