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소개
<마당을 나온 암탉>, <나쁜 어린이 표>의 황선미 작가가 쓴 첫 작품이다. 2001년 출간된 이후, 두 번의 개정을 거쳐 원래 제목인 <내 푸른 자전거>로 재출간되었다. 소년조선일보 선정 ‘제9차 어린이를 위한 좋은 책’, 열린어린이 2004 여름 방학 권장 도서, 부산시교육청 추천도서.
작가는 한 인터뷰에서 자신이 가장 아끼는 작품으로 아버지에 대한 각별한 추억을 담은 <내 푸른 자전거>를 꼽았다. 이 작품은 동생과 자신을 위해 고된 생활도 마다하지 않는 부모님을 보며 가족의 사랑을 배워 가는 열세 살 찬우의 성장 이야기로 황선미 작가 특유의 섬세한 심리 묘사와 탄탄한 구성, 따뜻한 주제가 돋보인다.
찬우네는 빚보증으로 생활이 어렵다. 아버지는 집을 떠나 공사장을 떠돌며 일을 하고 어머니는 시장에서 생선 장사를 한다. 찬우와 동생 영주는 늘 집을 비우는 부모님을 대신해 집안일을 하고 자신을 스스로 챙기는 의젓한 아이들이다. 어느 날, 아버지는 손가락이 잘리는 사고를 당해 집으로 돌아온다. 아버지는 어렵게 자전거 가게를 차리고 닥치는 대로 일을 하지만 가족의 좀 더 나은 생활을 위해 일자리를 찾아 다시 길을 떠난다.
아버지를 대신해 집안을 이끌며 친구들과 멀어졌던 찬우는 은아와 해일이를 통해 점차 마음을 열게 된다. 6학년 겨울이 끝날 무렵 아버지는 자전거 가게로 돌아오고 중학교 입학 선물로 찬우에게 세상에서 하나뿐인 특별한 자전거를 선물한다.
출판사 리뷰
황선미 작가가 가장 아끼는 첫 작품!
아버지가 만들어 준 자전거를 타고
어린 시절, 그리운 나의 아버지를 만나러 갑니다.
<내 푸른 자전거>는 <마당을 나온 암탉>, <나쁜 어린이 표> 등 여러 뛰어난 작품을 통해 국내 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한 황선미의 첫 작품이다. 2001년 출간된 이후, 두 번의 개정을 거쳐 원래 제목인 <내 푸른 자전거>로 재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출간 이래 소년조선일보 선정 ‘제9차 어린이를 위한 좋은 책’, 열린어린이 2004 여름 방학 권장 도서, 부산시교육청 추천도서로 선정될 만큼 언론과 독자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황선미 작가는 한 인터뷰에서 자신이 가장 아끼는 작품으로 아버지에 대한 각별한 추억을 담은 <내 푸른 자전거>를 꼽았다. 이 작품은 동생과 자신을 위해 고된 생활도 마다하지 않는 부모님을 보며 가족의 사랑을 배워 가는 열세 살 찬우의 성장 이야기로 황선미 작가 특유의 섬세한 심리 묘사와 탄탄한 구성, 따뜻한 주제가 돋보인다.
■ 작품의 특징
□ 무뚝뚝하지만 누구보다 가족을 사랑하는 우리 시대 아버지!
한밤중 잠든 아이들을 지그시 바라보는 아버지, 지갑 속에 늘 가족사진 한 장을 넣고 다니는 아버지, 구두 뒤축처럼 가족을 위해 낡아가는 아버지······.
한국의 아버지들은 말이 없고 무뚝뚝하지만 가족들을 위해 묵묵히 희생하고 헌신한다. 그래서 그 사랑은 더욱 깊고 묵직하다. 이 책에 등장하는 열세 살 소년 찬우의 아버지도 마찬가지다. 찬우의 아버지는 생계를 위해 돈이 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가리지 않는다. 고된 노동으로 몸이 병들어도 아침이면 또다시 일터로 향한다. 공부 잘하는 아들에게 칭찬 한 마디 하지 않지만 아들은 아버지의 따뜻한 속마음을 잘 안다. 아버지는 삶 자체로 깊은 사랑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아들에게 그런 아버지는 삶을 지탱해 주는 든든한 기둥이다. 이 작품의 아버지는 자신보다 다른 이를 더 아껴 주는 사랑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온통 ‘나’를 가꾸고 드러내는 일에 주의를 기울이는 요즘, 자신이 망가지는 것조차 행복이 되는 묵직한 사랑은 그 존재만으로도 감동적이다.
□ 가난과 부끄러움을 딛고 어른이 되어 가는 아이들
주인공 찬우와 동생 영주는 가족을 위해 고생하는 부모님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속 깊은 아이들이다. 그러나 고단한 가족의 삶이 상처와 부끄러움으로 다가올 때가 있다. 멀리 일하러 가신 아버지의 빈자리, 어머니가 번 생선 비린내 나는 돈, 구멍 난 운동화, 빌려 써야 하는 그림물감, 가정 형편 때문에 포기해야 하는 반장 자리는 가까운 친구에게조차 속 시원히 털어 놓을 수 없는 이야기들이다.
아이들에게 다가온 고난은 단순한 장애물이 아니다. 성장동화의 정통 문법을 보여 주듯, 아이들은 부끄러움을 통해 삶의 각박한 면모를 다른 아이들보다 빨리 깨닫는다. 또한 그렇기에 열심히 살아가는 부모님의 사랑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이 책은 오늘의 아이들에게 ‘어려움에 지지 말고 그것을 꿈을 향한 발판으로 삼으라’고 말하는 듯하다.
□ 싸우고 화해하며 더욱 돈독해지는 아이들의 우정!
찬우가 전학을 와서 전교 일 등을 하자 해일이는 찬우가 눈엣가시처럼 보인다. 마치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를 찬우에게 빼앗긴 것 같은 기분조차 든다. 그래서 해일이는 찬우를 방죽으로 불러내 친구들과 함께 흠씬 때리기도 하고, 사사건건 괴롭히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는 찬우를 본 뒤 해일이는 찬우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친구로 거듭 난다. 아이들은 싸우고 난 뒤 더욱 친해지는 경우가 많다. 비 온 뒤 땅이 더욱 단단해지듯, 찬우와 해일이는 서로의 가장 힘든 라이벌인 동시에 서로를 가장 잘 아는 특별한 친구 사이를 보여 준다. 또한 이 모습은 다툼 후 더욱 돈독해지는 우리 아이들의 우정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아버지 때문에 고생하니까 항상 미안하다. 힘닿는 대로 다했어도 이래. 아마 이게 아버지가 살아야 하는 방식인가 보다. 하지만 넌 달라. 넌 우리 옆에 있는 시간보다 네 식대로 살날이 더 많으니까, 그때를 위해서 지금 할 일을 다해 둬라. 아버지 흉내나 내지 말고.”
“예.”
무슨 말인지 알아들었느냐고 아버지가 물었다. 찬우가 고개를 끄덕이자 아버지는 머리를 쓰다듬어 주었다.
“아버지도 부자가 되고 싶었다. 그런데 그게 욕심처럼 안 돼. 억울하다고 생각한 적도 많았는데, 네가 컸다는 걸 알고 나니까 그제야 아버지가 왜 고생해야 하는지 알겠더구나. 아버지 방식대로 살아서 얻을 수 있는 건 돈이 아니라 너희들이야. 그게 내 복이다.”
아버지는 더 말하지 않았다. 찬우는 아버지와 나란히 걷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러웠다.
작가 소개
저자 : 황선미
1963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서울예술대학교와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했다. 1995년 중편 「마음에 심는 꽃」으로 등단한 후 명실공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동화 작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000년에 출간한 『마당을 나온 암탉』은 16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미국 펭귄 출판사를 비롯해 해외 수십 개국에 번역 출간되었다. 2012년 한국 대표로 국제 안데르센 상 후보에 올랐고, 2014년 런던 도서전 ‘오늘의 작가’, 2015년 서울국제도서전 ‘올해의 주목할 저자’로 선정되며 전 세계가 사랑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지은 책으로 『내 푸른 자전거』, 『나쁜 어린이 표』, 『푸른 개 장발』, 『주문에 걸린 마을』, 『어느 날 구두에게 생긴 일』, 『틈새 보이스』, 『건방진 장 루이와 68일』, 『칠성이』 등이 있다.
목차
작가의 말
반장 선거
돌아온 아버지
쥐구멍 가게
그림물감
영주와 어머니
나를 건드리지 마
뙤약볕 속에서
우박 맞은 배
땅콩밭 일꾼
부끄러움
쓸쓸한 추석
운동회 날에
여우와 장미
남겨지는 것들
아버지, 아버지