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2013년 8월에 나온 <제국의 위안부> 초판본에서 '도서출판 등 금지' 가처분신청 '일부 인용' 결정에 따라 34곳을 ○○○○으로 처리하고, 지은이의 새 서문과 2015년 5월 5일 공표된 세계 일본연구자들의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성명' 등을 부록으로 실은 '제2판 34곳 삭제판'이다.
2013년 8월에 책이 나오고 열 달이 지난 2014년 6월 16일, 나눔의집 고문변호사와 소장 등에 의해 위안부 할머니 아홉 분의 이름으로 민.형사 고소와 책의 판매 금지,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접근 금지를 요구하는 가처분신청이 제기되었다.
고소장에서 원고 측은 328쪽의 책에서 109곳을 지적하며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그로부터 여덟 달 후인 2015년 2월 17일, 재판부는 가처분신청을 '일부 인용'하여, 원고 측에서 수정 신청한 53곳 가운데 34곳을 "삭제하지 아니하고는 출판…해서는 아니 된다"는 결정을 내렸다.
재판부는 기각한 19곳에 대해 "헌법상 보장되는 학문의 자유 또는 표현의 자유의 보호영역 내에 있다고 보이고, 이러한 견해에 대해 법원이 사전적으로 그 표현을 금지하기보다는 자유로운 토론과 비판들을 통하여 시민사회가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건전하게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리 사회의 시민의식은 충분히 이러한 해결이 가능할 정도로 성숙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책 2판은 '자유로운 토론과 비판'이 있는 공론의 장을 위해 내놓은 삭제판이다.
출판사 리뷰
금지는 금지되어야 한다!
‘도서출판 등 금지’ 가처분신청 ‘일부 인용’에 따라 34곳을 삭제하고
새 서문과 세계 일본연구자들의 성명을 덧붙인 제2판 출간!
금지는 금지되어야 한다!
해방 70년, 한일조약 50년을 맞는 오늘,
위안부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위하여
이 책은 광장에서 함께 읽히고 토론되어야 한다!
또 하나의 기억, 또 하나의 억압,
21세기의 금서!
“참담한 심경으로 이 책을 낸다.” 이 책은, 2013년 8월에 나온 『제국의 위안부』 초판본에서 ‘도서출판 등 금지’ 가처분신청 ‘일부 인용’ 결정에 따라 34곳을 ○○○○으로 처리하고, 지은이의 새 서문과 2015년 5월 5일 공표된 세계 일본연구자들의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성명’ 등을 부록으로 실은 ‘제2판 34곳 삭제판’이다.
2013년 8월에 책이 나오고 열 달이 지난 2014년 6월 16일, 나눔의집 고문변호사와 소장 등에 의해 위안부 할머니 아홉 분의 이름으로 민.형사 고소와 책의 판매 금지,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접근 금지를 요구하는 가처분신청이 제기되었다. 고소장에서 원고 측은 328쪽의 책에서 109곳을 지적하며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그로부터 여덟 달 후인 2015년 2월 17일, 재판부는 가처분신청을 ‘일부 인용’하여, 원고 측에서 수정 신청한 53곳 가운데 34곳을 “삭제하지 아니하고는 출판…해서는 아니 된다”는 결정을 내렸다.
재판부는 기각한 19곳에 대해 “헌법상 보장되는 학문의 자유 또는 표현의 자유의 보호영역 내에 있다고 보이고, 이러한 견해에 대해 법원이 사전적으로 그 표현을 금지하기보다는 자유로운 토론과 비판들을 통하여 시민사회가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건전하게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리 사회의 시민의식은 충분히 이러한 해결이 가능할 정도로 성숙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마땅히 책 전체를 시민사회에 맡겨야 한다고 보는 지은이와 출판사는 ‘일부 인용’ 결정에 승복할 수 없어 이의신청을 할 것이나, ‘자유로운 토론과 비판’이 있는 공론의 장을 위해 우선 삭제판을 내기로 했다.
그러나 이 삭제판은, 체제와 국가에 반하는 사상은 검열하여 출간하던 일제강점기의 모습이다. 결국, 식민지 체험과 그 체험이 만든 갈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던 책은 뜻밖에도 우리가 여전히 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살고 있음을 보여준, 지극히 아이러니한 책이 되고 말았다.
무엇이 ‘명예훼손’인가, 무엇이 이 책을 법정으로 끌고 갔는가
고소장은 지은이가 위안부 할머니를 ‘자발적인 매춘부’라 말했다고 썼다. 하지만 지은이는 그렇게 쓴 적이 없다. ‘명예훼손’과 관련된 주요한 논점에 대해, 지은이는 ‘제2판 서문’에서 이렇게 반박한다.
첫째, ‘매춘’이라는 단어. 지은이는, ‘소녀’ 이미지를 놓지 않으려 했던 이들과 ‘매춘부’라고만 주장해온 이들이 똑같이 성이 관련된 문제에 대한 금기와 차별의식에 사로잡혀 있다고 비판한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오래도록 당사자들이 어두운 곳에서 나올 수 없었던 것이다.
둘째, ‘동지적 관계’. 지은이는 분명히 “물론 그것은 남성과 국가의 여성 착취를 은폐하는 수사에 불과했”다고 썼다. 무엇보다 ‘동지적 관계’란 조선인이 아니라 일본인으로서 동원되었다는 의미다.
셋째, 이 책이 ‘매춘’을 근거로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부정하고, 면책’했는가. 부정하거나 면책하지 않았다. 다만 일본의 책임을 묻는 논지가 기존 연구자나 지원단체와는 달랐을 뿐. 지은이는 ‘사실을 정확히 알아야 일본에도 제대로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과 기존 지원단체나 연구자들의 차이는 단지 ‘책임을 묻는 방식’과 그러한 결론을 도출하기까지의 ‘논지’에 있다. 그럼에도 그들은 자신들의 ‘해결 방식’과 다른 해결 방식을 내놓았다는 이유만으로 국가의 힘을 빌려 지은이를 억압하는 일에 나섰던 것이다. 오래전
작가 소개
역자 : 박유하
1957년 서울 출생. 일본 게이오대학에서 일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와세다대학 대학원에서 일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나쓰메 소세키, 오에 겐자부로 등 일본 근대문학에 대한 연구를 끊임없이 해 오고 있으며, 《마음》 《만엔원년의 풋볼》 《인생의 친척》 등을 번역했다. <‘마음’의 비극> <문명과 이질성-만주한국(滿洲韓國) 이곳저곳론>, <소세키의 감각표현에 대하여> 등 나쓰메 소세키를 중심으로 한 일본 근현대문학에 관한 논문을 집필하기도 했다. 현재 세종대학교 일어일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 《반일민족주의를 넘어서》 《화해를 위해서-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 《제국의 위안부》 등이 있다. 특히 《화해를 위해서-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 는 2006년에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로 선정, 2007년 이 도서의 일본어판이 ‘오사라기 지로(大佛次郞)논단상’을 수상했다.
목차
제2판 서문 식민지의 아이러니
서문 다시 ‘생산적인 논의’를 위해서
제1부 '위안부'란 누구인가-국가의 관리, 업자의 가담
제1장 강제연행’과 ‘국민동원’ 사이
1. 죄와 범죄―‘강제로 끌어간’ 건 누구인가
2. ‘위안부’의 전신 ‘가라유키상’―국가의 세력 확장과 이동하는 여자들
유괴범들과 일본의 소녀들/ 조선인의 가담―인신매매와 성매매/
공창과 사창―여러 종류의 위안소들
3. 우리 안의 협력자들
4. ‘강제로 모집된’ 정신대
5. ‘소녀 20만’의 기억과 피해의식
제2장 위안소에서―풍화되는 기억들
1. 일본군과 ‘조선인 위안부’―지옥 속의 평화, 군수품으로서의 동지
위안부의 역할/ 사랑과 평화/ 또 하나의 일본군―수치와 연민/
관리자로서의 일본군/ 병사와 위안부/ 망각되는 기억들 2. 전쟁터의 포주들 종군하는 업자들/ 강제노동과 착취/ 감시·폭행·중절/ 제국의 위안부
제3장 패전 직후―‘조선인 위안부’의 귀환 1. ‘일본인’에서 ‘조선인’으로
2. 극한상황 속에서
제2부 기억의 투쟁―다시, ‘조선인 위안부’는 누구인가
제1장 지원단체의 ‘위안부’ 설명
1. 근본적인 오해 2. 정보 은폐와 ‘공적 기억’ 만들기
3. 억압으로서의 ‘성노예’상 4. 박물관의 ‘위안부’ 5. 소거되는 기억들
제2장 하나뿐인 ‘조선인 위안부’ 이야기
제3장 공모하는 욕망들
제4장 일본인 지원자들의 문제 1. 페미니즘의 모순 2. ‘가해자’란 누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