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초등 > 3-4학년 > 동요,동시
위풍당당 박한별 이미지

위풍당당 박한별
푸른책들 | 3-4학년 | 2010.07.30
  • 정가
  • 8,800원
  • 판매가
  • 7,920원 (10% 할인)
  • S포인트
  • 396P (5% 적립)
  • 상세정보
  • 13.2x18.5 | 0.132Kg | 94p
  • ISBN
  • 9788957982334
  • 배송비
  •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 5만원 이상) ?
    배송비 안내
    전집 구매시
    주문하신 상품의 전집이 있는 경우 무료배송입니다.(전집 구매 또는 전집 + 단품 구매 시)
    단품(단행본, DVD, 음반, 완구) 구매시
    2만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이며, 2만원 미만일 경우 2,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제주도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
    무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일 경우 구매금액과 무관하게 무료 배송입니다.(도서, 산간지역 및 제주도는 제외)
  • 출고일
  • 1~2일 안에 출고됩니다. (영업일 기준) ?
    출고일 안내
    출고일 이란
    출고일은 주문하신 상품이 밀크북 물류센터 또는 해당업체에서 포장을 완료하고 고객님의 배송지로 발송하는 날짜이며, 재고의 여유가 충분할 경우 단축될 수 있습니다.
    당일 출고 기준
    재고가 있는 상품에 한하여 평일 오후3시 이전에 결제를 완료하시면 당일에 출고됩니다.
    재고 미보유 상품
    영업일 기준 업체배송상품은 통상 2일, 당사 물류센터에서 발송되는 경우 통상 3일 이내 출고되며, 재고확보가 일찍되면 출고일자가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송일시
    택배사 영업일 기준으로 출고일로부터 1~2일 이내 받으실 수 있으며, 도서, 산간, 제주도의 경우 지역에 따라 좀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묶음 배송 상품(부피가 작은 단품류)의 출고일
    상품페이지에 묶음배송으로 표기된 상품은 당사 물류센터에서 출고가 되며, 이 때 출고일이 가장 늦은 상품을 기준으로 함께 출고됩니다.
  • 주문수량
  • ★★★★★
  • 0/5
리뷰 0
리뷰쓰기
  • 도서 소개
  • 출판사 리뷰
  • 작가 소개
  • 목차
  • 회원 리뷰

  도서 소개

동심원 시리즈 4권. 1992년 새벗문학상으로 등단한 이후, 제2회 푸른문학상, 제1회 연필시문학상 등을 수상한 박혜선 시인의 동시집. 낯선 시골에 내려와서 할아버지 할머니와 함께 사는 아이, ‘엄마’라는 말만 들어도 눈시울이 붉어지는 아이, 개미 강아지 풀벌레와 친구가 된, 평범하면서도 아주 특별한 한 아이 ‘박한별’의 이야기를 동시로 풀어냈다.

  출판사 리뷰

제2회 푸른문학상 수상 시인 박혜선,
한결 깊어진 눈으로 아이들의 삶을 노래한 『위풍당당 박한별』 출간


1992년 새벗문학상으로 등단한 이후, 제2회 푸른문학상, 제1회 연필시문학상, 제15회 한국아동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은 박혜선 시인의 새 동시집 『위풍당당 박한별』이 푸른책들에서 출간되었다. 박혜선 시인은 이번에도 아이다운 발상과 아이다운 어법으로, 그리고 한층 더 깊어진 눈으로 아이들의 삶을 노래한 동시들을 독자들에게 선물한다.
『위풍당당 박한별』에는 낯선 시골에 내려와서 할아버지 할머니와 함께 사는 아이, ‘엄마’라는 말만 들어도 눈시울이 붉어지는 아이, 개미 강아지 풀벌레와 친구가 된, 평범하면서도 아주 특별한 한 아이가 등장한다. 이 아이의 이름은 ‘박한별’. 어떻게 된 사연인지 한별이의 코끝 찡한 이야기를 들어 보자.

엄마 아빠 이혼한 게 내 잘못은 아니잖아요

이혼 가정의 많은 아이들이 조부모 또는 편부모 가정에서 자라고 있다. 부모의 이기적인 마음 때문에 아이는 선택권 없이 부모 중 한쪽하고만 살아야 하고, 그마저 여의치 않을 때는 조부모에게 맡겨지기도 한다. 암탉이 병아리를 날개 밑에 거두듯이 한별이 역시 아직 엄마의 앞가슴에 묻혀 있어야 할 나이지만, 한별이는 부모의 이혼으로 어쩔 수 없이 그 곁을 떠나 시골 할아버지 댁으로 가게 된다.

막내고모가 아기처럼 키우던
강아지 미루
고모가 아기 낳자
시골 할아버지네로 보냈다

소연이 언니가 생일 선물로 받은
점박이 토끼
소파 밑에 똥 누고 베란다 꽃 뜯어 먹는다고
시골 할아버지네로 보냈다

피곤한 아빠 위해 안마해 주고
목욕탕 가면 엄마 등도 밀어 주던 나
엄마 아빠 헤어지면서
시골 할아버지네 와서 산다
(후략)
-「서울 친구들」 중에서

시골 할아버지 댁으로 내려온 한별이는 처음엔 화도 나고 속상해한다. 내 잘못도 아닌데 보고 싶은 친구들, 자주 가던 문방구 아줌마, 마음 좋은 경비 아저씨를 못 보는 그 마음을 이제 다른 아이의 이름을 달고 있을 엄마도 일주일에 한 번씩 내려오는 아빠도 잘 모른다. 외갓집과도 이별해야 하고(「외갓집」), 아빠의 전화임을 알면서도 자는 척해야 하고(「자는 척」), 누가 ‘엄마’라는 말만 해도 눈시울을 비집고 나오려는 눈물을 참아야 하는 한별이의 남모를 고충을 누가 알아줄까.
이처럼 부모의 이혼으로 아이가 받을 상처를 세심히 들여다보고 있는 시들은 마음을 짠하게 하고, 눈물을 찔끔 흘리게 한다. ‘한별이의 상처가 어쩌다 생긴 무릎의 흉터쯤이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한 시인의 바람처럼 빨간약을 덧바른 한별이의 가슴은 잘 아물 수 있을까?

시원하게 등짝을 때리는 당당한 동시들

한별이는 3년 넘게 시골 생활을 하면서 개미, 지렁이, 강아지, 배추벌레 등 뭇생명 모두를 친구로 만든다. 자전거 타기도 일등이고, 바람 속에 섞여 있는 향기만 맡고도 무슨 꽃인지 척척 알아맞히는 씩씩하고 밝은 아이가 된다.

우리 학교에서 인사 제일 잘하는 아이는?
나, 박한별
믿을 수 없다면 교장 선생님께 여쭤 봐
열 번 보면 열 번 다 인사하는걸

(중략)

그럼 우리 반에서 달리기 제일 잘하는 아이는?
현용이?
아니. 엄마 없다고 놀리는 현용이 끝까지 따라가서 등짝 한 대 멋지게 날려 준
나, 박한별이야

위풍당당 박한별!
-「위풍당당 박한별」 중에서

표제작 「위풍당당 박한별」에서처럼 한별이는 응달에 숨어 있던 스스로에게 다정한 악수를 건네고 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 위풍당당하게 자신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박한별로 거듭난다. 더불어 두 팔을 한껏 벌려 새로운 가족을 껴안을 수 있는 넉넉한 마음도 갖게 된다.
『위풍당당 박한별』은 한별이처럼 응달에 숨어 있는 아이들에게 띄우는 환하고 눈부신 시엽서이다. 응달 아래에서 나오기를 꺼려하는 아이들은 이 동시집을 읽고 위안과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느 아픔도 멋지게 이겨낼 수 있는 단단한 마음이 자신에게도 있음을, 지금의 아픔이 훗날 다른 수많은 아픔의 작은 한 조각임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정겨운 시골 풍경을 재미있는 표현으로 노래한 「할아버지와 삽」, 「개구리밥」, 「배추 잎 지도」, 「스타가 된 우리 논」, 「패션쇼」 등은 오물오물 동시를 읊조리는 입술을 즐겁게 한다.




엄마, 내 머릿속에 의자가 있었나 봐
동그랗게 둘러앉은 얼굴들
내 치구 연진이
내가 자주 가던 편의점 아저씨
문방구 아줌마
나만 보며 사탕 하나씩 건네주던
마음 좋은 경비 아저씨까지
그 의자에 둘러앉아 소곤소곤 내게 말을 걸고 있어
엄마, 나 서울에서 엄마랑 살고 싶어.
-「해맞이」 전문

  작가 소개

저자 : 박혜선
1992년 새벗문학상에 동시 ‘감자꽃’이, 2003년 푸른문학상에 동화 ‘그림자가 사는 집’이 당선되었습니다. 제1회 연필시문학상과 제15회 한국아동문학상을 받았고, 동시 ‘아버지의 가방’이 중등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동시집 <개구리 동네 게시판>, <텔레비전은 무죄>, <위풍당당 박한별>, <백수 삼촌을 부탁해요>, 동화책 <저를 찾지 마세요>, 그림책 <신발이 열리는 나무>, <내가 엄마 할 거야> 등이 있습니다.

  목차

세상에서 젤 무서운 말
우리 집 일기예보
만화 영화를 보고 있는데
웃음 먹는 괴물
서울 친구들
자는 척
작은엄마는 작은엄마다
누구네 엄마일까?
더듬더듬
생각을 꿀꺽 삼키다
엄마 만나러 가는 길
아빠 오는 날
외갓집
빗소리
여름
훌륭한 사람
우리 학교 옆에 있는 할아버지 학교
이순신 장군
할아버지와 삽
늙은 라면 봉지
고추벌레 유인작전
참새의 생각
다르구나
가을 하늘
들을 지나 집으로 가는 길
내가 오고부터
감기 걸린 날
대단한 호박씨
위풍당당 박한별
자전거처럼만 해라
파란 슬리퍼
풀밭으로 변한 무덤
할머니의 기억법
깨알 같은 내 글씨
짠짜자잔 우리 할머니예요
운동장에서 뛰어놀 땐
학교야, 우리가 고맙지
꼬드기기
책상위의 연필
지겨운 놀기
놀기 과외할 사람 여기여기 모여라
감자 캐는 날
누구 잘못일까?
늙은 꿀벌
스타가 된 우리 논
놀러 나온 태극기
알겠다
할머니의 자장가
벚꽃 구경 다녀오신 할아버지
할아버지 동네에서는
인사말
엄마 개
달팽이를 보면
개구리밥
배추 잎 지도
패션쇼
개도 주인 닮는다
감꽃 지는 날
벌레
황새머릿길
저녁은 언제 오지?
겨울잠

시인의 말
약력

  회원리뷰

리뷰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