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박찬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기자,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한국판의 편집부장을 지냈다. 현재 ㈜리베르스쿨, 리베르의 대표이사로 있다. 작가·출판사·학교·언론사의 무성의와 무지로 빚어진 잘못된 글쓰기 문화를 고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글쓰기 비결 꼬리물기에 있다』는 오랫동안 기자와 편집자로 지낸 경험이 녹아 있는 글쓰기 책이다. 이 책은 대학교, 기업체, 편집자 모임 등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간행물윤리위원회의 우수 저작물에 당선된 『한국사를 보다』는 5년에 걸친 한국 문화유산 답사의 결과물이자, 이야기 한국사의 결정판이다. 청소년 부문 베스트셀러인 『세계사를 보다』, 『세계지리를 보다』에는 두 차례의 세계 답사 여행에서 확인한 역사와 지리의 현장을 글과 사진으로 생생하게 담았다.『한국사를 보다』를 토대로 집필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2014년 적용)는 검정 심사에서 최고 득점(90~100점)으로 합격하였다. 8종 한국사 교과서 가운데 유일하게 수정 명령을 받지 않았다.
지은이 : 채호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강원대학교, 인하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현대 소설과 비평, 특히 1930~1940년대 소설과 비평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중등학교 교과서 검정 심사에도 참여한 바 있다. 『한국현대소설 이야기』의 감수를 맡고, ‘문학 깊이 읽기’를 집필했다. 지은 책으로는 『청소년을 위한 한국 현대 문학사』, 『식민지 시대 문학의 지형도』, 『문학의 위기, 위기의 문학』 등이 있다.
지은이 : 성낙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과와 동대학원을 마쳤다. 숭문고등학교에 재직했으며, 현재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청소년 문학 베스트셀러인 『한국단편소설 40』,『한국단편소설 70』 등에서 차별화된 해설을 선보였다.
지은이 : 안주영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신문사, 방송국을 거쳐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논술·언어·국어 강의를 했다. 현재는 다양한 문학 관련 콘텐츠 개발과 집필, 그리고 단행본·교과서 편집에 힘을 쏟고 있다.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친절한 글을 전해 주고 싶어서 『한국현대소설 이야기』의 본문을 집필했다. 지은 책으로는 『희망을 노래한 밥 말리』, 『토끼전·장끼전』, 『양반탈과 각시탈』 등이 있다.
『한국단편소설 40』 목차
머리말
시대별 주요 작품 소개
김동인 / 배따라기, 감자, 붉은 산
현진건 /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B사감과 러브레터
나도향 /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전영택 / 화수분
이태준 / 달밤, 꽃나무는 심어 놓고, 돌다리
계용묵 / 백치 아다다
주요섭 / 사랑손님과 어머니
유진오 / 김 강사와 T교수
김유정 / 만무방, 금 따는 콩밭, 봄봄, 동백꽃
이 상 / 날개
이효석 / 메밀꽃 필 무렵, 산
김동리 / 무녀도
채만식 / 치숙, 이상한 선생님
현 덕 / 하늘은 맑건만, 고구마, 나비 를 잡는 아버지
염상섭 / 두 파산
황순원 / 별, 독 짓는 늙은이, 소나기, 학
김성한 / 바비도
하근찬 / 수난이대
김승옥 / 서울, 1964년 겨울
조세희 / 뫼비우스의 띠, 난장이가 쏘 아 올린 작은 공
양귀자 / 원미동 사람들(일용할 양식)
윤흥길 / 종탑 아래에서
『한국단편소설 70』 목차
머리말
시대별 주요 작품 소개
안국선 / 금수회의록
이해조 / 자유종
현진건 / 빈처, 할머니의 죽음, 고향
최서해 / 탈출기, 홍염
김동인 / 광염소나타, 광화사
이효석 / 돈(豚), 사냥
채만식 / 레디메이드 인생, 왕치와 소새와 개미, 논 이야 기, 미스터 방
김유정 / 소낙비, 땡볕
이태준 / 까마귀, 복덕방
김동리 / 역마, 등신불
손창섭 / 비 오는 날
오상원 / 유예
이범선 / 오발탄, 표구된 휴지
강신재 / 젊은 느티나무
전광용 / 꺼삐딴 리
김승옥 / 무진기행
김정한 / 모래톱 이야기
박완서 / 그 여자네 집
『한국현대소설 이야기』 목차
머리말
1. ‘새로운’ 소설이 탄생하다 | 개화기~1910년대
지금까지의 고전 소설은 잊어라! - 이인직의 「혈의 누」
인간의 악행을 신랄하게 비판하다 -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지식인 여성들의 밤샘 토론회 - 이해조의 「자유종」
자유연애와 계몽을 소설에 담다 - 이광수의 「무정」
문학 깊이 읽기 한국 현대 문학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2. 단편 소설, 전성기를 누리다 | 1920년대
조선말로 된 최초의 단편 소설 - 김동인의 「배따라기」
“조선은 무덤이고 우리는 모두 구더기다!” - 염상섭의 「만세전」
유학파 지식인들은 왜 점점 무기력해졌을까 - 현진건의 「술 권하는 사회」
사랑으로 신분의 벽을 넘다 -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
“우리는 여태까지 속아 살았다.” - 최서해의 「탈출기」
문학 깊이 읽기 - 일제 강점기 문학은 ‘한국’ 문학일까?
3. 풍요로움과 다양성을 일구다 | 1930년대~1945년
동상이몽(同床異夢) 세 가족 - 염상섭의 「삼대」
교활함 속에 숨겨져 있었던 민족애 - 김동인의 「붉은 산」
소외된 인물을 가만히 쓰다듬다 - 이태준의 「달밤」
“이 다리에는 우리 가족의 역사가 담겨 있단다.” - 이태준의 「돌다리」
눈앞에서 벌어진 일을 그대로 노트에 적다 -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북적북적’ 청계천 변 시민들의 일상사 - 박태원의 「천변 풍경」
내년 봄에도 장인님과 몸싸움을 하게 될까 - 김유정의 「봄·봄」
가혹한 농촌 현실이 만들어 낸 ‘막된 사람들’ - 김유정의 「만무방」
지금이면 쉽게 이루어졌을 두 사람의 사랑 -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
“한 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 - 이상의 「날개」
고향과 아버지에 대한 마음을 소설에 담다 -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일제 강점기에 등장한 ‘놀부’ - 채만식의 「태평천하」
문학 깊이 읽기 - 고통과 문학적 성과는 함께 가는 것일까?
4. 혼란과 상처의 기록 | 1946년~1950년대
방삼복은 ‘개천에서 난 용’이었을까? - 채만식의 「미스터 방」
“전통적인 민족 정서가 섬진강처럼 흐르는 소설” - 김동리의 「역마」
“언제나 비에 젖어 있는 인생들” - 손창섭의 「비 오는 날」
죽음까지 남은 시간은 ‘단 한 시간’ - 오상원의 「유예」
625 전쟁 중에도 꺼지지 않은 휴머니즘 - 황순원의 「너와 나만의 시간」
문학 깊이 읽기 왜 어떤 작가들은 문학사에서 사라졌을까?
5. 진정한 ‘민주화’를 위한 몸부림 | 1960~1970년대
‘광장다운 광장’은 결국 없었다 - 최인훈의 「광장」
1960년대 한국 시민의 자화상 -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
수난의 현대사가 낳은 한국 대표 소설 - 박경리의 「토지」
전쟁이 세상을 질펀하게 적시다 - 윤흥길의 「장마」
고향으로의 ‘탈출’을 꿈꾸다 -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
1970년대 사회에 관한 문학적 보고서 -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문학 깊이 읽기 - 문학은 지식인들만이 했을까?
6. ‘민중’이 중심에 우뚝 서다 | 1980년대
막차, 그리고 희망을 기다리는 사람들 - 임철우의 「사평역」
생명보다 소중한 것이 있을까 - 박완서의 「해산 바가지」
탄탄했던 ‘독재 왕국’은 왜 무너졌을까 -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소외된 소시민의 삶을 들여다보다 - 양귀자의 「일용할 양식」
문학 깊이 읽기 문학은 혁명을 꿈꾸는 것일까?
7. 다양성을 보듬어 안다 | 1990년대 이후
성인군자 못지않은 제 친구를 소개합니다 - 이문구의 「유자소전」
짜디짠, 지구에서 생존하기 - 박민규의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나’에서 ‘우리’로 건너가다 - 김려령의 「완득이」
문학 깊이 읽기 우리 문학에 노벨 문학상이 필요할까?
사진으로 보는 문학의 현장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인터넷서점 (www.alad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