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리뷰
베스트셀러 《유대인 이야기》 저자가 들려주는
청소년을 위한 음식 역사에 대한 모든 것!
음식은 문화를 만들고, 나라의 운명을 바꾸고, 역사를 다시 쓴다!
한 그릇에 담긴 세상만사의 달고, 짜고, 맵고, 쓴 맛을 맛보다!
음식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이다!의식주는 인간이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기본 요소이다. 그중 먹는 것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자 큰 즐거움이다. 그러나 음식을 먹는 것은 맛과 영양을 얻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음식은 시대의 상징이자 문화의 핵심이며 사람살이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인류는 먹을거리를 찾는 과정에서 진화가 일어났다. 농작물을 재배하면서 국가가 생겨나고, 원산지가 아닌 곳에 식물을 옮겨 심으면서 생태계가 변화하고, 맛있는 음식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먹을거리가 넘쳐나는 대신 유전자 변형 식품, 화학 첨가물 식품 등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그야말로 음식은 태곳적부터 인간의 역사를 지배해 온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삶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먹거리의 역사를 살펴보면 인류의 역사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베스트셀러 『유대인 이야기』, 『세 종교 이야기』의 저자 홍익희는 풍부한 역사적 지식과 세계 여러 곳에서 거주하면서 접한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꼭 알아야 할 음식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들려준다. 음식을 둘러싼 역사적 배경, 사건, 유래, 상식 등 거미줄처럼 얽힌 여러 요소를 총체적으로 다룬다. 음식에 얽힌 추억이 특별한 맛을 더하듯이, 음식 자체가 지닌 여러 층의 이야기들은 음식에 가치를 더한다. 우리가 식탁에서 마주하는 음식을 면밀히 뜯어 보면 음식에 담긴 역사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음식은 어떻게 세상을 움직이는가?이 책은 우리에게 친숙한 쌀과 후추, 고추, 설탕, 감자, 치즈, 피자 등의 21가지 음식을 통해 청소년들이 지루하고 어렵게 느끼는 세계의 역사와 문화를 맛깔나게 풀어냈다. 문명을 확립하고, 지리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한 나라의 경제를 좌우하고, 건강을 지켜주고,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등 정치, 경제에서부터 문화, 건강에 이르기까지 음식에 담긴 이야기를 조목조목 나눠 설명한다.
인간은 밀과 쌀 등의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물물교환을 하고 문명을 이루었고, 소금은 로마가 천하를 평정할 수 있었던 원동력 중 하나였다. 육포가루를 만들어 먹었던 칭기즈칸의 군대는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중동까지 아우르는 대제국을 건설하였고, 후춧가루를 얻기 위한 유럽 사람들의 경쟁은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을 낳았다. 감자는 인류를 참혹한 굶주림에서 벗어나게 했고, 설탕과 커피는 세계의 경제를 움직이고, 냉장고가 없던 시기에 절임청어를 판 네덜란드는 한때 전 세계를 호령하는 부강한 나라가 되었다.
저자는 세계의 역사뿐 아니라 우리가 몰랐던 한국의 역사에 얽힌 음식 이야기도 알려 준다. 세계 5대 갯벌의 하나인 서해 갯벌 덕택에 고구려 민족은 소금과 각궁을 맞바꿔 활 잘 쏘는 민족으로 이름을 날릴 수 있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의 쌀농사가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발견되었고, 우리나라의 토종밀 품종인 ‘앉은뱅이밀’은 뛰어난 장점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된장과 고추장의 주원료인 콩(대두)의 원산지로, 20세기 초반만 해도 세계 2위의 콩 재배 국가였다는 놀라는 사실도 알려 준다.
또한 무분별한 남획으로 멸종의 위기를 맞은 대구를 통해 환경 보존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제국주의의 오랜 식민 사업으로 인한 원주민의 몰락, 설탕의 단맛 뒤에 숨어 있는 흑인 노예의 눈물, 커피 농장 노동자들이 커피값의 1%도 안 되는 임금을 받는 불공정한 거래 형태, 풍요로운 현대에서 분배의 문제로 굶어 죽는 사람들이 생기는 현상 등 우리에게 생각할 거리도 던져 준다. 이 외에도 음식의 원산지부터 이름의 유래, 만들어지는 과정, 세계의 여러 음식 종류까지 음식에 관한 기본 지식을 소상하게 알려 준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양에서 서양까지 가로지르는 이야기들은 100여 컷이 넘는 그림과 지도를 통해 더욱 생생하게 담아냈다.
고대로부터 대규모 부대가 움직일 때는 그 뒤를 따라가는 보급부대가 있어야 했습니다. 식량과 보급품들을 지원해 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때는 전투병보다 이러한 보급부대 인원이 더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대규모 보급부대와 같이 움직이다 보면 전투부대의 기동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몽골군에게는 이러한 보급부대를 끌고 다닐 필요가 없어 기동력 있는 작전이 가능했습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몽골군은 보급부대 없이 장병 스스로 먹을 것을 안장 밑에 깔고 다니며 식사를 해결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안장 밑 음식이 바로 육포였습니다.
― <칭기즈칸 신화를 만든 육포 이야기>에서
후춧가루 등 향신료는 경제사에서 상상 이상의 중요성을 갖고 있습니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바스코 다가마의 인도 항로 개발, 마젤란의 세계 일주 등이 모두 후춧가루를 구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동양의 향신료가 부의 원천이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대항해가 시작되었습니다.
― <신대륙 발견의 일등 공신, 후추 이야기>에서
16세기에 본격화된 노예 무역은 300여 년간 유지되어 그간 아메리카로 실려 간 아프리카인은 1,500~2,000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이들 대부분은 중남미와 서인도 제도 사탕수수 농장으로 팔려 갔고, 645만 명은 오늘날 미국 땅으로 끌려갔습니다. 사탕수수 농장의 노예들은 무덥고 비위생적인 환경 속에서 새벽 3시부터 하루 17시간씩 살인적인 강도의 노동에 시달렸습니다. 노예들의 피가 배어 있지 않은 설탕이 없어 설탕을 악마의 창조물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 <흑인 노예들의 피눈물, 설탕 이야기>에서
스페인에 들여온 감자가 유럽 전역으로 전해지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유럽인들은 미개한 남미 원주민들이 주식으로 먹던 감자를 쉽게 받아들일 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감자는 문명의 혜택을 못 누린 사람들이나 먹는 천한 음식이라는 편견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특히 감자의 울퉁불퉁한 모습과 작은 점들은 천연두를 연상시켰고, 어둠이 지배하는 땅속에서 열매가 자라기 때문에 ‘악마의 열매’라며 멀리했습니다. 그래서 초기엔 주로 가축 사료로 사용했습니다. 감자를 금기시한 경향은 빈곤에 시달리던 하층민 사이에서 더 심했습니다. 또 감자가 나병을 일으키는 원인이라는 소문이 영국에서 돌기 시작해 감자는 서민들과 더욱 멀어져 갔습니다.
― <인류를 기아에서 구한 감자 이야기>에서
콩은 단군 이래 우리 민족과 처음부터 함께해 온 먹을거리로 우리 국민건강을 지켜 온 파수꾼의 역할을 톡톡히 해 왔습니다. 1930년 전후만 해도 우리나라는 세계 2위의 콩 재배 국가였습니다. 두만강(豆滿江)이라는 지명도 ‘콩을 가득 실어 나르는 강’이라는 뜻입니다. 실제로 일본 사람들이 두만강에서 우리 콩을 많이 실어 날랐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당시 일본인들은 한반도 전체 콩 생산량의 30% 이상을 수탈해 갔습니다.
―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콩 이야기>에서
고대 수메르인들은 댐을 만들던 일꾼들에게 맥주를 물처럼 마시도록 제공했다고 합니다. 그 무렵 맥주는 여러 곡물을 집어넣고 담근 술로 걸쭉한 죽과 같았습니다. 발효된 맥주에서 곡물을 거르지 않고 먹었기 때문에 “마시는 빵”이라고 부를 정도였습니다.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식사 대용으로도 충분했다고 합니다. 이 죽 형태 맥주는 바빌로니아 맥주를 가리킵니다. 실제로 당시에는 발효가 끝난 후에 밀가루를 더 넣어 다시 한번 더 발효시켰습니다. 이런 맥주를 이용해서 부푼 케이크나 빵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 <평등한 음료, 맥주 이야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